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암을 치료하려면? 오전보다는 오후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저와 같은 병을 가지신 분들을 위해 저는 기초과학연구원(IBS) 수리및계산과학연구단 의생명수학그룹 김재경 CI와 서울대학교병원 혈액종양내과 고영일 교수 공동연구팀의 연구에 참여했지요. 작년 12월 14일, 연구팀은 여성 암 환자의 경우 오전보다 오후에 항암 치료를 받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 ...
- 시민과학콘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더 알릴 수 있게 된 것 같아요. 기록하면 기억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의 이 작은 기록이 생명들에 대한 기억을 오래도록 간직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랄게요. 송현정 대원 반짝진주 팀 하정주 매니저개구리의 노오란 울음주머니가 이 작품의 포인트네요. 김나현 대원 나그네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덕분에 케이크의 단맛을 느끼고 월드컵 16강 진출의 흥분도 느낄 수 있는 완전한 생명체가 됐습니다. 줄기세포를 2차원 평면에서 배양하는 기존 모델은 줄기세포끼리 이런 상호작용을 하기가 어려웠습니다.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고안한 것이 ‘엠브리오이드 바디(embryoid body)’라는 3차원 배아 ... ...
- [과동키즈] “과정을 즐기는 것이 학자의 삶이죠”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모델 시스템으로 어떻게 리보핵산(RNA)이 이 모델에 잘 축적되는지, 이와 관련해 무엇이 생명체의 핵심 물리 화학인지 찾고 있었다. NASA가 연구비 지원을 삭감해 학과 조교 생활까지 병행해야 하는 상황이었지만, 2년 반가량 주말이나 저녁 시간을 쪼개 연구에 매진했다. 이 간절한 끈기 덕인지 2017년 ... ...
- [특집] 물렁물렁 슬라임 과속방지턱부터 로봇까지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말캉말캉 몰랑몰랑! 손으로 만지며 가지고 놀 수 있는 이 장난감의 이름은 슬라임이에요. 슬라임을 만지다 보면 스트레스가 날아가기도 하고 마음이 편안해지죠. 슬라임이 이렇게 액체 같기도 하고, 고체 같기도 한 이유는 뭘까요? 슬라임의 원리와 다양한 활용에 대해 소개합니다. ▼이어지는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 세계에도 ‘공짜 배움’은 없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단체 생활을 통해 학습을 한다(사회적 학습). 특히 먹이의 위치, 종류, 독성 여부 등 생명에 지장을 주는 위험 정보나, 인지 기술을 사용해 먹이를 찾고 먹는 방식은 반드시 배워야 한다. 영장류가 다른 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청소년기를 보내는 이유 역시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학습해 성체 수준의 ... ...
- [DGIST@융복합 파트너] 실리코팜. 불치병 정복을 목표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구매자들이 사용한 데이터가 다시 솔루션을 고도화하는 데이터로 사용된다면, 더 많은 생명 현상을 모사할 수 있게 돼 뇌과학 연구를 위한 AI 도구로도 사용할 수 있을 거라 보고 있다. 이를 사용하면 지금은 불가능한 수준의 연구가 가능해진다. 김 공동대표가 그리는 더 큰 연구는 실리코팜의 첫 ... ...
- 스토리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더러워진 환경에서 살아남지 못했다.하지만 회색 빛깔로 물든 지구에는 아직 단 하나의 생명이 남아 있었다.바로 어린 왕자가 만난 그 여우의 친구.은여우.그 은여우는 살아남고 싶었다.끝까지 소원을 빌었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뇌에 컴퓨터 칩을 심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미리 보여주는 역할을 해요. 그렇다면 영화 의 제이크처럼 훗날 우리도 다른 생명체나 물건과 원격으로 연결될 수 있을까요? 훗날이 아니라 어쩌면 가까운 미래에 현실이 될지도 모릅니다.실제로 지난해 11월 30일 미국 기업 테슬라의 창업주이자 뉴럴링크 CEO인 일론 머스크가 엄청난 소식을 ...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통신이 이 둘 사이에서 일어날 때 신경을 안 쓸 수 없는 존재가 바로 ‘대기’다. 지구의 생명이 숨 쉬고 살아가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대기지만, 직진성이 강한 레이저 통신에 대해서는 대기가 그리 호락호락한 통신 길을 열어주지는 않는다. 사막의 신기루 현상은 뜨거운 여름날 도로 저 먼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