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수소가 펼치는 우주의 경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그리고 그 에너지는 태양 밖으로 아주 천천히 전달돼 나온다. 이 모든 과정은 절묘하게
조절
돼 있어, 태양은 지난 46억년 동안 거의 일정한 밝기로 빛날 수 있었다. 태양은 앞으로 50억년은 더 안정되게 빛날 것이다. 그러나 50억년 후에 중심부의 수소가 고갈되면, 태양은 현재 크기의 2백배로 팽창해 ... ...
성모 마리아가 토끼를 발로 밟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단 8주만에 전체 토끼의 80-90%가 죽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바이러스로 토끼의 숫자
조절
에 성공할 수 있을지는 아직 모른다. 점액종에 면역된 것처럼 저항성을 지니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이렇듯 맹렬한 토끼의 번식력 때문에 서양에서는 토끼가 사랑스럽고 신성한 존재가 아니라 매우 천하고 ... ...
우리들의 겨울나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바닥에서 결정이 생겨 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랩 같은 것을 덮어서 증발의 속도를
조절
하면 된다.② 정전기로 형광등 켜기추운 겨울이면 어김없이 '찌릿' 하며 찾아오는 정전기. 이 정전기를 붙잡아 놓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또 정전기로 형광등을 켜보는 것이 어떨까.■왜 그럴까?서로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이제 겨우 1시간을 넘긴 인공동면 기술. 자유자재로 대사를
조절
할 수 있는 날은 먼 미래일 것이다.인체냉동 - 자면서 우주여행?영화 '데몰리션 맨'은 1990년대 냉동인간으로 보존된 한 경찰(실베스타 스탤론)이 2032년에 생환해 활약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또 '로스트 인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잠에서 깨어나게 만드는 신경회로들이 있어서 수면과 각성 상태는 뇌에 의해 잘
조절
된다. 쉽게 말하면, 뇌는 스스로 잠에 빠졌다가 또 스스로 잠에서 깨어나는 주기를 반복하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면 미래에는 심각한 불면증 환자의 뇌에 미세한 전극을 심어놓고 리모컨으로 전기자극을 주어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발생한 것이 아니라 사회경제적 모순에 의한 것이다. 식 량 문제는 식생활 개선, 인구의
조절
등으로 해결될 수 있다. 생명공학의 국제적 경쟁논리에 빠져 들지 말아야 한다."결국 배심원들은 피고 '유전자 조작 식품'에 대해 유죄인지 무죄인지 판결을 내리지 못했다. 그렇 다고 유전자 조작 식품이 ... ...
④ 동물들의 잠버릇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포유류나 조류가 곤충과 다른 점 이다. 곤충들은 앞서도 본 바와 같이 자신의 체온을
조절
할 수 없어서 체온이 내려가면 불활동 상 태에 들어갔다가 외부 세계의 온도가 올라가야 다시 활동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한편 겨울잠을 자지는 않지만 에너지를 보존하는 잠의 기능을 십분 활용하는 동물이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함으로써 내부압력을 증가시킨다. 그렇다고 무한정 압력이 증가되는 것 은 아니다. 압력
조절
장치를 달아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압력밥솥 내부의 기체가 빠져나오 도록 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한다. 보통의 압력솥은 2기압 정도의 압력을 유지해 물의 끓는 점을 약 1백20℃까지 올린다. 이런 경우 높은 ... ...
수은화합물 흡수하는 나무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세균의 유전자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세균들은 특수한 환경에 맞도록 대사 과정을
조절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온갖 종류의 독성 물질들을 흡수하는 종으로서 자주 사용된다. 최근에는 이런 현상을 식물들에서도 찾아볼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대두됐다. 식물의 뿌리가 토양의 모든 ... ...
3. 생명현상
조절
하는 생체전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이용해 신경세포의 회로망 구성을
조절
함으로써 우리의 몸속에서 일어나는 정보 전달을
조절
할 수 있는 시대가 올 수도 있다. 갈바니의 ‘동물전기’세포내 전위차를 발견한 것은 아니지만 살아있는 세포 조직이 전기에 대해 반응을 일으키는 현상을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의 해부학 교수였던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