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리말
우리글
한국문자
국어
한국어
flash
photoshop
d라이브러리
"
한글
"(으)로 총 772건 검색되었습니다.
Smart D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글쎄 Smart D가 부족하다지 뭡니까. 아시죠? 키보드에 있는 그 D라는 글자 말이에요. 그리고
한글
자판으로는 ㄷ자판. 자판에 보면 다른 글자는 안 그런데 그 두 개의 자판에는 작은 글자로 뭐라고 적혀 있잖아요. 저도 그걸 자세히 본 적은 한 번도 없었는데, Smart DTM이라고 적힌 것이더군요. 아니 멀쩡한 ... ...
점이 뚱뚱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예로 이 분야에 크게 공헌한 언어학자 미하엘 시사우를 들 수 있다.n×n으로 배열된 점을
한글
자음 ‘ㄹ’ 모양으로 (2n-1)개의 직선을 연결한 것을 ‘자명한 해’라고 하자. 지금까지 얻은 결과에 따르면 'ㄹ' 모양을 만드는데 필요한 직선의 최소 개수는 자명한 해보다 하나 작은 (2n-2)개다.(2n-2)개의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대표적 예다자음과 모음을 합해 글자를 만드는 결합 형태를 말한다 생산성이 좋아서
한글
의 자모 24자를 조합하면 1만2천여자의 음절을 만들 수 있다낱소리를 기준으로 만들어진 문자로 자음과 모음의 분간이 있는 글자다
한글
, 로마자 등이 음소문자에 속한다현재 지구상에서 일어나고 있는 ... ...
일본의 소행성 탐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토론을 벌이는 형태 PC통신의 대화방을 세계화시킨 것 보통 영어로 진행되지만,
한글
IRC도 있다원래 게시판 형식으로 여러 가지 주제에 대해 각자의 의견을 전하는 성격이 강했으나, 채팅이나 대화(talk)의 기능이 부여되면서 가장 간단하게 인터넷의 묘미를 맛볼 수 있는 곳 상용 통신 서비스에서도 ... ...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서비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데이타통신에서 '천리안'이라는 비디오텍스 시스팀을 개발,
한글
화작업의 마무리를 하고 있다식물체의 일부인 가지나 잎을 어미나무에서 잘라내어 완전한 개체로 생육시키는 일 꺾꽂이2개의 별이 서로 만유인력으로 끌어당기면서 공통의 중심을 공전 하는 것 태양보다 ... ...
내 이빨은 모두 몇 개일까? 치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한글
을 만들어 반포한 때는 몇 년인가? 필자는 세종대왕이
한글
을 왜 만들었는지 깨닫는 게 중요하지 연도를 외우는 건 중요하지 않다고 본다. 마찬가지로 해부학 시험에서도 숫자를 외워서 쓰는 문제는 거의 없다.그러나 기본적인 숫자는 외워야 한다.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치아의 개수다. 출생 후 ... ...
당신의 가.로.본.능.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이 교수는 흥미로운 실험을 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가로로 쓰인
한글
과 세로로 쓰인
한글
의 읽기 능력을 비교한 것이다. 그 결과 가로는 한 번에 평균 4.6자를, 세로는 평균 3.6자를 읽는다는 것을 알아냈다. 세로보다는 가로로 읽을 때가 식별능력이 더 뛰어난 것이다. 이유가 뭘까. 보통 글을 읽을 ... ...
BBC 과학과 자연 - 멀티미디어로 즐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바탕화면에서 직접 볼 수 없을까하는 생각에서 검색을 하던 중 윈도용 Xplanet을 찾아 이를
한글
로 자세하게 소개한 곳이다.실시간 지구를 보고 싶으면 먼저 xplanet 프로그램을 설치한 후 홈페이지에 나와 있는 설명을 참조해 여러가지 옵션을 잘 조절해야 한다. 옵션에 따라 바탕화면에 구형의 지구 ... ...
뇌에도 유쾌한 운동이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유명해지자 출판사에서 먼저 연락이 왔다. 이렇게 탄생한 것이 그의 책이었다.“요즘
한글
로 나온 수학퍼즐 책 중 가장 어려울걸요.” 그는 오히려 자신의 책이 조금 어려운 것이 인기의 비결이라고 생각한다. 그간 대부분 수학퍼즐 책들은 문제 바로 뒤에 답만 덩그러니 있는 경우가 많았다. 설명도 ... ...
조선시대 이미 식이요법 있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한 서지학자에게 발굴된 것은 지난 2003년. 역자인 김종덕 사당한의원장의 1년이 넘는
한글
번역작업 끝에 지난 1월 완역됐다.김 원장은 “당시 백성들은 약초를 구하거나 변변한 의료혜택을 받기 어려워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식재료로 병을 다스리는 법이 일찍부터 발달했다”고 설명한다.이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