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여성 장수의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여성이 남성보다 오래 사는 것은 튼튼한 심장 덕분인 것으로 나타났다.더 타임스는 1월 11일 영국 존무어스대 세포 및 분자스포츠과학과 데이비드 골드스핑크 교수팀이 ... 먹으면서 심장근육세포가 점점 줄어들어 문제가 더 커진다. 70세 남성은 20대 때보다 심장
기능
의 최대 25%를 잃는다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이산적으로 부호화된 디지틀 정보신호를 송출하는 일 A-D 변환이라고도 한다 A-D 변환의 역
기능
, 즉 디지틀 부호정보를 받아 그 부호를 나타내는 수치에 비례하는 전압신호를 발생하는 것은 디지틀 아날로그 변환(D-A변환)이라고 한다 연속적인 아날로그 전기신호(電氣信號)를 증대시키거나 그 파형 ... ...
천재들의 기록을 원본으로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난 한 병사의 위장을 뚜껑처럼 열고 닫으며 음식이 얼마나 소화됐는지 관찰해 소화
기능
을 연구한 ‘위장에 뚜껑 달린 사나이’ 등 흥미로운 이야기도 많다. 존 스타인벡이 쓴 해삼에 대한 이야기를 비롯해 마크 트웨인, 조지 오웰, 이탈로 칼비노 같은 소설가의 글도 실려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
수정란에서 신경세포가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다른 장기와 달리 뇌와 척수는 신경세포가 신경망을 통해 신경정보를 전달해야 제
기능
을 다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음 관심은 신경망을 재구성하는 기술 개발에 집중되고 있다.신경줄기세포는 어른이 된 후에도 뇌에 남아있으며, 평상시에는 잠잠하게 있다가 뇌졸중 같은 병으로 ... ...
2. 공장에서 진화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받았다.시험관내에서 진화를 재현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RNA를 만들고, 이 중 원하는
기능
을 가진 RNA를 선택한 다음, 이를 다시 증폭하는 과정을 반복하면 된다. 그런데 RNA보다는 DNA가 화학적으로 합성하거나 증폭하기 쉽다. 따라서 시험관내 진화는 먼저 다양한 종류의 DNA를 합성하는 것으로 시작한다 ... ...
MS 철옹성 무너뜨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임베디드 시스템에서는 리눅스가 최강의
기능
을 발휘한다. 특히 칩이 작을수록 필요한
기능
만 최소화시켜 넣어야 할 경우 리눅스가 시스템에 최적이다.2002년 IBM은 리눅스 손목시계인 ‘워치패드’를 선보였고, 2003년 모토로라는 리눅스 휴대전화를 선보였다. 국내에서도 지난해 삼성전자가 ... ...
50나노급 반도체 신재료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도전하고 있다. 이 교수는 “선폭을 줄일수록 선끼리 전기적 간섭을 일으켜 반도체
기능
이 떨어진다”며 “이 간섭을 줄이려면 유전율이 2 이하인 절연재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유전율은 전기가 통하는 정도다.연구팀은 공 모양의 나노 신소재(덴드리머)를 이용해 지름 3nm인 공기 구멍이 ... ...
100억배 더 밝은 4세대로 탈바꿈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유전자 복제 과정을 조절해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바뀌지 않도록 하는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
을 발표했다. ‘제미닌’(Geminin)이라고 하는 이 단백질은 세포가 분열할 때 유전자의 복제가 딱 한번만 일어나도록 조절한다. 만일 유전자가 하나의 세포 안에서 세포 주기와 상관없이 2번, 3번 계속 ... ...
스트레스 받으면 빨리 늙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텔로미라제(telomerase)라는 효소가 있어 텔로미어의 길이를 유지시키고 보호하는
기능
을 한다.연구자들은 만성질환에 시달리는 아이가 있는 여성 39명과 자녀가 건강한 여성 19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평가하는 설문과 함께 혈액 견본을 얻어 텔로미어의 길이와 텔로미라제의 활성을 분석했다 ... ...
얼굴인식 메커니즘 밝혀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유명인의 얼굴을 단계적으로 섞은 사진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뇌의 활동변화를
기능
성자기공명영상(fMRI)으로 분석해 이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네이처 뉴로사이언스’ 12월호에 발표했다.연구자들은 전 영국 수상 마가렛 대처와 미국 영화배우 마릴린 먼로의 얼굴을 10%씩 단계적으로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