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름"(으)로 총 7,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창원대학교 국립대학 육성사업, 300평의 스마트 팩토리에서 글로컬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곳이 없습니다.” 박사과정 3년 차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출판 논문의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린 김우영 스마트제조융합협동과정 연구원은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던 비결로 연구 인프라를 꼽는다. 미세공정 연구는 자외선 파장대역의 빛이 없는 곳에서 이뤄져야 한다. 스마트 팩토리 1층에 있는 ... ...
- 3중으로 안전하게 나노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부착해 정보를 담을 수 있어요. 김 교수는 “머리카락이나 반도체와 같이 작은 물체에도 이름 붙일 수 있어, 사물인터넷(IOT*) 실현에 도움될 것”이라며 “개미나 대장균 생명체에 붙이면 아주 작은 생물도 하나씩 식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어요. 용어정리* IOT(사물인터넷):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탐험대] 다누리 호 / 폭풍의 바다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7호
- 탐사국이 됐어요. 다누리 호는 달의 상공*100km에서 궤도*를 돌며 달을 관찰하고 있어요. 이름인 ‘다누리’는 달을 마음껏 즐기라는 뜻으로 붙여졌지요. 폭풍의 바다 다누리 호는 올해 1월, 달 표면*의 사진을 찍어 지구로 보내왔어요. 사진 가운데는 폭풍의 바다도 있었어요. 폭풍의 바다는 ... ...
- [Reth?nking] 대수와 기하는 어떤 관계인가?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눈금 없는 자만을 이용해서 풀 수 있는 작도 문제예요. 두 번째는 입체 문제라고 이름을 붙였는데요. 원뿔을 잘라서 얻을 수 있는 곡선, 즉 원뿔 곡선을 이용해서 풀 수 있는 문제예요. 마지막 세 번째는 앞선 두 방법으로 풀 수가 없는, 훨씬 더 복잡한 곡선이 필요한 문제예요. 데카르트는 이 ... ...
- 소리없는 전쟁의 새로운 국면들... 인간vs.곤충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옥시텍(Oxitec)은 유전자 조작 수컷 모기 ‘프렌들리(Friendly)’를 개발했다. 친근한 이름과 달리 이 수컷 모기의 딸은 불행한 운명을 타고난다. 옥시텍이 수컷모기의 유전자에 ‘tTAV’라는 단백질을 만드는 유전자를 삽입했는데, 해당 유전자를 물려받은 암컷 모기는 모두 성충이 되기 전에 죽기 ... ...
- [SF소설] 귀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데려가 우주선을 구경시켜줬다. 동기인 로렌츠와 알게 된 것도 그때였다. ‘레사’라는 이름을 가진 우주선은 매끄러운 원형이었고 고층빌딩만큼 거대했다. 우린 함께 난간에 기대서 우주선을 바라보곤 했다. 지아의 연락이 뜸해진 무렵, 난 최종 후보로 선발됐다. 후보였지만 사실상 확정이나 ... ...
- [만화뉴스] ‘키아누 리브스’처럼 강하다! 새로운 항균물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붙였어요. 영화 에서 악당을 제거하는 킬러 역할을 맡은 배우 키아누 리브스의 이름을 따왔지요. 키아누마이신은 흙이나 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슈도모나스 균에서 발견됐어요. 실험 결과, 키아누마이신은 인간과 식물에 해로운 곰팡이를 모두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됐지요. 독일 ... ...
- [숫자뉴스] 드디어 찾았다? 피라미드 건축의 비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7호
- 물줄기)’라고 지었어요. 기자 피라미드 중 가장 큰 피라미드인 쿠푸왕의 피라미드에서 이름을 따왔지요. 먼 옛날 쿠푸 지류는 알맞은 물 높이를 유지해서, 피라미드의 재료인 거대한 돌을 배에 실어 옮기기에 적당했던 것으로 분석됐어요. 연구팀은 이집트인들이 이 물줄기를 이용해서 피라미드를 ... ...
- 미국 대통령도 아인슈타인도 증명 도전! 피타고라스 정리수학동아 l2023년 07호
- 고대 그리스의 피타고라스학파가 이 사실을 연구했다고 알려져 피타고라스 정리라는 이름이 붙었습니다. 그러나 2021년 대니얼 맨스필드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학교 수학 및 통계학과 교수가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피타고라스학파보다도 먼저 고대 바빌로니아인이 피타고라스 정리를 알고 ... ...
- [뉴스&인터뷰] 키를 결정하는 80%의 비밀...유전자 읽어 미래 키 알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2008년 국제학술지 ‘네이처 리뷰스 제네틱스’에 발표한 논문입니다.(페터르 비셔르라는 이름을 기억해 두세요. 뒤에서 또 나올 겁니다.) doi: 10.1038/nrg2322 유전율이라고 하면 ‘유전이 얼마나 잘 되느냐’란 뜻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그게 아닙니다. 비셔르 교수는 논문에서 유전율을 “어떤 ... ...
이전22232425262728293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