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뉴스
"
생물
"(으)로 총 5,618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박 속살은 원래 빨간색이 아니었다
2020.07.21
오늘날 수박과 비슷한 맛과 색을 지녔다는 결과가 나왔다. 뮌헨대 제공 한편 지난해 5월
생물
학분야 학술논문 선공개사이트인 바이오아카이브인(bioRxiv)에는 3500년 전 이집트 미라가 들어있는 관에 깔았던 수박 잎의 게놈을 해독한 연구결과를 담은 독일 뮌헨대 연구자들의 논문이 공개됐다. 보통 ... ...
KIST 부원장에 양은경 연구기획조정본부장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밝혔다. 양 신임 부원장은 서울대 화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석사와 미국 스탠퍼드대
생물
리화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1년 KIST에 입사해 연구원으로 테라그노시스연구단장, 대외협력본부장, 의공학연구소장, 연구기획조정본부장 등을 거쳤다. 양 신임 부원장은 KIST 두 번째 여성 부원장이다. ... ...
[백신 업데이트] 중국 시노벡이 브라질에서 9000명 대상으로 3상 실시
2020.07.21
중국 시노백
생물
유한공사가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3차 임상시험이 브라질에서 추진된다. 상파울루주 정부는 20일(현지시간) 기자회견을 통해 '코로나백'(coronavac)으로 알려진 시노백의 백신을 이용한 3차 임상시험을 이달 21일부터 상파울루 시내 병원인 ... ...
영국 옥스퍼드대 코로나19 백신 "모든 투약자 면역 반응 생성"
연합뉴스
l
2020.07.21
제공 한편 이날자 랜싯에는 옥스퍼드대 개발 백신 외에 중국 칸시노(CanSino·康希諾)
생물
주식회사와 군이 함께 개발 중인 백신의 중간 연구결과도 실렸다. 이에 따르면 500명 이상을 대상으로 한 시험에서 백신 투약자는 대부분은 전반적인 항체 면역반응을 형성하는 데 성공했다. ... ...
"기초연구 주도권 잡을 기회 놓쳤다" '방역선진국' 한국 기초연구에선 목소리 못내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생겼는데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바이러스를 안전하게 연구하기 위해서는
생물
안전3등급(BL3) 시설이 반드시 필요한데 충분하지 않아 실험이 충분히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유전체 시퀀싱(해독) 외에는 국내에서 할 수 있는 게 많지 않은 실정에서 '포스트 ... ...
해류추적-공기장벽...바다 쓰레기 청소하는 '착한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바다
생물
의 서식지를 파괴하고, 잘게 부서진 쓰레기들은 먹이로 오인돼 이를 섭취한 바다
생물
의 목숨을 앗아간다. 사람들에게도 선박사고를 일으키고 마을어장의 어업 생산성 저하를 가져오는 등 직접적인 피해를 준다. 국내의 경우 선박사고로 해마다 3700억원의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집계된다. ... ...
[프리미엄리포트]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07.18
무
생물
일까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바이러스는
생물
학 무기가 될 수 있을까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 ... ...
[과학게시판] KIOST-한국야쿠르트 해양미세조류 유래 추출물 MOU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07.18
및 고유종, 나아가 진화의 기본적인 메커니즘 대해 소개한다. GIST 교육 프로그램 ‘진화
생물
학 및 필드트립’에 참여한 재학생들의 갈라파고스 제도 탐사 노트를 재구성했다 ... ...
[잠깐과학] 진흙탕 싸움된 화석 전쟁, 공룡연구의 신기원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7.18
드링커 코프입니다. 마시는 1831년 10월 29일, 코프는 1840년 7월 28일 미국에서 태어난 고
생물
학자입니다. 둘 다 물려받은 재산으로 화석 발굴을 시작했습니다. 서부개척시대였던 19세기 중반, 둘은 미국의 드넓은 사막에서 화석 찾기에 몰두했습니다. 둘 사이는 처음 만났을 때만 해도 그리 나쁘지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망간에서 생존 에너지 얻는 미
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0.07.18
리토트로피커스(Ramlibacter lithotrophicus)’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들은 망간의 독립 영양
생물
로 망간 단괴와 함께 자라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진은 “이번 박테리아 발견은 생명을 지탱하는 무기 대사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다”며 “심해에서 망간 결절 형성 과정에 대해서도 실마리를 주고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