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빌'에 등장한 16개 인격체 가진 여성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청년 아론 스탬플러는 대주교를 살해한 죄로 경찰에 체포된다. 그러나 그는 대주교에게 책을 돌려주려고 그 방에 들어갔다가 그만 정신을 잃고 쓰러졌는데, 깨어나 보니 온몸이 피범벅이 돼 있었다고 변명한다. 스탬플러가 다중인격자임을 알게된 베일 변호사는 재판 중에 검사가 스탬플러를 ... ...
- 노우드 핸슨의 발견의 유형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문제가 모두 이론 의존적이며, 개념적 조직화를 통해서만 이해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이 책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물리학과 과학사에 대한 기초 지식이 어느 정도 필요하지만, 기본적으로 논의하고 있는 문제 자체가 과학 지식의 발견과 성장인 만큼, 일반 독자들도 본질을 파악하는데 큰 어려움은 ... ...
- Ⅰ. 인간게놈프로젝트가 밝힌 생명의 신비8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반복염기서열 DNA를 모으는 것이 생존을 위해 필요하다.4 바이러스 닮은 유전물질 운반책반복염기서열의 불가사의한 분포일반적으로 반복염기서열의 요소(repeat elements)들은 게놈 상에서 AT염기서열은 풍부하지만, GC 염기서열은 상대적으로 적은 황량한 사막과 같은 구역에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SINE ... ...
- 행운을 만드는 생물공학계의 아이디어 뱅크 이상엽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그 무엇보다 큰 가르침이 됐다는 말이다. 그래서일까 그는 제자들에게도 자기 자신에게 책임질 수 있는 것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그래서 학생들과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으면 무섭게 화를 낸다. “자신이 언제까지 실험을 한다고 했으면 하루 24시간을 48시간으로 늘려 사용하던 밤을 ...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정보저장 수단이 더이상 책에 국한돼 있지 않다. 한개의 엄지손가락 만한 메모리 칩에 책 1만권에 해당하는 정보인 10억 비트(이진수 0 또는 1의 정보를 저장하는 디지털의 기본 기억단위)를 담을 수 있게 됐다. 공장 건설비용 12년 후 30배로 증폭정보의 전달과 처리 방법은 어떤가. 전달방법에 있어서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생거 센터의 소장인 설스톤박사도 게놈 연구자료를 세계 과학계에 무료로 제공하는 정책에 크게 기여했다. 설스톤박사는 2000년 6월에 인간 유전자 초안을 공개하는 자리에서 “인간이 인간을 만들 수 있는 매뉴얼이 우리 손에 쥐어지는 역사적인 시간이다”라고 말했다.워싱턴대 게놈 센터 (genome ... ...
- 목숨 걸고 펼치는 가상전투게임 '아바론'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그건 좁은 의미에서의 가상현실인 것 같아요. 만화를 하나의 가상현실로 가정하면, 만화책을 본다고 해서 현실을 만화처럼 사는 것도 아니잖아요. 우리는 매번 형태가 틀릴 뿐이지 가상현실을 느끼고 있습니다. 어떤 인터페이스로 다가오든 걱정보다는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겪어보는 것이 ... ...
- 스티븐 호킹의 우주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한편, 우주관의 변화를 세계관과 연관시킴으로써 인문학적 재미를 준다. 특히 이 책은 수식 대신 한쪽에 1-2장 정도의 대형 컬러 사진, 특히 허블 우주망원경이 찍은 현란한 사진을 감상하면서 어릴적 꿈을 떠올리며, 내용을 시각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꾸민 것이 특징이다 ...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대해서 우리 스스로 소홀히 했다는 것이다. 어느 신문기자는 글쓴이가 쓴 우리 별자리 책을 두고, “우리 별자리에 대한 것을 있는 대로 짜내었다”고 했던가. 이 말도 틀리지는 않지만, 이런 일을 처음 시도했다는 사실이 더 중요하다고 본다. 시작은 해놓았으니 누군가 우리 주변에서 재미있는 우리 ...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과학동아 l2001년 02호
- 바래요” 라며 “그리고 자신이 잘 할 수 있는 것을 찾는 것이 중요해요. 나는 어렸을 때 책을 다방면으로 많이 읽어서 그런지 다양한 시각으로 현상을 보고 종합하는 능력은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유학가서 미국학생들의 창의적인 발상에 놀랐어요. 내가 부족하다는 것을 느낀거죠. 하지만 ... ...
이전2672682692702712722732742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