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뉴스
"
위
"(으)로 총 9,341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탐사 로버 퍼서비어런스 내달 18일 '공포의 7분' 도전
연합뉴스
l
2021.01.04
극복하기
위
해 우주비행사들이 우주유영 때 등에 메는 '제트팩'(분사추진기)처럼 로버
위
에 하강 장비가 실려있다. 모두 8개의 로켓 엔진으로 구성된 하강 장비는 2천100m 상공에서 등 쪽 보호각과 낙하산을 떼어낸 뒤 지상을 향해 엔진을 가동해 동체의 균형을 잡으며 하강 속도를 시속 2.7㎞까지 ... ...
세포 키워 얻은 고기, 불판에 올리는 시대가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동물복지단체 'GAIA'가 제작한 반 앨런 교수의 동상이다.
위
사진을 토대로 만든 동상은 소의 고기 부분이 사라져있다. 11kg 무게의 동상은 반 앨런 교수의 딸에게 선사됐다. GAIA 제공 ... ...
트럼프 이번엔 코로나19 통계 '가짜뉴스' 시비…"중국 바이러스"로 부르기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1.04
검토 중이다. 백악관의 백신 ‘초고속 작전(Operation Warp Speed)’ 책임자인 몬셰프 슬라
위
박사는 CBS와의 인터뷰에서 “18~55세 성인의 경우 말라리아 백신은 1회 접종량의 절반만 맞아도 동일한 면역 효과가 생긴다”며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도 절반인 100마이크로그램(μg·1μg은 100만 분의 1g)을 맞는 ... ...
[프리미엄 리포트]영면에 들어간 천문학의 노병들
과학동아
l
2021.01.02
지 30년이 넘은 허블우주망원경도 천문학계 노병 중 하나다. 다섯 차례의 수리로 여러
위
기를 극복하면서 여전히 현역으로 남아있다. 허블우주망원경의 은퇴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허블망원경의 바통을 이어받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이 곧 발사된다. NASA는 2009년 이후로 허블우주망원경을 ... ...
[주말N수학] 수학으로 악보를 그리다
수학동아
l
2021.01.02
작곡과에 다시 입학해 석사과정을 마치고 미국 인디애나대 음대에서 박사 학
위
를 받다. 현재는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 음대 교수로 재직 중이다. 김택수 미국 샌디에이고주립대 음악대학 교수. 수학동아DB 김 작곡가는 어렸을 때부터 과학과 음악에 두루 관심이 많았다. 피아노는 4살부터 쳤고 ... ...
성인이 어린이 놀이터에서 놀면 안 되는 이유
팝뉴스
l
2021.01.01
철로 된 시설을 뜯어내고 탈출할 수도 없다. 어린이 놀이터가 성인에게는 아주
위
험한 곳임을 알게 되었다고 많은 해외 네티즌들이 논평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찌푸리게도 만들고, 감탄을 내뱉게 만들기도 하지요. ... ...
[프리미엄 리포트] 2021년 '흰소의 해' 소도 스마트 맞춤 관리받는다
과학동아
l
2021.01.01
아니라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감염병이 퍼졌을 때 살처분 범
위
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최근에는 분뇨 악취 해결 방법도 모색하고 있다. 농림식품축산부 축산경영과 관계자는 “스마트축사는 농가의 생산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점진적으로는 악취와 질병 문제를 해소할 수 ... ...
1년간 전 세계 8300만 명 감염됐다...코로나19가 전 세계 남긴 흔적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것을 볼 수 있다. 월드오미터 제공 사망자의 수도 미국이 35만 778명으로 가장 많았다. 2
위
는 19만 3940명을 기록한 브라질로 14만 8774명을 기록한 인도보다 그 수가 많다. 유럽에서는 이탈리아가 7만 3604명으로 가장 많고 영국이 7만 2548명을 기록했다. 세계적으로는 3번에 걸친 유행을 겪으며 유행의 ... ...
[랩큐멘터리]21세기 신 철기시대 이끄는 철강 재료의 산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1
상업생산을
위
한 합금설계 개념을 제시하는 등 새로운 철강 재료의 상용화를
위
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연구실은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포스코와 긴밀하게 산학협력을 이루며 철강 분야의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는 데 노력해 왔다. 산학협력의 결과는 뛰어난 인재 배출로 이어졌다. ... ...
[소재의 미래]⑺그래핀과 실리콘반도체의 경계에서 돌파구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2.30
못하던 새롭고 놀라운 기능과 현상들이 나타납니다. 정부가 세계 수준의 성과를 내기
위
해 설립한 10개 글로벌프론티어사업단 중 하나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미래소재연구단은 서로 다른 물질이 닿는 ‘인터페이스(경계면)’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두 물질을 붙일 때 생기는 경계면에서는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