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6,048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과학동아 l201702
- 계절성 독감과 수십 년 주기로 대유행 독감을 일으키는 장본인이다. 공처럼 둥근 모양으로 지름은 약 80~120nm다. 핵단백질에 따라 A, B, C로 나누는데 대개 A형 중 H1N1과 H3N2, 그리고 B형이 계절성 독감을 일으킨다. 종류와 분리된 지역, 분리주 번호, 발견된 연도의 순서로 이름을 붙인다. 예를 들어 2014년 ... ...
-
- [과학뉴스] 약을 만드는 인공 나뭇잎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아이트호벤대학교 연구팀이 새로운 기술을 도입해 문제를 해결했어요. 빨간 단풍잎 모양으로 생긴 ‘발광성 태양열 집광 장치(LSC)’를 이용해 충분한 빛에너지를 모은 거예요. 이 장치는 다양한 파장의 빛을 흡수할 수 있는 염료 분자로 구성돼 있어요. 그래서 일부 파장 영역의 빛만 흡수하는 ... ...
-
-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무덤 속에서 되살아난 조선시대 의복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했어요.▼ 문관과 무관은 OO이 다르다?조선시대 의복 상의 가슴과 등에는 사각형 모양의 금색 무늬가 있어요. 이것을 ‘흉배’라고 해요. 흉배 문양을 통해 하는 일과 직위를 알 수 있어요. 그래서 문관(文官)과 무관(武官)의 흉배가 달라요. 문관 흉배에는 학과 공작이, 무관 흉배에는 호랑이와 표범이 ... ...
-
- [식물 속 동물 찾기] 수탉이 나타났다?! 닭의장풀어린이과학동아 l201702
- 마디마다 가지가 갈라지면서 뿌리를 내리는 습성이 있어요. 어긋나게 나는 잎은 긴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지요. 여러모로 닭과 인연이 깊은 식물이죠?앞으로 ‘식물 속 동물 찾기’ 코너에서는 한 달에 한번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름 속 동물의 유래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 ...
-
- [BJ맹추의 먹방 TV] 수학적으로 잘 먹어 보자!수학동아 l201702
- 유리메기님께서 제보해 주셨네요. “저는 컵라면을 먹을 때 그릇 대신 뚜껑으로 원뿔 모양 깔때기를 만들어 사용합니다. 그런데 라면을 한 젓가락 집어넣으면 넘칠 때가 많아요. 어떻게 하면 깔때기를 가장 크게 만들 수 있나요? BJ맹추님, 알려 주세요.”컵라면 뚜껑으로 그릇 만들기! 저도 자주 ...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제2화 여자 기숙사 잠입!수학동아 l201702
- 가리켰다.‘네가 좀 풀어 주라고. 내가 이럴 시간이 없어.’다행히 마고가 알아들은 모양이었다. 마고는 역시 대단한 인공지능이었다. 사람이 낸 수수께끼도 단번에 풀었다.마고가 방문에 몸을 부딪쳐 노크를 했다. 연속으로 몇 번 두드리고 잠시 쉬었다가 또 연속으로 몇 번씩 두드리는 식이었다. ...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02
- 장애물을 만나면 휘어져 퍼지는 ‘회절’ 현상을 나타내는데, 이 덕분에 레이저 포인터 모양이 된다.디지털 홀로그래피도 마찬가지다. 이병호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SLM에 실리는 정보를 잘 조절하면, 빛의 회절 원리에 의해 원하는 위치에서 홀로그램 상이 나타나게 할 수 있다”고 ... ...
-
- [Issue] ‘김’ 뜨는 마을 충남 서천 마량항과학동아 l201702
- 육성 종자들을 묶어 슈퍼김이라고 부르고 있었다. 우리가 김을 먹을 수 있는 것은 잎 모양으로 넓적하게 자라기 때문인데, 이 부위를 엽체라고한다. 엽체는 슈퍼종자 함량이 많을수록 넓어진다.여름 동안 준비한 발에 김 포자를 붙여 얼렸다가 각자 지정된 바다에 풀어 10~15일동안 키워서 떠내는 ...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02
- 만들었다.이두진 일본 오키나와 과학기술대학원대(OIST) 연구원팀은 실리콘 표면에 섬 모양의 금 나노입자 구조를 만들어서 민감도가 4배나 뛰어난 바이오센서를 개발해 ‘나노스케일’ 2016년 11월 17일자에 발표했다(doi:10.1039/C6NR07664E).연구팀은 생체분자가 손상되지 않도록 최소한의 플라즈마를 ... ...
-
- [Career] 태양전지, 나노 디자인으로 재탄생할까과학동아 l201702
- 흡수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조 교수와 백 연구원은 반도체 표면 위에 있는 원기둥 모양의 구조물 표면에 물결치는 파도와 같은 주기성을 갖도록 나노구조체를 형성했다. 그 결과 폭넓은 파장대의 빛과 반응해 공명현상을 일으켰고, 가시광선 영역대의 빛들이 반도체에 더 오래 머물면서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