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17,612건 검색되었습니다.
-
- [knowledge] 핵쓰레기 묻을까? 태울까?과학동아 l201411
- 만족시킬 완벽한 대안은 아니다. 핵변환을 위해서는 차세대원전을 통해 우라늄-238을 1차로 제거해야 한다(가속기만으로도 가능은 하지만, 비용이 매우 많이 든다). 차세대원전 자체에 의구심을 품거나 반대하는 사람도 있기 때문에, 핵변환까지 나아가기까지 가시밭길이 남아 있다. 하지만 다양한 ...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11
- 힘을 과시했다.앞서 소개한 팬디 교수팀의 연구도 김민식 미국 존스홉킨스대 박사가 제1저자로 연구를 이끌었다. 행콕 교수는 “한국인 과학자의 리더십과 추진력, 협력하는 능력이 젊은 과학자들의 뛰어난 역량과 결합하면서 C-HPP의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 ...
-
-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411
- 태어난다는 소립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인구는 꾸준히 늘어왔거든요? 몇 천 년 전에는 1~2억 명이던 인구가 지금은 무려 70억 명입니다. 그 영혼은 다 어디서 왔나요?영혼도 새로 태어나지 않는다면 이 수많은 육체를 채울 수 없습니다.꼭 인간끼리만 환생을 한다는 보장은 없으니, 동물이 사람으로 ... ...
-
- INTRO. 노벨과학상 2014과학동아 l201411
- ” 10월 8일 저녁, 대전 KAIST 앞에 몰린 수많은 기자들이 탄식을 쏟았다. 올해도 한국인이 노벨 과학상을 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논문 피인용지수를 기준으로 매년 노벨 과학상 후보를 예측하는 톰슨로이터에서 올해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를 후보로 지목했기에 아쉬움은 더 컸다. 한국계 미국인 과학자 ... ...
-
- PART 1. 일본 노벨상의 비결과학동아 l201411
- 신야 교수(생리의학상), 기타가와 스스무 교수(화학상) 등이 후보로 거론됐다. 2011년에도 오노 히데오 교수(물리학상)가 올랐고, 2012년과 2013년에는 무려 3명씩이다. 잘 알려졌듯, 이 가운데 야마나카 신야 교수가 2년 뒤인 2012년에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거론되는 후보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우수 ...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과학동아 l201411
- 도전한 게 제올라이트로 메조다공성 물질을 만든 연구였어요. ‘사이언스’지에서 2011년 10대 성과로도 꼽혔는데 그걸 연구하다 정작 교수평가에서는 D를 받았죠. 어려운 걸 하다 보니 논문이 잘 안 나왔거든요.” 유룡 KAIST 화학과 교수(59, 기초과학연구원 단장)는 업적을 소개해달라는 말에 ... ...
-
- [과학뉴스] 폭발 위험까지 알려주는 똑똑한 배터리과학동아 l201411
- 리튬 이온이 과도하게 흘러 폭발이 일어난다.연구팀은 분리막 한 쪽에 분리막의 500분의 1수준인 50nm 두께의 구리층을 붙이는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이 층은 이온이 통과할 수 있어 평소에는 전압을 잴 수 있는 전극 역할을 한다. 하지만 합선이 일어나기 시작하면 양극 사이의 전압차가 갑자기 ... ...
-
- [hot science] 개코보다 코끼리코!과학동아 l201411
- 코끼리에서 크게 확장돼 84개의 유전자로 증가한 데 비해, 인간과 유인원에서는 유전자 1개로 남아 있었습니다.왜 이렇게 진화했는지는 아직까지 정확히 모릅니다. 하지만 생존환경에 따라 필요 없는 수용체(유전자)는 퇴화하고 필요한 수용체는 늘어났겠지요. 요시히토 교수는 “영장류 같은 고등 ...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11
- ‘연산오계’다. 연산오계는 조선시대부터 사육된 기록이 남아 있는 재래닭이다. 1991년이 돼서야 체계적인 재래닭 복원 사업이 시작됐다.재래닭은 외모부터 확연히 다르다. 우선 외래종에 비해 날씬한 편이다. 키는 30cm 미만, 몸무게는 평균 2.4kg(수컷), 1.9kg(암컷)이다. 몸에 근육이 많고 지방이 적어 ... ...
-
- [hot science] 중생대 바다의 난폭한 주인, 해양파충류과학동아 l201411
- 하지만 우리의 부주의 때문에 이들의 행복한 노후생활도 조만간 끝이 날지도 모른다. 1년에 150여 종의 생물이 사라지고 있는 지구역사상 최악의 멸종사건이 현재 진행중이다. 현재 수많은 파충류들이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보호협약(CITES)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보호 받고 있다. 하지만 ... ...
이전2702712722732742752762772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