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논리"(으)로 총 1,7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뷰] 수학 국가대표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사실을 실험으로 확인하거나 실제 현실에서 성립하는 것만 정리로 인정하잖아요. 수학은 논리적으로 증명만 하면 되기 때문에 좋아요.조영준 일단 제가 다른 과목보다 수학을 잘해서 좋아요. 그리고 과학은 거대한 진실을 겉에서부터 조금씩 알아가는 느낌이라면, 수학은 속에서부터 하나씩 ... ...
- [맛있는 수학] 추석맞이 베이글 인절미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위상수학은 오늘날 여러 수학 연구의 기반이 되는 기본 논리에 영향을 주는 분야입니다. 위상수학은 겉모습이 아니라 본질에 집중하는 분야고 이는 문제를 해결하는 접근법으로 활용되기 때문입니다. 수학만이 아니에요. 물리학 문제를 풀 때도 쓰이고 산업 현장에서 ... ...
-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놓고 보면 도저히 같은 단어인 ‘물’을 말했다고 생각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이를 논리적으로 프로그래밍하기는 불가능해 보입니다. 그래서 컴퓨터 신경망 프로그램은 ‘물’이라는 수많은 음성 데이터를 입력한 뒤 이 모든 데이터가 ‘물’이라는 말을 뜻하는 것이라고 학습합니다. 학습량이 ... ...
- [따끈따끈한 수학] 컴퓨터 과학 분야 난제, 민감도 추측 2쪽짜리 증명으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증명하는 논문이 공개되더라도 실제로 읽고 정확하게 검증하려면 한참 걸립니다. 복잡한 논리 전개 과정 중에 한 군데라도 수학적 오류가 있는지 꼼꼼하게 검증하려면 시간이 꽤 걸리니까요. 이 논문은 민감도 추측을 바로 증명하지 않습니다. 황 교수는 논문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증명합니다 ... ...
- 설문조사│모기박멸, 해야 할까요?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방사를 실시했다. 기존 생물이 사라질 수 있다는 점도 GM 모기 방사를 반대하는 주요 논리 중 하나다. 모기는 교미한 암컷을 제외하고는 꽃의 꿀을 먹으며 동시에 수분을 돕는다. 또한 생태계에 있는 유기물을 섭취하는 동시에 다른 동물의 먹이가 되기도 한다. 모기가 사라질 경우 이런 먹이사슬이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국 최초의 우주인이 된 여성, 헬렌 샤먼(Helen Sharman)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수 없었다고 했다. 그는 과학, 언어, 음악에 모두 관심이 있었다. 그는 차근차근 혼자만의 논리를 만들었다. 과학 분야는 언어, 음악과 달리 정규 교육과정이 아니고는 배우고 익히기가 쉽지 않다. 과학 중에서도 자연과학 분야를 선택한다면 향후 공학이나 의학 분야로 갈 수 있을 테고, 그중에서 ... ...
- [로보트 재권V] 로봇에게 눈은 뇌와 같다?과학동아 l2019년 08호
- 그리고 비슷하게 생긴 사물들을 하나로 묶어서 일반화하기도 합니다. 그럼 컴퓨터도 논리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버리고 사람처럼 학습을 통해 사물을 알아보게 하면 어떨까요. 이런 생각을 한 사람들이 오래전부터 신경망(Neural Network)이라는 것을 연구했습니다. 인간의 뇌 속에 있는 수많은 뉴런과 ... ...
- [SF에 묻는다] 지마 블루 vs. 카운트 제로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인부들이 그렸습니다. 그렇지만 작품의 창작자로 인정받는 사람은 르윗입니다. 같은 논리라면, 자의식이 없는 인공지능이 만든 예술작품의 창작자는 인공지능의 알고리즘을 만든 사람이겠지요. 이번에 소개한 두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공지능 예술가는 둘 다 인간에게 훌륭한 예술적 경험을 ... ...
- [인터뷰] 박형주 아주대 총장 - 연결’로 문제를 해결하는 폴리매스형 인재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독서를 추천합니다. 수학적인 훈련도 중요합니다. 학습 능력을 기르려면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사유의 능력이 필요한데, 수학이 이런 능력을 기르는데 유용하죠. 아주대에서도 학생들이 문과와 이과를 넘나드는 지적 훈련을 할 수 있도록 여러 변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영재교육에서도 연결이 ... ...
- [알고리듬 시그널] 정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8호
- 분야에 중요한 업적을 남긴 사람에게 수여하는 ‘튜링상’을 받은 학자이기도 해요. 논리력은 물론 이름 짓는 센스까지 남달랐던 것 같네요. 그럼 보글보글 거품 정렬, 시작해볼까요? 참고자료Jwen Astrachan ‘Bubble Sort: An Archaeological Algorithmic Analysis’, 이시다 모리테루, 미야자키 쇼이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