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너지 변환 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전기전자 공학과 관련된 내용을 배운다. 마지막으로 실생활에서 편리하게 쓸 수 있는
형태
로 에너지를 저장하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재료역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재료역학이란 재료의 성질을 파악해 사용하려는 목적에 맞게 어떤 재료를 어떻게 경제적으로 사용할 것인가를 공부하는 ... ...
상위권은 수시 논술이 당락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수리사고평가면접을 눈여겨봐야 한다. 기존에 진행하던 수리과학 논술고사를 단순화한
형태
로 수리와 과학영역을 유기적으로 엮는 종합적인 문제를 출제해 개념을 얼마나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평가한다. 올해 신설된 전형으로 브레인한양전형이 있다. 전년도에 실시한 공학인재전형을 ... ...
사람의 뇌기능, 수학으로 판독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내부에서 일어나는 정보처리과정을 이해하려고 연구하고 있다. 또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형태
의 정보처리 장치를 개발하고, 정보처리 문제로 발생하는 뇌질환을 진단하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신경세포 연결지도만으로는 뇌를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고속도로의 모양까지는 알 수 있지만 그 ... ...
PART 1 비를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곡선과 매우 흡사하다. 또한 새의 날개 끝은 몸통을 기준으로 할 때 사이클로이드
형태
의 타원 모양으로 자취를 남기며 *양력을 이용해 앞으로 나아간다.수학자들은 이 아름다운 성질을 트로이전쟁의 원인이 된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최고의 미녀 헬레네의 아름다움에 빗대어 ‘기하학의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가지게 된다. 결국 표준모형의 모든 입자는 힉스 입자를 통해서 질량을 얻어 우리가 보는
형태
로 모습을 드러내게 되는 셈이다. 아마도 이것이 노벨상 수상자이며 미국 페르미 국립가속기연구소 소장을 지낸 레이더먼이 힉스 입자를 자신의 책에서 ‘신의 입자(God Particle)’라고 부른 이유일 것이다 ... ...
냄새 잘 맡아서 똑똑해진 포유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과 엑스선촬영으로 재구성했다. 이 동물들은 쥐처럼 생긴데다 감각기관 발달정도와 뼈의
형태
가 포유류와 비슷해 고대포 유류로 분류된다.연구팀이 이들의 뇌 용량과 비강(콧속 빈 공간)의 크기를 파충류, 현생 포유류의 것과 비교한 결과 고대포유류가 파충류에 비해 뇌 용량이 50% 이상 컸다. 특히 ... ...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바로 8개의 수문이다.수문은 말 그대로 물이 빠져나가기만 하기 때문에 뻥 뚫린 터널
형태
다. 발전 기능도 없다. 하지만 수차발전기만으로도 이미 상당한 양의 전기를 만들 수 있다. 한국수자원공사의 계산에 따르면 한 해에 5억 5200만kWh의 전력을 만들 수 있다. 소양강 댐의 1.56배로 인구 20만 명 ... ...
올해 KMO 1차, 예년보다 어려웠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성질을 이용해 주어진 식의 범위를 찾는 이 문제는 일반적인 대수 문제를 응용한
형태
다.범위를 찾을 수 있는 부등식, (k-1)(k+1)‹k²‹(k-3/4)(k+5/4)를 알아야 문제를 풀 수 있는데, 이 부등식에서 각 변의 역수를 취하면 된다. 이때 주어진 식의 값의 범위를 줄여서 근삿값을 찾아내는 게 중요하므로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상승비행 중 조종사가 안전비행을 할 수 있다. 중익기는 고익기와 저익기의 중간
형태
고 흔히 전투기에 많이 사용된다. 땅에서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기 위해 설계된 고익기의 특성과 기동성이 좋은 저익기의 장점을 모아 설계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떴다 떴다 비행기~♬ 수학으로 ... ...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촉매가 바닥에 좀 떨어졌네요. 입자 지름이 머리카락 두께 정도 밖에 안 되지만 공
형태
라 미끄럽습니다. 조심하세요.”대전 한국화학연구원 그린(녹색)화학연구단 박용기 박사의 안내로 새로운 나프타분해공정 파일럿플랜트를 둘러보던 기자는 하마터면 미끄러져 엉덩방아를 찧을 뻔했다.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