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식
하느님
군
현
주님
주예수
주간
d라이브러리
"
주
"(으)로 총 3,608건 검색되었습니다.
만병의 근원 감기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먹으면 환각상태에 이른다. 그래서1997년 10월부터 조제시에 이 약을 쓸 경우에는 환자의
주
민등록번호 등을 자세하게 적게 돼 있다.●무수카페인:약효를 상승시키고 두통을 멈추게 하는 효과가 있다.●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과 파라옥시안식항산프로필:약성분을 녹이는 용매다. 조제약의 예콧물과 ... ...
마차를 발명한 아테네의 왕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1백배나 큰 적색거성
주
위를 작고 푸른별이 돌고 있다. 태양보다 4배 큰 푸른별은 크기는
주
성보다 작지만 밝기는 5배나 된다.마차부자리에는 3개의 밝은 산개성단 M36, M37, M38이 있다. 이들은 모두 맨눈으로도 희미하게나마 알아볼 수 있다. 가장 밝은 M37은 1백50여개의 별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작은 ... ...
전설의 섬 이어도 과학기지로 재탄생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해양의 분할관리시대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반도
주
변해역의 경계를 정할 때
주
변국가 간에 치열한 외교 논쟁이 예상된다. 이어도 해양과학기지는 국제적인 해양관할권 분쟁에 적극 대처하는 의미에서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
스트레스 줄이면 심장병 호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몸 근육의 충분한 이완을 유도해 편안한 마음을 유지하게 만든다. 교육 기간은 1
주
에 90분 정도.지금까지 스트레스가 심장마비와 관련될 수 있다는 막연한 추측만이 제기되던 상황에서, 이번 연구는 스트레스 감소가 실제로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최초의 보고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
2. 고산능력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돼 심하면 목숨을 잃게 된다.고소순응 과정은 사람마다 개인차가 있지만 대개는 몇
주
간 소요된다. 고소순응이 잘 이루어지는 사람은 고산에서 등반활동을 잘 할 수 있다.고산등반시 산소마스크를 사용하면 등반의 속도를 높일 수 있고, 밤에 자는 동안에 추위를 덜 느껴 깊은 잠을 잘 수 있다. 그러나 ... ...
세기말 바람타고 날아온 바이블 코드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코드 역시 노스트라다무스나 격암유록, 정감록 등 이른바 비전(秘典)이라 불리는 범
주
의 서적들이 공통적으로 가진 문제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외신에 따르면 미국의 영화제작사인 워너브라더스는 바이블 코드를 영화로 만들기 위해 판권을 사들였다고 한다. 그동안 잘 팔리는 소설이 영화화된 ... ...
1. 러시아 현지취재 우
주
왕국은 무너진 것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부란이 처음으로 사람을 태우지 않은 채 에네르기아로 발사됨(11월15일). 옛소련의 우
주
비행사인 티토프와 마나로프가 3백66일 동안 미르에 거
주
함으로써 최초로 우
주
여행기록이 1년을 넘음(87년12월21일-88년12월).1989■미국, 금성탐사선 마젤란호 발사(5월4일).■유럽우
주
기구, 히파르코스 위성 발사( ...
2. 에피소드로 본 우
주
시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그의 동상이 있다. 우
주
비행사들에 얽힌 이야기는 다치바나 다카시(立化隆)가 쓴 ‘우
주
비행사 그들의 이야기’(1991년 국내에 번역됨)와 필립 카우프만감독이 만든 ‘필사의 도전’이란 비디오를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 ...
서베이어호 화성 도착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패스파인더에 이어 지난해 11월7일 발사된 마르스 글로벌 서베이어호가 9월11일 화성의 타원궤도에 진입했다. 지구에서 약 6억9천만km를 날아가 화성에 접근한 우
주
선은는 ... 있다. 마르스옵서버호는 궤도진입시 역추진장치에 압력을 높이는 순간 궤도를 이탈해 우
주
공간으로 사라졌다 ... ...
3. V2에서 벤처 스타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앞으로의 우
주
개발은 지금까지와는 사뭇 다른 방법으로 진행될 것이다. 선진국의 우
주
개발 방향을 볼 때 우리나라는 저궤도용 이동통신위성에 필요한 저비용 소모성 위성발사체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는 21세기 초까지 매년 1백여기 이상 발사되는 인공위성 시장에 참여하기 위해서다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