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1% 과학영재 되는 비법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갖지 않고 20대에 박사 학위도 받을 수 있다. 과학영재학교는 수학, 과학 실력이 탁월하고
미래
과학자를 꿈꾸는 영재에게 안성맞춤이다. KSA 김문수 입시관리 부장은 “우리나라 발전에 기여하고 인류에 공헌할 과학자가 되고 싶은 사람이라면 이 학교에 도전하라”고 밝혔다.수학, 과학뿐 아니라 전 ... ...
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00BC로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있지요.끊임없이 변하는 지구의 생물, 인간은 멸종하지 않고 살아남을 수 있을까요?
미래
의 지구엔 누가 살고 있을까요?+ 플러스 과학 이야기영화 속 이야기 모두 사실은 아니야!특집-거대 동물 멸종 미스터리 10000BC로 떠나다 39신기한 거대 동물을 만나고 온 여행. 영화보다 더 재미있었죠? 한 가지 더 ... ...
뒤엉킨 전선 안녕, 와이트리시티 탄생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미국의 MIT는 매년 ‘10대 유망기술’을 발표한다. 가까운
미래
에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이기에 세계의 과학기술계는 발표 내용에 큰 관심을 보 ... 우리나라가 이동통신 분야에서 세계 표준을 만들었듯이 이 분야에서도 표준을 주도해
미래
유비쿼터스 시대의 진정한 승자가 되기를 기대한다 ... ...
우리 바다 지키는 '포세이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생각한다”고 전했다. 연구팀이 예측한
미래
해양환경은 핑크빛이 아니다. 그러나
미래
는 준비하는 자의 몫이라고 했다. 연구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책을 마련해야 할 시점이다 ... ...
“지구 최후의 날을 대비하세요~!”종자저장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된답니다. 그래서 많은 나라들이 계속해서 종자를 보낼 계획이지요. 한 알의 작은 씨앗이
미래
에는 지구를 살리는 커다란 생명력이 될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사실 제가 쓰일 일은 없었으면 해요. 저도 지구 최후의 날이 오지 않기를 바라고 있거든요 ... ...
2030년
미래
는 어떤 모습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6호
SF영화에 나오는
미래
의 모습이 현실이 될까요?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에서는 과학기술 예측조사와 공모전으로 접수된 가상 시나리오를 ... 하지만 핵폭탄보다 더 무서운 무기와 새로운 질병이 나타나는 등 부작용도 있답니다.과연, 실제
미래
는 어떤 모습으로 펼쳐질까요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나온 눈이 제각기 움직인다는 점이다. 때문에 마다가스카르에는 ‘카멜레온처럼 한 눈은
미래
에, 다른 한쪽 눈은 과거에 둔다’는 속담이 있다. 주행성이며 단독생활을 주로 해 다른 카멜레온에게도 공격적인 성향을 띤다. 그래서인지 마다가스카르 섬에는 카멜레온이 불운을 가져다준다는 미신이 ... ...
손대면 톡(talk) 터지는 휴대폰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충전 기능을 포함할 것이라며 7년 내에 상용화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하지만 휴대전화가
미래
유비쿼터스 시대의 중추로 자리매김하기까지는 넘어야할 벽이 아직 많다.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가 작아질수록 사용하기 불편하다는 점이나 휴대전화 배터리 용량에 한계가 있다는 점은 걸림돌이다.또 ... ...
스무 살 성인 된 V3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자신의 기질을 깨닫게 해주겠다”고 밝혔다. 젊은이의 가치관이 무너지면 한국의
미래
는 없다는 위기감이 그를 강단에 서도록 한 셈이다.그는 문과와 이과가 인위적으로 나뉜 한국의 교육 제도에도 일침을 가했다. 그가 학생 신분으로 외국 대학에 다니며 가장 부러웠던 점 중 하나는 공대가 대학의 ... ...
한국인 최초 개인 게놈 해독 눈앞
과학동아
l
2008년 06호
인간게놈프로젝트’로 떠오르고 있다”며 “‘아시아 게놈 프로젝트’를 통해 한국이
미래
개인별 맞춤 의학 연구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다. 웟슨, 벤터 다음은 누구?개인 유전체학 ‘열풍’은 지난해부터 그 조짐이 보였다. 지난해 6월, DNA 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제임스 슨의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