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몽상
드림
희망
포부
소원
소망
이상
d라이브러리
"
꿈
"(으)로 총 2,986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의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위하여 기후를 변화시키는 방법까지도
꿈
꾸고 있다.물론 가장 큰 문제는 이러한 원대한
꿈
도 그것이 초래할 부작용을 미리 사려깊게 검토하지 아니하면 쉽게 악몽으로 바뀔 수 있다는 점이다. 대형과제들은 매우 조심스럽게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Though no longer the military superpower it was between ...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마침내 그들은 바이칼호의 바닥에서 '심심찮은' 고온구역을 찾아냈다. 이곳이 과연
꿈
속에서도 찾아헤맨 열수배출구일까.지난해 여름 크레인박사는 미국과 소련의 연구진들을 한팀으로 모아 본격적인 바이칼호 탐사에 나섰다. 탐사의 목표는 1차 탐사에서 찾아낸 고온구역이 정말로 마그마의 ... ...
「컴덱스90」을 통해 드러난 91년 컴퓨터 유망상품 7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Gridpad)제조회사 : 그리드시스템키보드가 아니라 펜을 사용하는 컴퓨터, 이것은 더이상
꿈
이 아니다. 그리드패드컴퓨터라는 새로운 제품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이 컴퓨터는 일반 PC와 같이 MS-DOS를 사용하는 IBM PC/AT급이다. 그러나 줄로 연결된 펜으로 화면에 나타난 메뉴를 찍거나 글자를 입력하면 ... ...
차세대 원전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설계하고 있어 2020년경에 상용화가 예상된다. ■핵융합 에너지/1백억년 쓸 수 있는 「
꿈
의 에너지」지구상의 모든 물리현상을 일으키는 원초적인 에너지는 태양으로부터 공급되고 이 에너지는 태양의 중심부에서 가벼운 원자들이 조금씩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 생산되고 있음이 판명되었다.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쉽게 벗지 못했다. 하지만 이는 먼 장래를 내다보지 못한 단견일 뿐이다. 가속기 자체는
꿈
을 먹는 이론의 도구일지라도 이를 건설하는데 이용되는 여러가지 기술은 곧바로 첨단산업에 활용되고 있다.더군다나 방사광가속기 계열은 1차목적이 '산업에의 응용'이다. 우리가 SSC 프로젝트에 적은 ... ...
가장 새로운 물리학─수리끈이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수리끈이론에 큰 매력을 느끼고 있다. 그 까닭은 그 이론체계속에서 모든 물리학자의
꿈
인 통일이론의 가능성이 엿보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또한 고대 동양의 철인(哲人)들이 확신하던 기(氣)의 본체를 밝혀주고 아울러 우리의 삶이 나아가야할 바를 가르쳐 줄 것이기 때문이다 ... ...
PARTⅡ 실생활에 어떻게 사용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해주고 있는 것이다.코끼리만한 돼지를 만든다는, 어찌 보면
꿈
만 같았던 얘기가 슈퍼생쥐를 만들어냄으로써 현실로 바짝 다가섰다. 뒤이어 아직 코끼리만 하지는 않지만 덩치가 우람한 돼지도 유전공학적으로 탄생됐다. 미국에서는 증체효과가 15%에 달하는 육질이 좋은 ... ...
최초의 텔레비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1817년 스웨덴의 화학자 베르셀리우스는 셀렌(Se)이라는 원소를 발견했다.셀렌은 유황과 비슷한 원소로 빛을 쪼이면 전기가 발생한다. 빛을 쪼이는 양에 따라서 생기는 전기의 양도 ... 바꿔 멀리 보낼 수 없을까를 연구했다.이 시기에 존 베어드라 불리는 사람이 텔레비전을 만드는
꿈
에 ... ...
미국 공세에 쩔쩔매는 국내기업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하지 않고 독점적인 권리를 행사한데서 시작됐다.아모르퍼스(비정질, 非晶質) 합금은 '
꿈
의 재료'로 불리며 자기적 성질이 뛰어나고 강도가 강해 산업에의 응용성이 크게 기대되는 신소재중의 하나다. 얼라이드사측은 이 합금을 일본에 특허출원했는데 일본측이 고의로 특허심사를 지연시키고 있고 ... ...
금이 없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사람들이 믿어왔던 바다. 그리고 그 거대한 바다속 금광은 인간에게 거부가 될 수 있다는
꿈
을 주었다. 세계 제1차대전 이후 독일이 전쟁에 대한 책임보상으로 엄청난 거액의 지불을 요구받았을 때(사실은 지불한 적이 전혀 없지만), 노벨상을 수상한 화학자인 프리츠 하버씨는 독일의 빚을 갚기위해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