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궁극
마지막
극도
결과
d라이브러리
"
결국
"(으)로 총 6,098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속으로 얼음이 가라앉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거꾸로 간다. 즉 36℃ 이하가 되면 온도가 떨어질수록 비열용량이 커지는 것이다.
결국
36℃에서 물의 비열용량이 가장 낮다. 온도를 올리는데 가장 적은 에너지가 든다는 뜻이니 36℃에서 물은 가장 열을 잘 받는다고 말할 수 있다. 인간의 체온과 비슷한 온도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걸 보면 물은 ... ...
내 몸속 유전자 99%는 미생물의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합치면 유전자가 약 200만 개 들어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사람의 유전자는 3만~5만 개다.
결국
인체 내 유전자의 99%는 사람의 것이 아니다. 사람이 ‘사람처럼’ 살 수 있는 이유는 이로운 미생물 덕분이다.의학이 발달하면서 사람은 세균 감염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 치료제를 만들고 백신을 개발해 ... ...
전송 오류를 잡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e2≠d2이거나 e3≠d3인 경우도 e1≠d1인 경우와 같이 생각하면 H(d^, e^)=3임을 알 수 있다.
결국
(i), (ii)의 어느 경우든 H(d^, e^)≥3이 성립한다. 4) 다음과 같이 두 명제를 보일 수 있다. (a) f^∉Y 먼저 d^는 4자리의 문자열을 제시문 (라)의 방식에 따라 7자리로 바꾼 것이므로 Y의 원소이다. f^는 ...
PART 4 아름다운 수학의 결정체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시작했어. 맨 꼭대기의 종루를 탑의 중심축과 상관없이 지면과 수직으로 짓기로 했지.
결국
1372년에야 탑이 최종 완성됐어. 이미 수직에서 1.4m나 기운 상태였지만 말이야.그 뒤로도 탑은 계속 기울어 1900년대엔 최대 5.5m까지 기울기도 했어. 이탈리아는 세계의 수학자와 기술자에게 해결책을 물었지. ... ...
수학으로 소프트웨어 시장을 장악하다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아시는 것처럼 아래 한글이라는 대표적인 워드프로세서가 있잖아요. 이 프로그램에 밀려
결국
힘든 시기가 찾아왔죠.” 비 온 뒤에 땅이 굳는 법! 1999년 알집의 성공으로 새로운 도약의 기회가 찾아왔어.“서울대 수학교육과 출신의 민영환 이사가 사내에서 쓸 목적으로 압축프로그램을 ... ...
경험을 측정하는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의견을좀 더 구체화했다. 가장 우수한 아이디어가 나올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했다.
결국
최종선택된 아이디어들을 종합해 제품 콘셉트를 수립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만들어 갔다.이번 콘셉트에는 자료 조사팀이 현장에서 찾아낸 아이디어가 선택됐다. 현장팀은 적지 않은 사용자들이 ... ...
호러 마니아가 '좀비'에 열광하는 까닭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주인공의 애인이라면, 주인공은 엄청난 갈등에 빠지게 된다. 내 친구와 가족이
결국
나를 공격하는 적이 되고마는 것이다. 나를 사랑하는 눈길로 바라보던 눈동자가 이제는 그저 먹이를 갈구하는 짐승의 눈이 됐다. 따뜻하던 손길과 입술이 이제는 나를 움켜쥐고 뜯어먹으려는 아귀가 됐다. 누구는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백두산 지하의 마그마 방을 활성화시켜 고온의 열을 가진 가스를 방출했다고 해석했다.
결국
백두산은 지하에 열원, 즉 마그마가 살아 있는 활동적인 화산이다. 한 중국 화산학자는 KBS 인터뷰를 통해 2014년과 2015년의 분화 가능성을 제시했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추측일 뿐이다. ... ...
8분마다 기상예보가 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이 자료에서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영상을 추출해 우리나라의 기상 분석에 쓰고 있다.
결국
30분 간격으로 기상위성자료를 받는 것이다. 천리안위성 기상탑재체의 성능은 MTSAT-2와 유사하지만, 관측 일정을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그러면 매시간 4차례 정도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영상을 ... ...
로봇의 미래를 말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기술이 잘못 만들어졌거나 디자인의 문제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의 주장이다.
결국
로봇의 발전방향을 찾고 비전을 제시하고, 실제로 만들어 운영하는 것 모두 인간의 역할인 만큼 로봇 자체의 발전이 인간을 위협하는 것은 아니라고 네그로폰테 교수는 설명했다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