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결
판결
선정
선택
확정
판정
선출
d라이브러리
"
결정
"(으)로 총 6,687건 검색되었습니다.
F1 머신에 민무늬 광폭 타이어를 다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주변 환경과 도로의 상태, 기온에 따라 수행능력이 달라진다. 특히 날씨는 경기의 승패를
결정
짓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도로에 물기가 있으면 타이어의 마찰력이 크게 떨어진다. 물기가 만드는 수막현상 때문이다.F1은 비가 오면 경기를 진행시키지 않지만 경기 중에 비가 내리면 그대로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도시가 긍정적으로 발전하느냐, 부정적으로 발전하느냐에 따라 인간과 지구의 미래는
결정
되는 셈이다. 현재 도시는 어떤 변화를 겪고 있을까. 또 미래 도시의 비전은 어떻게 세워야 할까.오늘날의 도시는 어떻게 변하고 있는가?슈라드 Vs 플로리다 ▶프랑스 최대의 도시연구소인 IAU(일 드 프랑스 ... ...
[통합과학] 유전정보의 변화와 표현형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논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견될 수 있습니다. - 해독틀을 잘못
결정
한 경우 - DNA상의 변이로 인해 변화한 아미노산 서열을 잘못 판단한 경우 - 아미노산의 성질을 비교해 변이의 경우 단백질의 구조에 미치는 영향과 생장률을 잘못 짝 짓게 되는 경우 각 경우에 대해 자신의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장애물을 찾아 내는 장애물인식시스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결정
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미국이 이 분야에서 가장 앞서 있지만, 아직 완전한 자율주행기술은 완성하지 못한 상태다.로봇의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전투로봇이라는 말을 들으면 흔히 터미네이터와 같은 ... ...
새가슴 선수 강심장 만들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인지적 접근 치료의 중심 과정은 이런 불합리한 생각을 합리적으로 고쳐간다. 승패를
결정
하는 것은 나의 영역만이 아니므로 불안해 하기보다는 내가 할 수 있는 한에서 최선을 다 하게끔 생각을 바꾸려 노력한다.인지적 접근 방법은 교육적 측면에서 긍정적이고, 문제가 발생하기 전 불안을 다룰 ... ...
내 마음 알아채는 빛 반도체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층당 두께가 나노미터(nm, 1nm=10-9m) 단위밖에 되지 않아 굉장히 얇다.원소들을 층층이 쌓은
결정
을 약 1000℃에서 가열하면 질화갈륨(GaN)이 생성되면서 메탄가스는 밖으로 날아간다(MOCVD 공정). 여기에 배터리를 연결해 전기를 통해주면 된다. 실리콘만 겹겹이 쌓아도 만들 수 있는 반도체를 굳이 여러 ... ...
제시문에 기반해 명확한 답 찾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학생을 논술 100% 전형으로 선발할 계획을 밝혔다. 어느 때보다 논술이 입시 당락을
결정
하는 열쇠가 됐다. 고려대 논술의 출제 경향과 변화사항을 체크하고 대비책을 살펴보자.고려대 수학논술의 특징고려대 자연계 논술은 바야흐로 4세대에 접어들었다. 언어논술과 수학논술을 철저히 구분하던 200 ... ...
나로호 내년에 세 번째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예정이다.교과부 유국희 우주개발과장은 “3차 발사의 정확한 시기는 4차 FRB 회의 이후에
결정
될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3차 발사에 들어가는 비용은 많지 않을 전망이지만 발사체에 실을 인공위성에 기존과 다른 기능을 추가하면 커질 수 있다. 유 과장은 “러시아 측에 추가로 비용을 지불하지 ... ...
[화학] 화학평형의 원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낮아지려는 경향인 엔탈피와 무질서도가 증가하려는 경향인 엔트로피의 경쟁에 의해
결정
된다. 예를 들어 얼음이 녹는 과정을 보자. 0℃ 이상에는 엔트로피가 우세해 얼음이 녹는 과정이 자발적이나 0℃ 이하에서는 엔탈피 측면이 우세해 얼음이 녹는 과정이 비자발적이다. 얼음이 녹는 과정에서 ... ...
Part 4. 집에 오는 길은 힘들어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피로도를 예상하고 해당 도로의 교통량 등을 고려해 최종 간격을
결정
해. 적어도 25km마다 하나씩은 짓도록 하고 있지. 하지만 경제적인 문제로 휴게소 사이의 거리가 61.3km나 되는 곳도 있어. 휴게소 사이의 거리가 먼 고속도로일수록 졸음운전으로 생긴 사고가 많다는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