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뉴스
"
표면
"(으)로 총 4,107건 검색되었습니다.
中 ‘창어 4호’ 인류 사상 첫 달 뒷면 착륙 성공(종합)
2019.01.04
달 탐사는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중국은 2020년 이전에 ‘창어 5호’를 발사해 달
표면
을 탐사하고 달 토양 약 2㎏을 채취한 후 착륙선과 로버를 모두 지구로 귀환하는 임무를 추진할 계획이다. 달에서 채취한 샘플을 지구로 가져오는 것은 1976년 옛 소련의 달 탐사선 ‘루나 24호’ 이후 40여 년 ... ...
中, 창어 4호가 찍은 인류 최초 달 뒷면
표면
사진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창어 4호의 속도를 초속 1.7㎞에서 0으로 낮췄다. 창어 4호는
표면
위 100m 상공에 멈춰서며
표면
의 장애물과 경사도를 식별했다. 스스로 장애물을 피해 상대적으로 평평한 지역을 착륙 지점으로 택한 후 수직으로 하강을 시작했다. 달에 착륙하는 동안 창어 4호에 달린 지형 감시카메라는 착륙 지점 ... ...
이산화탄소 석유화학 원료로 바꿔주는 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개발해 효율을 기존 기술보다 30% 이상 높였다. 연구진은 산화알루미늄의
표면
에 ‘증발유도자기결합법’을 써 5~8 나노미터(㎚·10억분의 1m)의 기공을 규칙적으로 새기는 중형 세공을 했다. 그 결과 고온고압의 반응조건에서도 촉매가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여기에 반응과정에서 많은 양의 물이 ... ...
소행성 ‘울티마 툴레'는 눈사람 닮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4km와 19km인 두 개의 공 모양 소행성 두 개가 붙어 있는 형태가 선명하게 드러났다. 소행성
표면
의 특성도 드러났다. 밝은 부분과 어두운 부분이 군데군데 섞여 있었고, 대체로 매끈한 공 모양이지만 일부 지역은 낮은 지역보다 1km 이상 솟아 울퉁불퉁했다. 유성 등이 충돌한 흔적은 거의 없었다. 4 ... ...
中 창어4호, 최초로 달 뒷면에 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판단하기 위한 실험도 진행된다. 창어4호는 달 토양에 식물을 심는 온실 시험을 달
표면
에서 최초로 진행한다. 달 토양에 작은 속씨식물인 애기장대를 심어 지구 중력의 16.7%에 불과한 달 환경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지 시험해볼 예정이다.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식물을 키운 적은 있지만 달에서 ... ...
NASA 뉴호라이즌스, 태양계 가장 바깥 소행성 접근
2019.01.02
당시 남은 암석과 얼음 조각들이 몰려 있는 곳으로, 뉴호라이즌스호는 울티마 툴레의
표면
구성 성분을 추정하고 지형과 형태 등을 분석해 태양계 초창기의 환경을 알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NASA는 이번 뉴호라이즌스호의 접근으로 촬영된 데이터를 분석해 2일 또는 3일에 첫 관측 결과를 ... ...
못 먹는 식물성 기름으로 차세대 바이오디젤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30
연구팀은 마지막으로 이렇게 찾은 코발트-몰리브덴 촉매의 가공 방법들을 비교해, 촉매
표면
에 산소가 비어 있는 구조를 만들 수 있는 방법(졸-겔법)이 가장 바이오디젤 전환 효율이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 구조는 1세대 바이오디젤의 품질을 떨어뜨리던 분자구소 속 불필요한 산소 원자를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타미플루와 인류
2018.12.30
숙주 세포로 들어가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새로 복제된 바이러스
표면
에 시알산이 계속 남아 있으면 바이러스는 세포에 혹은 바이러스끼리 서로 엉겨 붙습니다. 그래서 N 단백질이 이를 분리해서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러한 과정은 대략 10시간이 걸리는데, ... ...
식량자원부터 장기이식 연구까지...과학자는 돼지를 사랑해~
과학동아
l
2018.12.28
해결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대표적인 면역거부반응은 인간의 항체가 돼지의 장기
표면
에 있는 당 성분인 알파-갈락토오스를 공격하는 것이다. 2002년 1월 미국에서 세계 최초로 알파-갈락토오스 유전자를 제거한 형질전환 돼지가 탄생했고, 이후 개선을 거듭해 2015년에는 형질전환 돼지의 신장을 ... ...
홍합에서 얻은 접착물질로 연료전지 효율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27
70%로 줄어들고
표면
손상이 많았지만 폴리도파민 전해질막은 두께가 97% 이상 유지되고
표면
도 깨끗했다. 김 연구원은 “자연 물질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기존 산업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했다”며 “수소연료전지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전해질막이 들어가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것”이라고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