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정
러브
사모
연정
흠모
경애
love
d라이브러리
"
사랑
"(으)로 총 2,734건 검색되었습니다.
번식의 일반규칙을 깬 바다물고기 해마(海馬·SEA HORSE)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낳고 난 암컷은 비정하게도 뒤도 돌아보지않고 가버린다. 이렇게하여 불과 30 초동안의
사랑
을 나눈 뒤에 홀아비가 되어버린 수컷은 알을 육아주머니 속에 안고 새 새명이 탄생할때를 기다리는 것이다. 2주간이 지난뒤 알에서 깨어난 몸길이 약7mm의 새끼가 주머니밖으로 나온다. 그 수는 약 1백마리 ... ...
PARTⅠ 바이오리듬 파약해야 공부도 잘할수 있어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좋다', 또는 '조화율이 나쁘다'고 표현한다.인간은 혼자 살 수 없다. 일을 하거나
사랑
을 하거나 가정생활에서도 언제나 상대가 있기 마련이다. 하지만 인간관계에 실패서 직장을 그만 두었거나, 친구가 없어 고립되어 있거나, 상사의 미움을 사버렸다는 등의 경우도 있다. 또 팀웍이 필요한 ... ...
특수견(犬)의 능력과 훈련모습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방불케 한다. 항상 함께 지낸다는 이유도 있겠지만 관리자들이 천성적으로 동물을
사랑
하는 사람들이며 개는 주인을 절대 속이지 않고 알아준다는 데 있다. 특히 관리자는 개의 일거일동을 유심히 살펴야 한다. 예를 들어 개가 고개를 돌린다든지 입을 땅쪽으로 축 늘어뜨린다든지 하면 이는 더 ... ...
전공을 두번 바꾼끝에 통계학에 정착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잘되어가는 경우가 많다. ●―통계학은 의사결정과학 이제 내가 전공하고 있고, 내가
사랑
하며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통계학이란 학문에 대하여 생각하여 보자. 통계학(statistics)이란 용어는 원래 국가산술(state arithmetic)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이 용어가 처음으로 나타난 곳은 1797년에 ... ...
나무는 왜 푸를까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런던 제국대학의 앤드류 골즈워시가 쓴 것을 정리한 것이다. 세상을 생명있게 하는 것은
사랑
이 아니라 광합성이다. 사실상 모든 동식물은 광합성에 의존한다. 광합성은 식물이 햇빛을 받아 화학 에너지로 변화시키는 과정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식물들은 대기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태양 ... ...
바바라 맥클린토크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시험밭은 조류보호지역과 이웃해 있었으나 이제 잔디로 덮였다. 그녀는 이곳을 가리켜 '
사랑
스런 작은 오아시스'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지난 10년간 맥클린토크의 연구는 수십명의 분자생물학자들에게 자극을 주어 옥수수연구에 손을 대개 했다. 그녀가 거둬들인 종자는 전세계의 연구소로 ... ...
동물들은
사랑
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과학동아
l
1988년 05호
개성을 존중하면 개성과 개성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거기에서 또 '
사랑
'이 생기며 그
사랑
으로 사회생활에 따르는 여러가지 어려움을 헤쳐나갈 수 있게 될 것이다 ... ...
PART1 경이로운 생명의 펌프
과학동아
l
1988년 04호
사람의 심장을 이식받아 10년이상 생존한 사람도 있다. 그렇다면 그 사람은 다른 사람의
사랑
과 용기와 양심과 지성을 빌려서 살았다는 이야기가 되어버리고 만다. 심장의 신비가 과학에 의하여 송두리채 없어지고 마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렇다면 과학이 보는 심장은 어떤 것인가를 알아보기로 ... ...
「컴퓨터 문명」시대가 오고 있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분야에서 좀더 적극적이면서도 자연스러운 홍보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사랑
방모임을 지역별 직능별로 확산해나간다는 계획이다. 참여하는 상설전시장다음은 무엇보다도 중요한 컴퓨터 이용공간의 확대. 신문에 잡지에 컴퓨터 관계 기사 하나 더 실리는 것보다, TV에서 컴퓨터를 ... ...
남해안 겨울철새 타마사를 마치고「산교육」의 좋은 기회였읍니다.
과학동아
l
1988년 03호
있는 이론적인 수업을 해왔다는 자책감이 드는군요. 철새탐사를 하면서 느낀 것은 새를
사랑
하는 마음을 우리 모두가 가져야겠다는 겁니다. 유럽에서는 새가 사람과 노닐기도 한다는데, 우리나라에선 2백mm 망원렌즈로 찍어도 아주 작게밖에 모습을 볼 수 없는 형편이지요. 철새가 우리를 피하는 건 ... ...
이전
265
266
267
268
269
270
271
272
2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