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용
수요
사용
필수
필요경비
경비
필요사무
d라이브러리
"
필요
"(으)로 총 10,32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07
‘6시의 마법(6 o’clock magic)’이라고도 부른다. 이렇게 메조사이클론은 토네이도 발생의
필요
조건이다. 메조사이클론이 형성됐다고 해서 반드시 토네이도가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약 50% 정도의 발생률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메조사이클론이 토네이도가 터치다운되기 약 20분 전에 형성되므로 ... ...
Part 1. 공개! 해킹 범죄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1107
주요 국가기관과 관련된 곳을 해킹하려면 시나리오보다 훨씬 정교하고 복잡한 기술이
필요
할 것이다. 하지만 해커들이 노리는 것은 ‘그 어딘가에 분명히 존재하는 허점’이다. 요즘 기업들은 많은 협력사와 제휴를 맺고 온라인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므로 이 중 하나만 보안이 허술해도 그 여파는 ... ...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07
온도가 1000℃ 이상으로 올라간다. 따라서 이를 막을 수 있는 특수한 열 방호 장치도
필요
하다. 현재 궤도용 우주비행선으로는 미국의 우주왕복선과 러시아의 소유즈, 중국의 선저우가 있다. 소유즈 우주선은 국제우주정거장(ISS)에 갈 때 남는 좌석을 이용해 300억~400억 원의 여행비를 받고 7명의 ... ...
잠을 잊은 당신 건강한가
과학동아
l
201107
더 많다.시험공부 때문에 일시적으로 밤잠을 마다한 경우는 어떨까. 다행히 크게 걱정할
필요
가 없다. 며칠 밤을 지새운 정도는 몸이 금세 회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기사 마감과 편집을 위해 종종 밤샘을 하는 기자도 일단 잘 쉬기만 하면 문제가 없다.하지만 그 어떤 대비책도 교대근무나 시간외 ... ...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07
애벌레나 입에 붙어 진딧물을 잡아먹는 구더기 형태의 꽃등에 애벌레는 더 이상 다리가
필요
없다.곤충 애벌레의 다리는 그들이 선택한 생존 방법에 맞도록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곤충마다 비교적 정형화 된 형태적 특징이 다리이므로 이들을 잘 살펴보면 어떤 곤충의 애벌레인지를 짐작할 수 있다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07
말하면 두 눈과 물체가 이루는 각에 의해 가깝고 먼 것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두 눈이
필요
하고, 이를 통해 입체적인 영상을 볼 수 있다. 3D 입체영화로 유명한 ‘아바타’도 제작과정에서는 두 대의 카메라가 사용됐다.하지만 가까운 곳을 잘 보지 못하는 원시, 먼 곳을 잘 보지 못하는 근시는 조금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7
장점이 있다. 달에 있는 재료로 만드는 달 도시달 표면에 건물을 짓기 위해서는 건설에
필요
한 재료를 달 자체의 자원으로 활용해야 한다. 일본 시미즈 건설회사는 달에서 캐낸 자원으로 콘크리트를 만들어 도시를 만드는 방법을 제안했다. 구조물은 여러 방향으로 확장이 가능한 육각형의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07
약 8000송이의 꽃을 방문한다. 한 번 꿀을 모으러 나갈때마다 수백 송이의 꽃이
필요
하다는 뜻이다.그런데 벌의 밀도가 높아지면 이렇게 많은 꽃을 찾기 어려워진다. 산이나 들에 있는 자연상태의 꽃은 사육되는 꿀벌 말고도 야생 꿀벌이나 다른 꽃벌(국내에만 500종이 넘는다), 그리고 나비와 같은 ... ...
세포에서 레이저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07
세포의 내부 상태를 살피는 데 쓸 수 있을 것이며, 더 많은 연구가 이뤄지면 레이저가
필요
한 진단과 치료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포토닉스’ 온라인판에 6월 12일 게재됐다. 윤 교수는 2005년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로 임용됐는데, KAIST 물리학과를 졸업한 토종박사로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07
10km 수평 규모의 집중호우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km 해상도의 수치예보모델이
필요
하다고 보고 있다.신·구 지역예보모델의 영역과 해상도의 차이해상도가 12km인 기존 모델(왼쪽)은 격자의 크기가 커서 지표 특성을 매우 성글게 표현했다. 하지만 해상도를 1.5km까지 끌어올린 새 모델은 격자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