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땀띠
한창
칸
hahn
khan
d라이브러리
"
한
"(으)로 총 20,937건 검색되었습니다.
[특집] 동물들의 겨울잠이 방해받고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피가 나는 경우, 벽면이 아닌 바닥에 있는 경우, 몸이 젖어있는 경우라면 구조가 필요
한
상황이랍니다. 용어정리*곰탱이 : 곰의 잠자리를 뜻하는 표현. 곰은 풀을 말아 방석이나 침대처럼 만든 후 웅크려 잠을 잔다 ... ...
[가상 인터뷰] 파리지옥 손, 섬세
한
게 매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동안 로봇 손으로 기능할 수 있었어. 하지만 파리지옥 손은
한
번 닫히면 다시 열리는 데
한
시간 이상 걸리는 게 단점이야.이 연구를 이끈 난양공과대학교 재료공학과 첸 샤오동 교수는 “식물을 활용해 우리의 일상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단다 ... ...
[기획] 미술관 옆 작업실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편집자 주 : 박물관과 미술관에 박제된 문화재와 미술품에 오늘날의 생기를 불어넣은 두 장인을 만나 시대를 초월
한
예술과 이를 가능케
한
기술의 관계를 ... 사진가대 이은 문화재 사진작가 고(故)
한
석홍&
한
정엽Part2. 백남준의 꿈에 전기를 수혈
한
작가의 ‘손’다다익선 엔지니어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이뤄져야 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그는 “사진은 문화재에 접근할 수 있는 가장 쉽고 흔
한
방법”이라며 “문화재 사진작가를 양성하고 지원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번 기증을 통해 박물관이나 미술관에 ‘문화재 사진작가팀’이 생기길 꿈꿔 본다”고 말했다 ... ...
클로렐라 속 효소가 지방을 분해하는 비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녹조가 빛 에너지를 활용해 유용
한
화학물질을 만드는 과정과, 효소를 촉매로
한
광화학 과정을 더 잘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고 연구 의미를 밝혔다. doi: 10.1126/science.abd568 ... ...
한
끼 대충 먹는다고 뭐 달라질까?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뜻입니다. 박신기 테라젠바이오 차장은 “비만인 청소년과 비만이 아닌 청소년이 유의
한
차이를 보이는 5가지 미생물 군집을 찾아내 미생물 군집 패턴에 따라 비만이 될 확률을 구했다”며 “앞으로 더 많은 데이터가 축적되면 미생물 군집에 따른 비만 확률을 더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을 ... ...
[특집] 인류 진화의 잃어버린 퍼즐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수백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한
무리의 새로운 영장류가 나타났다. 이들은 이후 다양
한
종을 등장시키며 아프리카 곳곳에 살았고, 때론 아프리카 밖 유라시아로 확산했다. 이들을 일컫 ... 속의 기원네 번째 퍼즐│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다섯 번째 퍼즐│동아시아인의 복잡
한
형 ... ...
최초의 인류는 누구인가? 위태로운 호미닌의 여명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편집자주 : 분류학적 용어로서 유인원은 인류를 포함합니다. 하지만 종종 영장류 중 인류를 제외
한
집단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이번 기사에서 유인원은 인류를 제외
한
... 화석이 발견된 것도 오로린 투게넨시스가 최초의 호미닌이라는 학설을 지지하는 가장 강력
한
이유”라고 말했다 ...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2019년 12월 미국 과학학술지 ‘사이언스’가 발표
한
독자들이 뽑은 최고의 과학 이슈 중에는 미스터리 속에 숨겨졌던 인류의 친척, 데니소바인의 외형을 DNA 해독 결 ... 연구 주제이자 미지의 인류”라며 “파인더 프로젝트를 통해서 이들이 감춘 비밀에
한
발짝 더 다가가겠다”고 말했다 ... ...
[기획] 2021년 아벨상 수상자의 공통점은 아들?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가짓수가 더 많아져 효율적인 경로를 찾기 어려워지죠. 로바스 교수는 이처럼 복잡
한
격자 문제 중 하나의 답을 얻을 수 있는 LLL 알고리듬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해 전달하려는 정보를 암호화했습니다. 이렇게 만든 암호는 성능이 높은 양자 컴퓨터로도 깰 수 없다고 알려져 있고, 다른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