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조직
구출
구제
조립
구원
기구
d라이브러리
"
구조
"(으)로 총 7,34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영원히 착륙하지 않는 무인비행기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안에서 탑재 공간과 무게를 줄이기 위해서 비행체를 최소한의 크기로 접었다 펼 수 있는
구조
로 설계하는 것도 필요하다.우주탐사를 위한 무인기는 이미 연구되고 있다. 탐사 대상 행성의 대기 조건과 중력 및 기타 비행에 필요한 물리적 조건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얼마든지 설계해서 시험할 수 ... ...
[hot science] 작은 어항이 큰 불 낸다
과학동아
l
2013년 02호
‘타워’에서는 화염이 없는 층으로 사람들이 대피한다. 화염을 피해 잠시 대피한 후
구조
를 기다리는 이들에게 또다른 시련이 닥친다. 바닥이 무너지기 시작한 것이다. 걷잡을 수 없이 무너져 내리는 내벽과 바닥은 극적 긴장감을 더욱 끌어낸다. 초고층 빌딩에서 화재가 일어나면 더 위험해질까 ... ...
[수학동아] 프랙탈
구조
로 더 가벼운 건축물 만드는 법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크레인 기둥보다 무려 100배나 가볍고 튼튼한 크레인 기둥을 만들 수 있었다.하지만 이
구조
는 한 가지 큰 문제점이 있다. 만약 작은 기둥 하나라도 크기가 안 맞거나 무게를 분산하지 못하는 상황이 되면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앞으로 이 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할 ... ...
뱀, 수학자를 사로잡다
수학동아
l
2013년 01호
테셀레이션이 가능한 정다각형은 정삼각형, 정사각형, 정육각형뿐이다. 그는 정육각형
구조
의 도마뱀을 그린 뒤 평행과 회전, 대칭이동을 이용해 테셀레이션했다. 그 중에서도 은 차원을 주제로 한 작품이다.“가상과 현실의 세계를 넘나드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 2차원에 있던 도마뱀이 ... ...
INTRO. NEO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013년은 생물학과 의학 분야 최대의 발견으로 꼽히는 DNA 이중나선
구조
가 발견된 지 60주년이 되는 해다(‘네이처’ 논문 발표일은 4월 25일). DNA 발견은 전통적인 생물학을 분자생물학으로 완전히 바꿨을 뿐 아니라, 생물을 유전자 중심으로 바라보게 하는 관점의 전환을 일으켰다. 이제 질병과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발현을 조절하는 부위의 크로마틴(히스톤 단백질과 DNA의 복합체. 염색질이라고도 한다)
구조
가 변했기 때문이다. 이런 변화는 DNA 자체 또는 히스톤 단백질에 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나면서 발생한다.후성유전의 두 가지 ‘스위치’먼저 DNA 자체의 화학 변화인 메틸화를 살펴보자.DNA의 염기 중에는 ... ...
우리나라 하늘에서 춤추는 UFO 웨이브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분석을 의뢰했다. 카메라에서 충분히 멀리 떨어져 있는매우 빠른 속도로 비행하는
구조
를 지닌 물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이에 센터는 존 브로 방식을 2001년부터 2년간 시행했다. 40개의 영상 테이프와 150시간의 분석 시간이 소요됐다. 그 결과는 매우 놀랍고 충격적이었다. 많은 UFO 비행장면 ... ...
아늑한 겨울을 품은 외암마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휴식 기능 등 다양한 역할을 하는 생활공간”이라며 “현대 주거지역을 계획하거나 가옥
구조
를 설계할 때 참고할 만한 의미가 있다”고 했다.메주가 영글고 딱따구리가 반기는 마을마을을 둘러보고 내려오는 길에 조용한 가운데 ‘따닥따닥’ 소리가 들렸다. 무슨 소리일까 궁금해 하며 살펴보던 ... ...
성스러운 생태계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그가 명시적인 형태의 종교나 신화의 신봉자는 아니었을지라도, 그의 의식적인 사고
구조
어디에도 종교나 신화적 요소가 없었을지라도 아버지와 어머니에 대한, 부모와 자식에 대한 원형적 사고는 무의식 깊은 곳에 배태되어 있었다.그리고 이 행성에서 마침내 싹이 트고 자라난 것이다.이상의 ... ...
[1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
과학동아
l
2013년 01호
독성이 강해 연구가 더 필요하지만 전망은 긍정적이다. 인간 사회와 가장 비슷한 사회
구조
를 가지고 있는 개미는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친숙한 곤충이다. 그들 중 대부분은 일개미다. 이들은 태어나면서부터 죽는 날까지 자식 낳는 것도 포기하고 여왕을 도와 알개미를 키우며 먹이를 구한다.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