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승인
체크
점검
증명
확정
대조
스페셜
"
확인
"(으)로 총 5,003건 검색되었습니다.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클러스터린이 직접적으로 인간의 뇌 속 염증 관련 기전을 저하시킬 수 있는지 인체에서
확인
된 바는 없으므로 후속 연구 결과를 기대하면 좋을 듯하다. 클러스터린 발견과 관련된 연구를 통해 생각해볼 수 있는 것은, 운동에 의한 뇌기능 향상은 신체와 뇌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의 ... ...
[기후위기와 산림] 기후위기 시대 탄소 역배출로 재조명받는 '숲'
2022.12.22
중단 약속의 이행을 점검 및 독려하고, 산림의 중요성과 산림 재원의 필요성을 재
확인
했다. UNFCCC COP27에서 열린 산림기후 정상회의. 우리나라에서는 나경원 기후변화특사가 참석했다. 산림청 제공 하지만 탄소 흡수·제거 활동에 대해 부정적인 시선도 있다. 파리협정 이전의 흡수·제거 활동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휘발유와 경유 가격 역전의 진실
2022.12.21
발생하는 손실은 고스란히 정유사의 몫으로 남게 된다. 소비자가 유류세 납부 사실을
확인
할 수 없도록 만들어버린 것도 국세청의 고약한 꼼수다. 정유사가 납부한 유류세는 소비자에게 발급하는 영수증에도 표시되지 않는다. 절차가 복잡하거나 어려워서가 아니다. 국세청이 소비자의 알 권리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번데기 우유'로 공동육아하는 개미사회
동아사이언스
l
2022.12.17
먹지 못하게 하자 성장이 멈추고 상당수는 죽었다. 5종류의 개미에게서 같은 현상이
확인
됐다. 이어 개미들이 영양물질을 섭취하지 않은 번데기는 곰팡이에 감염돼 죽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화한 개미와 번데기는 성장과정에서 서로를 돕고 있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전까지 개미사회에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항암제 무력화하는 암세포 내 미생물의 정체
2022.12.13
환자 113명의 암조직을 분석한 결과 76%인 86명에서 이 효소를 지닌 박테리아의 존재가
확인
됐다. 이스라엘 와이즈만과학연구소에 자리를 잡은 스트라우스만 박사는 2017년 학술지 ‘사이언스’에 이 결과를 발표해 주목을 받았다. 3년이 지난 2020년 스트라우스만 박사팀은 역시 ‘사이언스’에 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탄소에 대한 저주, 도 넘었다
2022.12.07
‘탄소의 과학’이라고 할 수 있는 화학을 포함한 현대 과학과 기술이 인간의 정체성
확인
과 문명 발전의 견인차 역할을 해왔고, 앞으로도 그런 사실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현대 과학이 인간의 문제를 고민하는 인문‧사회‧문화‧예술과의 적극적인 융합을 위해 노력해야 하는 것도 그런 이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새옹지마...에이즈와 HIV감염, 항암제
2022.12.06
사용해도 안전하고, 사람의 몸에서 면역을 담당하는 세포 수 증가와 면역력 회복을
확인
함으로써 지도부딘이 HIV 치료제로 승인되었다. 새로운 암 치료제를 찾으려는 목표로 열심히 연구하여 얻은 물질이 결과적으로는 사람의 암 치료에 아무 쓸모가 없는 물질로 판명되었지만 20여 년이 흐른 후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람은 거기서 거기"...나에게 어려운 건 남들도 어렵다
2022.12.03
것은 크게 두 가지 메시지를 주는 듯 하다. 하나는 내가 이상한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
시켜 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다른 사람들도 생각보다 이해하기 어렵고 다가가기 어려운 존재가 아니라는 친밀감이다. 사람 다 거기서 거기다. 연말을 맞아 평소 어렵게 생각했던 사람들에게 한발짝 더 ... ...
[표지로 읽는 과학] 구글 양자 프로세서로 순간이동 ‘웜홀’ 가능성 엿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3
것을 관찰했다. 그 결과 다른 쪽으로 전송이 일어나 웜홀과 유사한 효과를 냈다는 사실을
확인
했다. 연구팀은 “양자 프로세서를 통해 이뤄진 큐비트의 순간 전송은 웜홀과 같은 효과로 볼 수 있을 것”이라며 “양자 중력 이론을 테스트하고 웜홀의 가능성을 제시한 첫 시뮬레이션이라는 데 ... ...
[표지로 읽는 과학] '절전모드'로 뇌 과부하 막는 효소
동아사이언스
l
2022.11.26
실시했다. 정보가 전달될 때 양성자가 얼마나 활성화되는지 전기 신호를 분석해
확인
했다. 분석 결과 이 효소는 지속적으로 양성자를 활성화하진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효소는 ‘활성화 상태’, ‘비활성화 상태’ 그리고 ‘양성자를 누출시키는 상태’ 3가지 상태로 돌아가면서 전환되는 ... ...
이전
22
23
24
25
26
27
28
29
3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