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마침내 밝혀진 진실 “난 ‘해뿡’이 아니라고!”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1호
- 못하는 도깨비의 습성 때문에 어쩔 수가 없군.”다들 귀를 기울였습니다. “사관학교 1학년 때의 일이었어. 식당에서 페가수스와 부딪쳤는데, 살짝 방귀 소리가 난 거야. 주변에 있던 사람들이 다 쳐다봤어. 내가 아니라고 태연한 표정을 지었는데, 다들 ‘해롱이 방귀를 뀌었네’라고 수군거리더군. ... ...
- [특집] 무한의 비밀을 밝혀라! 인피니티 워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않겠소?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무한의 비밀을 밝혀라! 인피니티 워Part1. [특집] 알쏭달쏭 무한 세계Part2. [특집] 수학자가 무한을 그리는 방법Part3. [특집] 무한을 셀 수 있다고? 마법의 일대일 대응Part4. [특집] 연속체 가설을 무찌르기 위한 수학자들의 노력Part5. [특집] 연속체 ... ...
- [특집] 무한을 셀 수 있다고? 마법의 일대일 대응수학동아 l2021년 11호
- 같을까요? 실수는 자연수와 일대일 대응할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실수 중 0.3435를 골라 1과 대응시키고, 0.3436은 2, 0.3437은 3과 대응시키면 겉으로는 일대일 대응이 되는 듯 보입니다. 하지만 0.3435와 0.3436 사이에는등 자연수의 개수보다 많은 실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대일 대응이 되지 않습니다 ... ...
- [매스크래프트] #23. 나에게 빠져 빠져! 미로의 숲!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살랑살랑 바람이 불어오는 가을이 되면 훌쩍 여행을 떠나고 싶은데요, 제가 예전부터 눈여겨보던 여행지가 있습니다. 바로 ‘제주 김녕 미로공원’입니다. 상록수 ... 따라가면 탈출 성공! 퓨처킴이 트레모 미로 알고리듬으로 미로를 탈출하는 모습은 11월 1일 수동 TV에서 볼 수 있어요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 재밌게 공부하고 잘하는 비법은?수학동아 l2021년 11호
- 최 선생님은 장기기억이 되도록 ‘10분 후 복습 ‚ 1일 후 복습 ‚ 1주일 후 복습 ‚ 1달 후 복습’ 공부 방법을 추천하셨습니다. 왜 일까요? ‘망각의 법칙’ 때문이라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온라인 클래스에서 확인해 보세요 ... ...
- 식물, 공장에서 키웁니다과학동아 l2021년 11호
- 공급하려는 목적으로 송풍기도 가동한다. 조명은 오전 5시에 자동으로 켜져, 오후 11시에 꺼진다.물에 질소, 인, 칼륨(포타슘), 칼슘 등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영양분을 섞어 배양액을 만든다. 이 배양액은 커다란 탱크에 저장해 뒀다가 자동으로 파이프를 통해 선반의 각 층으로 전달한다. 수조에는 ... ...
- [과학뉴스] 거센 파도에도 끄떡없는 홍합 접착 과정 밝혀져과학동아 l2021년 11호
- 철보다 바나듐이 두 배 더 접착력이 높다는 사실을 보고한 바 있다. doi: 10.1021/acs.chemmater.1c02063매튜 해링턴 캐나다 맥길대 화학과 교수는 “홍합이 금속 이온과 유체단백질을 혼합해 수중 접착제를 만드는 과정은 2~3분 안에 빠르게 이뤄진다”며 “홍합의 기작을 이해하면 추후에 생 ...
- [과학뉴스] 중심별의 죽음에서 살아남은 행성 발견과학동아 l2021년 11호
- 발견됐다. 조슈아 블랙맨 호주 태즈메이니아대 자연과학부 연구원팀은 외계행성 MOA-2010-BLG-477Lb가 백색왜성의 주변을 공전하면서도 여전히 생존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010년부터 미국 하와이의 켁(Keck) 천문대 망원경으로 포착한 미시중력렌즈 현상(microlensing)과 근적외선 ... ...
- [과학뉴스] 공룡 대퇴골 핵 속에 남겨진 유기분자과학동아 l2021년 11호
- 9월 24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2003-021-02627-8연구팀은 중국 동북부에서 발굴한 1억 2500만 년 전 수각류 공룡 카우딥테릭스(Caudipteryx)의 화석 대퇴골에서 연골 조직을 추출했다. 그리고 핵과 결합하면 보라색을 띠는 색소 헤마톡실린으로 연골 조직을 염색했다. 그 ...
- 벌레잡이풀·벌집에게 배운다, 바이러스 잡는 ‘표면 공학’과학동아 l2021년 11호
- 표면을 제작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두 가지 표면 구조에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바이러스를 모사한 나노입자 및 아데노바이러스 입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벌집 모양은 93%, 쐐기 모양은 96%까지 입자를 가뒀다. 사람의 손이 표면에 닿았을 때 접촉할 확률이 거의 없다는 뜻이다. 김 ... ...
이전2712722732742752762772782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