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성
구조
기구
기관
제도
편성
시스템
d라이브러리
"
조직
"(으)로 총 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Ⅱ 세균(박테리아) 병주고 약주는 작은 거인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세균을 항원으로 인식하고 그에 대한 항체를 형성해 세균을 파괴해 버린다. 우리몸 어느
조직
에나 분포하고 있는 큰 아메바모양의 대식세포는 세균은 물론 체내의 늙은 세포를 포식, 소화한다.이처럼 면역기구와 방비기구가 갖춰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에 걸리는 이유는 무얼까? 그것은 우리몸의 ... ...
PART 3 아시아와 아프리카의 경우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마찬기지로 어른이 되기위한 일정한 수업기간을 말한다. 예를들면 비밀결사같은 어른의
조직
에 들어 마을의 여러가지 규칙을 학습하는것도 그 한가지이다.한 민속학자가 조사한 '이라크'족은 적령기의 여자를 한곳에 모아 반년동안 수업을 시킨다. 그 내용은 화장을 비롯하여 장신구를 만드는 법 등 ... ...
병원업무전산화 컴퓨터는 휼륭한 보조의사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단순화되고 있다.위의 방식을 채택하여 우리나라 KAIST MEDIOS 팀에서 서울 올림픽대회
조직
위원회 의무국과 협의하에 대외적인 효과를 감안하고 우리의 기술수준을 과시하기 위하여 86아시아경기대회와 88올림픽 때 외국의 선수와 임원의 치료를 전담하게 되어있는 선수촌 병원과 각 경기장 진료소 ... ...
쇠붙이 지녔다고 반드시 나쁜것 아니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사람이 많다. 인각의 피부는 1백볼트 정도의 전압에 대해서는 절연체가 되나 그 안쪽의
조직
은 전기가 통하기 쉬우며 머리에서 발바닥까지의 저항은 불과 3백 옴뿐이다. 낙뢰에 있어서는 절호의 통로인 셈이다. '가까이에서 번개가 칠 때는 몸에 지니고 있는 금속류를 버리라'고 흔히 말한다. 이 ... ...
방사선처리식품 과연 안전한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효과를 분석하기는 쉽지 않다. 문제는 간단한 실험을 통해 실제로 복합적인 식품
조직
에서 발생하는 현상을 밝혀내지는 못한다는 점이다. 비타민에 대한 실험결과는 극히 다양하다. 어떤 실험에 따르면 방사선조사를 통해서 식품속에 함유된 비타민 가운데 30~40%가 파괴되었다고 밝혔으나 다른 ... ...
자연학습장 겸한 휴식처 광릉수목원의 꽃과 나무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치환, 침전돼 나무줄기 전체가 단백석(蛋白石) 또는 마노 같이 광물화된 것으로 내부
조직
이 잘 보존돼 있다. 이곳에 전시된 규화목은 신생대 제3기의 것으로 경북 영일에서 산출된 것이다. 이번에 수목원을 꾸며놓은 광릉일대는 1914년부터 인공조림이 시작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지로 유명한 ... ...
미국 IBM연구소 윤도영 박사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발명한 것이 아니라 자연상태에 존재하는 고분자를 발견해낸 것입니다. 인간의 생체
조직
을 비롯 유전인자인 DNA RNA도 일종의 고분자니까요. 자연상태에 존재하는 고분자는 분자결합수가 1만개~1억개까지 다양합니다. 현재까지 인공적으로 가능한 분자 결합수는 1백만개정도입니다." 앞으로 발전될 ... ...
시원한 맛속에 담긴 식품첨가물을 조심하자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큰 해독은 카페인이다. 카페인은 몸안에 들어가면 5분 이내에 몸 전체로 퍼지고, 신경
조직
을 자극한다. 이 과정에서 혈관의 수축, 팽창작용을 강화시키고 기초대사율을 10% 증가시키며 위산과 소변 분비도 늘리게 된다. 이와 같은 카페인의 작용은 사람의 대뇌활동을 활성화시켜 머리를 상쾌하게 ... ...
넘실대는 전자파의 위험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하나로 설명되고있다. 펄스에 의하여 생긴 작으면서도 급격한 발열로 머리 속의
조직
이 팽창할때 음파가 생겨 그것이 귀에 들린다는 것이다 (그림2참조). 다만 이 경우는 인체에 해가 없다는 것이 정설이다. 얘기의 순서를 다시 앞으로 돌려본다. 미국에서는 법적인 힘은 없었지만 그에대한 기준이 ... ...
야생화,집에서도 기를수 있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동자꽃은 길가에 무리로 심어 효과를 검토한 후 실용화할 계획이다. 나리꽃 종류도
조직
배양으로 대량번식을 시도하고 있으며, 초봄부터 늦가을까지 연속적으로 꽃이 피는 것도 곧 개발될 전망이다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