d라이브러리
"대학교"(으)로 총 5,173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째로 뒤집어라! 콰트레인먼트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숀 퍼켓이 ‘계산!’이라는 잡지에 처음 소개하면서 유명해졌고, 1988년에 미국 데이턴대학교 수학과 교수인 톰 간트너가 수학적으로 분석해 해법을 찾아냈어요. 콰트레인먼트를 즐기려면 우선 16칸 보드 두 개가 필요합니다. 두 보드 중 하나를 ‘출발보드’, 다른 하나를 ‘도착보드’라고 해요. ... ...
- [실전! 반려동물] 혼자 남겨진 뭉치가 자꾸 말썽을 부려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개는 왜 혼자 있으면 불안해할까?개는 약 1만 5천 년 전부터 사람과 함께 살았어요. 그 결과 사람과 함께 살아갈 때 가장 안정감을 느끼는 동물로 진화했지요. 따라서 가족과 함께 지내다 혼자 남겨진 개는 지루함이나 무기력함을 느끼기도 해요. 심지어 가족과 친밀도가 아주 높은 개는 공포를 느 ... ...
- Part 5. 우리나라의 행성사냥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24시간 외계행성을 찾는다! 2013년에 방영한 드라마 주인공 도민준의 고향이었던 외계행성을 기억하나요? 한국외계행성탐색시스템의 약자 ‘KMTNet’에서 이름을 딴 ‘KMT 184.05’였지요. KMTNet은 외계행성을 찾기 위한 우리나라의 관측 시스템이에요. 남아프리카공화국과 호주, ... ...
- Intro. 전기만들고 계단도 껑충~! 스마트 바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씽씽~! 달려라 달려~!”우리는 최신 모빌리티를 가장 먼저 즐기는 얼리어답터 삼총사야. 저 킥보드는 360°를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고, 내가 탄 모빌리티는 계단을 오르내릴 수도 있어! 이게 가능한 건 다 똑똑한 바퀴 덕분이란다. 똑똑한 바퀴가 궁금하다고? 지금부터 우리가 소개해 줄게! ... ...
- Part 2. [스마트 바퀴1] 모양을 바꾸면 성능 UP!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7호
- 바퀴의 시작이 통나무를 굴리는 데에서 시작됐다니, 재밌지?! 하지만 바퀴의 진화는 이제부터가 진짜 시작이야. 미래의 바퀴는 모양이 다양하게 바뀌면서 새로운 기능들을 선보이고 있지. 공기를 넣지 않아도 되는 바퀴가 있고, 동그란 공 모양의 바퀴도 개발되고 있다고! 공기 없는 바퀴, 에어리 ... ...
- Part 1. 피라미드는 초고층건물일까?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지상 123층, 높이 555m의 마천루. 국내에서는 1번째, 세계에서는 5번째로 높은 초고층건물 롯데월드타워의 전망대로 가기 위해 엘리베이터에 올랐다. 엘리베이터가 분당 480m의 속도로 빠르게 위로 솟구치자 가슴이 두근거렸다. 어느새 도착한 123층에서 본 서울의 풍경은 지금까지 봤던 서울과는 사뭇 ... ...
- Part 3. 지진으로 인한 ‘공진’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8년 07호
- 놀랍게도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주택, 학교, 아파트, 초고층건물 같은 모든 건물은 고유한 주기로 계속 흔들리고 있다. 흔들리는 범위가 아주 크지 않게 만들었기 때문에 느끼지 못할 뿐이다. 이렇게 건물이 흔들리는 건 평소에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는다. 지진이 일어나면 얘기가 달라진다. ... ...
- Part 6. 상상할 수 있는 초고층건물의 끝은?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초고층건물은 꾸준히 진화하고 있다. 이볼로 2018 미래 초고층건물 아이디어 공모전에 선정된 작품도 당장은 힘들더라도 충분히 실현될 가능성이 있다. 정 센터장은 “SF에 나오는 여러 디자인이 결국 실현되는 것처럼, 이 공모전은 미래 건축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준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 ...
- [매스미디어] 웰컴 투 방탄 유니버스수학동아 l2018년 07호
- 가능케 하는 유일한 방법은 수학이다. 2017년, 벤자민 티펫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연구원은 시간을 도넛 모양으로 만들면 우주의 시간을 휘게 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SF 영화에서나 가능할 줄 알았던 시간 여행이 수학 세계의 기하학 구조 안에서는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가령, ... ...
- Part 4. 연륜 NO인정? 뿔난 노인장의 역습수학동아 l2018년 07호
- 스탠리 오셔도 있다. 올해 쓴 논문만 이미 12편이고, 74세였던 2년 전에는 우리나라 서울대학교 연구팀과 함께 딥러닝과 관련된 공동연구를 했다. 나이가 많으면 수학을 못 한다고? 하디의 발언에 어퍼컷을 날릴 수 있는 기회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반증으로 추측을 부숴라! ... ...
이전265266267268269270271272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