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역"(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데이터 쪼개고 합쳐 구축한 스마트팩토리과학동아 l2022년 01호
- 필요한 데이터를 구할 수 있습니다.이번 논문에서 사용된 2D DWPT는 데이터를 시간-주파수 영역대를 갖는 신호로 변환하는 기법입니다. 하나의 데이터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신호를 추출해 피라미드 형태의 계층 신호 집합으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 이때 각 계층으로 쪼개진 신호들은 기존의 이미지보다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마인크래프트에 생태계 피라미드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번째 피라미드에 영역을 나눠라생태계 피라미드의 내부는 영역이 나뉘어 있고 각 영역에는 식물을 뜻하는 ‘생산자’와 이를 먹이로 하는 동물 등의 ‘소비자’가 있어요. 이번에는 피라미드의 내부 구조를 만들어 볼게요. ➊ 코드 작성기에서 앞서 만든 채팅명령어 코드에 마우스 오른쪽 ... ...
- [현장취재] 환경·사회 문제 함께 해결해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할 종이 있었다고 밝혔어요. 시민과학자와 협업이 불가능할 것 같은 거미 분류학 영역에서 시민과학의 필요성과 전문연구자, 시민과학자의 역할을 제시해 준 모범적인 사례라는 평가를 받았지요. 땅후루 팀의 김현구 연구원은 대상을 수상하며 “시민과학자와 함께하며 그들의 열정에 놀랐는데, ... ...
- [4컷 만화] 소행성 ‘카모오알레바’, 실은 달의 파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24호
- 미국 애리조나대학교 비슈누 레디 교수팀은 11월 11일 지구 주위의 소행성 ‘카모오알레바’가 달에서 떨어져 나간 조각이라고 발표했습니다.2016년, 미국항 ... 소행성과 충돌 후 달에서 떨어져 나간 조각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답니다.●스펙트럼 : 파장 영역에 따라 분류한 빛의 분포 ... ...
- [기획] 허블 우주망원경 이번에도 부활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6호
- 일을 하며 가장 힘들 때가 언제인가요?1990년 발사된 허블 우주망원경은 지금까지 천문학 영역에서 활약하고 있답니다. 30년 동안 수많은 과학자가 허블을 통해 별과 우주를 연구해왔어요. 따라서 망원경을 수리하고 보수하는 일이 눈에 띄진 않지만, 매우 중요해요. 하지만 허블 우주망원경의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4호
- 다른 사람이 간질일 때만 활성화됐죠. 반면에, 스스로 간질일 때는 계획에 관련되는 영역인 소뇌의 활동이 활발했답니다. Q담배 연기가 환경오염에도 영향을 끼치나요? 김리하(emma_rh) A 2017년, 세계보건기구(WHO)는 담배가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했어요. 담배 연기 속에는 각종 ... ...
- 야생동물이 사람을 세 번 만났을 때과학동아 l2021년 12호
- 개월이 걸렸다. 2019년 GPS 장치를 달고 방생된 수리부엉이는 무사히 야생에 적응해 자신의 영역을 확보했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난 지난해 9월, 다시 구조센터에 구조됐다. 수리부엉이가 다리에 창애(용수철 원리를 이용한 덫)가 걸린 채로 힘겹게 도망다니는 것을 어느 시민이 발견한 덕분이었다. GPS ... ...
- [기획] 노벨물리학상, 기후와 물질 속 혼돈에서 질서를 발견해내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찾아냈다는 평가와 함께 해당 연구는 생물학과 신경과학, 기계학습과 같은 다양한 영역에 대한 설명을 가능케 한다고 평가했다. 결국 올해 노벨 물리학상은 복잡계가 자연을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평가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지구과학 분야, 역대 두 번째 노벨상 수상 필자는 2016~2018년 ... ...
- [NST, 모두의 연구] 암흑 우주 속 은하 ‘화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먼 과거의 은하 병합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흐린 눈으로 전체를 살피다극미광 영역은 그동안 관측이 어려워 천문학에서 잘 연구되지 않는 분야였다. 2017년 연구를 시작한 고 선임연구원도 곧 난관에 부딪혔다. 더 어두운 부분을 관측하려면 직경이 큰 망원경이 필요했다. 미국 하와이에 스바루 ... ...
- [이슈] 수학으로 찰칵찰칵! 엘사와 우디 얼굴로 바뀌는 비결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콧대는 주변보다 색이 밝아요. 그래서 기다란 모양의 영역이 주변보다 밝으면 해당 영역을 콧대라고 파악하고 그 윤곽선을 따라 점을 찍는 거예요. 일반적으로 얼굴당 수백 개의 점을 찍어요. 핵심기술3. 점 이어 얼굴 특징 나타내기 이제 얼굴에 생기를 불어넣을 차례예요. 이마가 나온 사람,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