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연
만물
내추럴
자연계
네추럴
자연상태
상태
d라이브러리
"
자연
"(으)로 총 6,828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여름 여행에 꼭 가져가야 할 과학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몰랐던 지형을 새롭게 읽어내고 있다. 직접 찍은 사진은 여느 여행책 못지 않게 시원하다.
자연
의 드러난 모습에 흥미를 느꼈다면 이번에는 안에 숨겨진 패턴을 들여다 보면 어떨까. 마커스 드 사토이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가 쓴 ‘대칭(승산)’은 잘 만든 수학책이 어떤 것인지 보여 주는 수작이다.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Technology)다.J-ART는 고지대 하천에서 돌발적으로 물이 넘치는 일이 생겼을 때 생태계나
자연
현상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에서 하천의 물을 일부 지하수로 전환한다. 부유물을 없애는 것과 같은 간단한 정수 처리를 거친 뒤 관을 통해 지하수 불포화대에 주입하는 것이다. 지하수는 바다로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없을 때에만 차선책으로 비소를 사용한다. 게다가 이 연구는 실험실에서 이뤄진 것으로
자연
상태에서도 비소를 이용하는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외계생명체와 관련이 있다는 NASA의 발표는 과장이라는 반응이다. 실제 논문에도 외계생명체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없다.국내 전문가 ... ...
과학동아가 추천하는 논구술 책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비롯해 태풍, 화산, 지진, 쓰나미, 지구 온난화 등 인류에 큰 피해를 일으켰던 대표적인
자연
재해 11가지를 설명한다. 총 4장으로 구성해 각 장마다 천재지변이 일어나는 과학적인 원리와 최근 연구되고 있는 예방책을 소개한다. 책의 끝 부분에서는 천재지변을 다룬 영화들을 소개했다. 영화를 함께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그런데 지질 함유량을 높이는 조건을 만들면 미세조류가 잘 자라지 않지요.”양 단장은
자연
계의 미세조류가 보이는 이런 생태를 얼마나 잘 극복할 수 있느냐가 조류 바이오연료 상용화의 첫 단추라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왜 이런 현상이 생길까. 단세포 생물인 미세조류는 세포가 분열해 생체량이 ... ...
조개는 바위에 깨 먹어야 제맛!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사용해 먹이를 섭취한다는 것은 익히 알려진 사실이지만 야생 물고기가 실험실이 아닌
자연
계에서 도구를 사용하는 장면을 포착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해 5월 ‘동물 인지’ 저널에 발표된 노랑가오리가 몸으로 물결을 일으켜 파이프 안에 있는 먹이를 꺼내 먹는다는 사실은 실험실에서 ... ...
플래시메모리, 아름답고 완벽하게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자연
은 이미 갖고 있죠. 그 속에서 문제를 해결할 영감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런 영감을
자연
에서만 얻을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양한 경험이 전체 시스템을 보는 안목을 키워 훌륭한 공학자가 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입니다 ... ...
구술면접, 개념 정립부터 시작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학생들이 생물을 암기 과목으로 인식한다. 사실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생물도 다른
자연
과학과 마찬가지로 큰 원리가 있고 흐름을 관통하는 맥이 있다. 단편적인 지식과 생물학적 현상을 잘 암기하고 있는 것도 도움이 되지만 대학에서 원하는 학생은 생명현상을 종합적인 틀에서 관찰하고 ... ...
기술혁신으로 녹색 성장을 이뤄내자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큰 고통을 겪었다. 이처럼 화학의 발전과 환경 보호는 상충해왔다. 그렇다면 인간과
자연
이 서로 조화를 이루며 상생하는 방법은 없을까? 녹색 성장을 향한 기술 혁신이 바로 그 해답이다. 지난 해 서울에서 열린 G20 비즈니스 정상회의의 핵심 의제는 녹색 성장이었다. 친환경 기술과 대체 에너지로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작을수록 개수가 많았고, 클수록 적었다는 뜻이다. 멱함수 법칙은 지진의 규모처럼
자연
현상에서 자주 확인할 수 있다. 지진도 작은 규모의 지진은 많이 발생하지만 큰 규모의 지진이 잘 발생하지 않는다. 멱함수는 y=x2과 같이 변수의 거듭제곱으로 나타나는 함수로 이차함수도 멱함수의 하나다 ... ...
이전
268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