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손상
타격
손실
수난
d라이브러리
"
피해
"(으)로 총 2,86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Ⅳ 바이러스 「현대의 페스트」부른 원시 병원체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오랜 옛날부터 인류를 괴롭혀온 병원체였다. 그러나 천연두 황열병 등 바이러스의
피해
에는 익숙해져 있었지만 그 정체는 오리무중이었다.현미경의 발달로 열린 '세균학의 전성기'였던 19세기말, 세균학자들은 세균보다 작은 병균이 존재할 지 모른다는 의심을 하기에 이르렀다. 1892년 러시아의 ... ...
10만메가톤의 에너지 태풍의 생성과 소멸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중부지방을 휩쓴 태풍 셀마(Thelma)도 그 거대한 몸부림으로 사망 1백18명 실종 2백 15명 재산
피해
2천20억원(재해대책본부집계)이라는 엄청난 상처를 냈다.대체 이 태풍의 정체는 무엇이며 어떻게 생기고 어떤 작용을 하는 것일까?적도 부근에서 생기는 열대성저기압태풍은 남서태평양의 적도부근 ... ...
30여년만의 본격조사 휴전선의 생태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때 등 2,3차례 더 실시하면 큰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담수어-농약
피해
없어 대량으로 번식 휴전선 부근 강과 개울 늪에서 발견된 어류는 71종. 농약사용이 거의 없어 어딜 가나 피라미 갈겨니 돌고기 모래무지 새미 붕어 배가사리 참종개 새코미끄리 퉁가리 메기 등이 떼지어 살고 ... ...
PARTㆍ2 심각한 부영양화 현상 대형호수의 오염과 대책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한다. 수중의 산소가 고갈되면 생태계가 파괴되고 물의 자정능력을 저하시크는 등의
피해
를 초래한다. 현재 설치되어 있는 폐수처리장은 대부분 이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것이다. 호수에 유입되는 유기물원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유역에서 유입되는 유기물이다. 유역인구가 ... ...
Ⅳ저기압이 만드는 높은 파도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감소에 따른 증폭작용을 받는다. 또 실제로는 고조발생이 만조시에 겹치는가 어떤가가
피해
의 크기에 관계하게 된다. 사상 최대의 고조는 1867년 11월1일인도 캘커타 동쪽 2백50㎞ 되는곳에서12m가 기록된 것이다 ... ...
바다의 약탈자 상어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포함한 20여종의 상어는 요주의 대상이다. 상어는 자기보다 더 큰 동물을 보면 겁을 먹고
피해
달아나 버리는 습성이 있다. 이런 습성을 이용하여 잠수부들은 물 속에 들어갈 때 긴 띠를 가지고 있다가 상어가 나타나면 재빨리 긴 띠를 양쪽 발에 달아 몸이 길게 보이도록 위장함으로써 상어의 습격을 ... ...
비오자 극성부리기 시작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받으면 잘익은 곡식이 껍데기만 남은 상태로 된다. 지난 10여년간 가뭄 탓인지 메뚜기
피해
는 생기지 않았다. 그러다 지난 84년부터 갈색 메뚜기 빨간메뚜기 사막메뚜기 등이 나타나기 시작하더니 작년에는 엄청나게 늘어났고 올해 들어 그 숫자가 더욱 늘고 있다는 것이다. 아프리카 여러나라에서는 ... ...
즐겁고 유익한 여름을! 자연관찰을 위한 안내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희귀한 고수갈로와벌레, 고수장님딱정벌레 등이 있긴 하지만 모두 관광객의 눈길을
피해
동굴 깊숙이 숨어 버렸기 때문에 직접 눈으로 볼 수는 없다. 다만 동굴안의 호수인 림푸울이나 림스톤에 서식하는 곱둥이 톡톡이 설설이 등은 되도록 접근해 망원경을 통해보면 관찰이 가능하다. 동굴이 ... ...
Ⅲ바다의 폭도-해일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큰 원을 따라 선으로 그리고 있다. 이 선이 마침 극동연안에 거의 직각으로 부딪쳐
피해
가 커진 한 원인으로 보인다. 칠레해일과 같은 먼곳의 해일 습격을 받기전에 극동에서 그 지진을 느낄수는 없다. 그러므로 당시는이 해일에 대한 예보나 경고 시스팀이 없었기 때문에 뜻밖의 재난을 ... ...
PARTㆍ1 「기르는 어업」의 이모저모를 살핀다 민물고기의 천국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양식은 적조(赤潮)현상 등으로 인해 어조류가 폐사하거나 질병이 발생해 뜻하지 않는 큰
피해
를 입기도 한다. 따라서 바다의 양어장은 낮은 바다에서 깊은 바다쪽으로 나가는 경향이 있다. 아뭏든 바다이건 내수면이건 양식의 중요성은 점점 높아가고 있으며 그 방법도 과학화ㆍ다양화되고 있다.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