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돌아갑시다. 좌현 30˚로”성난 파도 위에서 출렁대던 해양기상관측선 ‘기상1호’가
방향
을 틀어 움직이기 시작한다. 남쪽에서 몰려온 비구름이 어느새 뱃머리까지 성큼 다가와 있다. 오늘 기상1호는 우리나라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태풍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남중국해까지 관측을 나왔다. 1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같은 돌 조각과 나무 조각만 들어 있다. 약 800년 전 이곳에서는 예기치 못한 험한 풍랑에
방향
을 잃었거나 뿌리 굵은 암초에 부딪친 선박이 가라앉고 있었을 것이다. 수많은 사람들의 울음과 살려달라는 아우성이 가득했을 이 자리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고요하기만 하다. 이제 막, 호기심 많은 ... ...
익룡은 장대높이뛰기 선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규명됐다. 영국 포츠머스대와 미국 피츠버그대의 공동 연구팀은 익룡이 하늘에서
방향
을 자유롭게 바꾸는 능력은 없지만 충분히 긴 시간 동안 하늘을 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과학자들은 그동안 익룡이 오랜 시간동안 날지는 못했다고 생각해 왔다. 연구팀은 현재까지 발견된 화석을 이용해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예시답안 1) 기체 상태의 모든 분자들은 온도에 따라 주어진 에너지에 의해 무작위한
방향
으로 직선 운동하면서 충돌한다. A라는 기체 분자가 지속적인 충돌을 통해 일정한 밀도와 압력으로 존재하는 밀폐된 공간에 B라는 기체 분자들을 주입했다고 가정하자. B분자들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 ...
짜릿한 전기 세상이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낮은 곳으로 흘러 내려가는 것처럼 -극에서 +극으로 흘러 가는데, 전기는 전자가 흐르는
방향
과 반대로 +극에서 -극으로 흐른다고 말하지요. 전지에는 한 번 쓰고 나면 다시 쓸 수 없는 1차 전지와, 충전하면 다시 쓸 수 있는 2차 전지가 있어요. 우리가 흔히 휴대폰이나 MP3 등에 쓰는 2차 전지는 충전을 ... ...
붕~, 떠서 달린다! 자기부상열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된다. 그 결과, 열차와 선로 사이에서 당기는 힘과 미는 힘의
방향
이 변하면서 나아가는
방향
도 반대가 된다. 자기부상열차도 타 보고 원리도 배우고, 게다가 미래의 열차를 컴퓨터로 직접 운행도 해 보다니! 열차박사가 된 기분이야.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도 7월부터 직접 타 볼 수 있다고 ... ...
제1게임 먼저 두는 사람이 유리한 오목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이란 한 수를 두어 동시에 양쪽이 막히지 않는 3이 2개 이상 생기는 것으로 상대방이 어느
방향
으로 막아도 다음 차례에 양쪽 모두가 막히지 않은 4를 만들 수 있지요. 44는 33과 같은 맥락으로 한 수를 두어 동시에 한 쪽 또는 두 쪽이 막히지 않는 4를 2개 이상 만드는 것입니다.조금 더 자세히 ... ...
[물리] 전기와 자기의 상호작용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전문가 클리닉 균일한 자기장에 수직으로 입사한 대전입자는 자기장과 속도에 수직한
방향
으로 힘을 받습니다. 이때 자기장은 전하의 속력을 변화시키지 않으므로 대전입자는 등속원운동을 합니다. 대전입자가 나선운동을 한다는 것은 속력에 변화가 생겼다는 의미입니다.예시답안 균일한 ... ...
[통합과학] 계면 활성제의 미셀 구조 형성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제시문 (다)를 이용해 산란 세기를 측정하는 쪽으로
방향
을 잡을 수 있습니다. 빛의 산란 세기 측정은 논술에서 자주 등장하는 소재로, 화학1 교과 과정은 아니지만 화학1 물 단원에서 응집제를 넣어 콜로이드 입자를 침전시키는 내용과 연관돼 있습니다. 세번째 방법은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대부분 얕은 물가에 짓기 때문이다.물과 맞닿는 기둥 아래의 받침돌은 물이 흐르는
방향
에 맞춰 놓는다. 물의 압력을 덜 받게 하려고 받침돌을 마름모 모양으로 돌려 세우거나, 받침돌 앞에 삼각형이나 반원 모양으로 다듬은‘물가름돌’을 놓기도 했다. 선조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풍경이다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