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자신"(으)로 총 2,84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부 잘하고 사무능률 올리려면 집중력을 높이자과학동아 l1987년 11호
- 마음편히 쉬며 즐길수 있는 것이면 아무거나 좋다. 말 코앞에 당근을 매 다는 것처럼 자기자신에게 미끼를 보여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인간은 타산적이어서 보수를 받는 회수가 많을수록 집중력도 높아진다.예를 들면 수학문제를 10문제 풀면 커피를 마시고 영어단어를 10개 외우면 휴식을 겸해 ... ...
- 금세기 최대의 흥미거리 인공지능의 상품화는 가능한가과학동아 l1987년 11호
- 과연 인공지능은 인간에게 유용한 상품으로서 자리잡을 것인가, 아니면 연구 그 자체에 머물러 학문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할 것인가.인공지능은 금세기의 가장 흥미있는 과학적 사업으로 믿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인공지능의 앞날은 어둡고 결국 잘못 쓰이게 되리라고 염려하는 사람들도 ... ...
- PC사용자의 명심보감 방심은 금물, 데이타를 보호하라과학동아 l1987년 11호
- 컴퓨터에 입력된 데이타는 다양한 처리과정을 거쳐 귀중한 정보가 된다. 그러나 전자화된 데이타가 파괴되면 그 피해가 막심하다. 데이타를 잃고 컴퓨터를 원망하는 일이 없도록 하려면···전자제품 대리점의 사장인 K씨는 점심식사후 느긋한 마음으로 그의 전용 PC의 전원을 올렸다. 그러나 잠시 ... ...
- 「컴퓨터 복덕방」의 탄생과학동아 l1987년 11호
- 전세를 얻거나 집을 사려고 복덕방에 들리면 돗수 높은 안경을 낀 노인네들이 바둑을 두고 있는 모습은 우리에게 매우 낯익다. 구입하려는 부동산의 가격과 규모를 대충 이야기하면 깨알같은 글씨가 빽빽히 적혀 있는 너덜너덜한 장부를 뒤적여 조건에 맞는 부동산을 찾는다.이 장부에는 평수 방수 ... ...
- 애플사 설립, 20대에 억만장자 스티븐 좁스와 스티픈 워즈니액(Steven Jobs & Stephen Wozniak)과학동아 l1987년 11호
- 오늘날 컴퓨터는 국민학교 어린이들도 다룰 수 있는 것이 되어 버렸다. 그러나 불과 10여년전만 해도 컴퓨터는 정부나 대기업들의 전용물이었다. 값도 비쌀뿐 아니라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이 접근할 수 없고 다루는 방법도 매우 복잡했었다. 1970년대초 미국 인텔사의 마션E. 호프 2세가 개발한 마이 ... ...
- 제1회 인촌상 학술부문 수상자 이호왕 교수과학동아 l1987년 11호
- 한탄(漢灘)바이러스, 서울바이러스. 미생물 이름에 우리에게 낯익은 한탄강의 한탄, 수도 서울의 이름이 버젓이 자리잡고 있다는데 대부분의 사람은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에서만 불리는 명칭이 아니라 세계의 학계에서 인정하는 학술용어이다.한탄바이러스 또는 서울바이러스 ... ...
- 이공계 대학, 어떤 학과를 선택할 것인가 기초과학분야가 전망 밝아과학동아 l1987년 11호
- 성적보다는 흥미 느끼는 분야로현-매년 이맘때가 되면 우리사회는 어김없이 대학입시라는 홍역을 앓게 됩니다. 자신의 일생이 이 한번의 시험으로 결정된다고 믿고 있는 학생 개개인은 말할 것도 없고 학부모들과 교사도 어느 대학의 어느 학과로 지원할까에 초미의 관심을 기울이게 되지요. 그 ... ...
- 염료이야기 신비롭고 아름다운 색깔을 찾아과학동아 l1987년 11호
- 식물에서 얻던 천연염료는 합성화학의 발달에 따라 인공염료로 대체되었다.여름날 비가 내린 뒤 산 중턱에 걸린 무지개를 보는 순간 사람들은 그 신비로움과 아름다움에 도취된다. 또 장미꽃이나 철쭉꽃을 볼 때도 같은 심정일 것이다. 그 때마다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과 신비로운 색깔을 자신들의 ... ...
- 박봉렬/물리학 물리학은 모든 문학의 기초과학동아 l1987년 10호
- 소립자 물리학 연구는 국제적 수준에 도달했다.물리학을 평생의 학문으로 연구에 매진하게 된 첫 걸음은 지난 1947년 일본 교토(京都) 제국대학 물리학과에 입학함으로써 시작되었다. 물론 대학에 들어가기 전에도 전공을 수학으로 할지 또는 물리학으로 할지 상당히 고민한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 ...
- 초음파로 교신하는 바다의 신동 돌고래과학동아 l1987년 10호
- 돌고래 영리한 돌고래, 뇌의 무게는 2kg 정도나 된다. 깊은 주름과 복잡한 곡절이 많으며 뇌피질의 신경세포수도 많다.요즘 상영되고 있는 KAL여객기의 기내영화 가운데 돌고래가 주인공(?)으로 나오는 것이 있다. 영화의 내용은 이런 것이다. 때는 21세기 중반, 정체를 알 수 없는 외계의 우주선이 지 ... ...
이전2712722732742752762772782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