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사용
응용
굴절
적용
끝바꿈
어미변화
뉴스
"
활용
"(으)로 총 1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수전해 효율 높인 고체산화물전지 스택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연구원은 "국내 대부분의 SOEC 관련 기업이 해외 기술을 도입하는 상황에서 국산 기술을
활용
한 고효율 스택 개발은 국내 기술의 자립성과 경쟁력을 높이는 역할을 할 것"이라며 "수전해 핵심기술 확보로 수소경제 사회로의 전환과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한국형 GPS 개발 위해 기업과 맞손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미래 우주경제 시대의 핵심 인프라인 KPS가 잘
활용
될 수 있도록 KPS의 개발 과정에서부터 민간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우주항공청 출범 후에도 이어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 ...
맞춤형 나노소재 빠르게 개발하는 AI 연구실 등장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인해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기 힘든 모든 기관들에서
활용
이 가능하다"면서 "AI 로봇을
활용
함으로써 소재 개발의 효율성을 높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화학지식을 탐구하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 ...
뉴로모픽 컴퓨팅 구현?…디램·낸드 장점 합친 상변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물질로 파고들면서 기존 전극보다 훨씬 얇은 상변화 물질 구조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활용
했다. 최 교수는 "새로운 소자는 패턴 공정 없이 자연스러운 화학 반응으로 기존 전극보다 훨씬 얇은 상변화 필라멘트를 생성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초저전력 상변화 메모리 소자에서는 ... ...
바이러스 진단용 항체, 식물 이용해 생산…민감도 100배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향후 질병 진단용 시약 개발과 생화학, 분자생물학 등 다양한 기초연구에서
활용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플랜트 바이오테크놀로지’ 1월호에 게재됐다 ... ...
'호암상' 공학상 첫 여성…AI 전문가 이수인 워싱턴대 교수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분야 발전에 기여한 세계적 권위자다. 양자컴퓨터, 우주 암흑물질 탐색 등 다양한 연구에
활용
되는 세계 최고 효율의 단일광자 검출기를 개발하기도 했다. 안타깝게도 삼성호암상 심사가 진행 중이던 지난 1월 세상을 떠났다. 의학상을 받은 박 교수는 차세대 유전정보 분석법으로 암세포를 ... ...
염색체 말단 '텔로미어' 메커니즘 규명…"항암 치료 전략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어떻게 암을 개시하는지 생물물리화학적으로 접근하여 풀어냈다"며 "상분리 특성을
활용
해 항암 치료의 새로운 전략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결과는 암 뿐만아니라 다양한 텔로미어 이상 관련 질환 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핵산연구'에 최근 ... ...
소재 연구데이터 '생태계' 구축해 R&D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플랫폼 연계를 추진한다. 끊임없이 생산되는 소재 데이터의 국내외 기관에서 상호 연계·
활용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봤다. 또 데이터의 품질 및 보안 체계를 마련해 중요 데이터의 국외 유출 등을 사전에 방지한다. 셋째로 이용자 친화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 데이터 분석 서비스, 웹 기반 AI 개발 ... ...
대용량 수소 폭발 위험 낮춘 '수소 저장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각각 206%, 49.4% 증가한 새로운 LOHC 소재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LOHC 소재를
활용
해 수소 모빌리티에 직접 안전하게 수소를 공급하거나 수전해 수소에 직접 저장할 수 있는 소재 등 맞춤형 LOHC 기술에 대한 후속 연구를 진행 중이다. 이영국 화학연 원장은 “이번 성과는 LOHC 기술의 핵심인 ... ...
스스로 전기 만들어 세포 배양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3
했다. 세포에 전달되는 전기자극 범위도 넓어져 연골세포 뿐 아니라 다양한 세포에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통합형 전기자극 세포배양시스템(FESA)은 스스로 전기 에너지를 생성할 뿐 아니라 기존 세포배양 시스템보다 연골 세포의 증식과 분화 촉진 효과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 ...
이전
267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