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안
바닷가
연해
해안선
해변
물가
연해변
뉴스
"
연안
"(으)로 총 35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닷물 분석해 희귀동물 ‘고래상어’ 개체수 알아냈다
2016.11.22
IUCN)이 정한 멸종위기종이다. 연구팀은 고래상어 무리가 나타나는 카타르
연안
20곳에서 각각 바닷물을 1.5리터씩 떠 와 고래상어의 eDNA를 추출해 분석했다. 추출한 DNA로 개체 수를 추정한 결과 해당 지역에 나타난 고래상어의 개체 수는 약 300마리인 것으로 결론 내렸다. 또 수컷이 암컷보다 2배가량 ... ...
문어에 대한 궁금증 3가지
2016.11.13
온도가 낮은 수온을 좋아하지요. 계절에 따라 이동을 하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연안
바위틈에 정착해 살아갑니다. 참문어는 대문어보다는 높은 수온을 좋아합니다. 대략 13~20℃ 정도로 알려져 있지만 온대, 아열대, 열대 지역에 고르게 분포하기 때문에 20℃ 보다 높은 수온도 좋아하지 않을까 ... ...
北·中 해양쓰레기 한국 유입경로 밝혔다
2016.11.05
갈조는 물론이고 해양쓰레기의 이동을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해양과
연안
에서 발생하는 국제적 이슈와 관련해 과학적인 근거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오는 ‘2016 가을 전어’
동아사이언스
l
2016.10.07
시작합니다. 여름내 살이 통통하게 오르고, 가을이 되면서 수온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연안
가로 돌아옵니다. 전어 입장에서는 힘들게 알을 낳고 이제야 겨우 살만해져서 돌아왔더니 인간에게 잡히는 상황입니다만, 우리에게는 이게 얼마나 큰 행운이랍니까. ● 회 vs 구이, 전어를 제대로 즐기는 ... ...
미세플라스틱의 거대한 위협
2016.10.04
2주차인 유럽퍼치 치어의 모습으로 맨 위는 미세플라스틱이 없는 대조군이다. 스웨덴
연안
의 미세플라스틱 농도에서는 미세플라스틱이 하나 보이지만(중간), 8배 높은 고농도 조건에서는 10여개가 보인다(아래). 연구자들은 물고기가 진짜 먹이인 동물플랑크톤보다 미세플라스틱을 더 선호한 ... ...
부산-울산 또 악취… ‘지진 괴담’ 확산
2016.09.26
90% 이상”이라고 말했다. 낙동강 하구에서 흘러나온 퇴적물이 거제도부터 포항까지
연안
을 따라 수백 m 두께로 쌓여 ‘낙동강 머드벨트’를 만드는데 이 퇴적물이 썩으면서 황화수소 같은 바이오 가스를 만들고 지진으로 해저 지반에 틈새가 생기면서 대량으로 분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 ...
전진 이어 본진, 만만찮은 여진까지… 지진이 닥치는 순서
2016.09.13
2011년 발생한 규모 9.0의 동일본 대지진의 여진일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일본 산리쿠
연안
에서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은 약 2만6000명의 사상자를 낸 강진이다. 지헌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진연구센터장은 “동일본 대지진으로 일본 땅이 태평양 쪽으로 무리하게 잡아 당겨졌고, 이런 힘의 ... ...
[강릉 향호] 엄마의 마음을 닮은 향호를 다시 걷다
2016.09.01
원료로 쓰이는 하얀 모래다. 이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가만둘 리 없었다. 호수 동쪽
연안
엔 규사 채취공장이 있었다. 규사 채취는 무려 20년 이상 계속되었다. 수심은 점점 깊어졌다. 호수 바닥을 헤집어 놓으면서 수질은 더욱 악화되었다. 사시사철 풍성하고 다양한 어종을 볼 수 있는 호수라는 말은 ... ...
필리핀 ‘엘니도’ 바다색이 에메랄드빛인 이유
2016.08.28
서서히 감소하고 있다는 조사결과를 보고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 현재 북태평양
연안
의 실제 클로로필 분포도와 클로로필 농도가 0일 때의 시나리오를 비교한 것이다. 그 결과 북태평양 지역에서 시계방향으로 바다가 순환하는 아열대 환류 지역에서 클로로필 농도가 감소하며 바다가 ... ...
제주 바닷물이 싱거워진 까닭은 중국… 양식 피해 ‘심각’
2016.08.23
분석한 결과 7월 초 중국발 저염분수가 대량으로 유입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달 초 제주
연안
까지 확산된 저염분수는 현재 제주 북부해역을 지나 해류를 따라 남해까지 확산되고 있다. 연구진은 저염분수 확산이 지난달 초 중국 유역에 내린 집중호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올해 양쯔 강의 유량은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