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견해
의견
평가
진단
생각
사고
견적
d라이브러리
"
판단
"(으)로 총 3,004건 검색되었습니다.
「흥수아이」를 통해 살펴본 한반도의 구석기 인류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획기적인 진전이 될지도 모르는 기회를 개인의 이해관계로 인해 포기할 수 없다고
판단
한 김씨는 며칠후 충북대 이융조교수에게 전화를 걸었다.국내 처음으로 발굴된 완전한 모습의 구석기시대인간 '흥수아이'는 이렇게 해서 발굴작업에 착수하게 되었다. 이교수팀은 이후 10차례에 걸친 발굴작업을 ... ...
TV과외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면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것이다.문법은 영어의 기본을 다지는 부분이다. 때문에 시청하는 학생개인이 스스로
판단
해서 들을 수 있다. 저 학년 때 이미 마스터 된 부분과, 그렇지 못한 부분을 학생 각 개인의 수준 정도에 따라 선별, 문형 즉 문장의 숙어를 중심으로 숙달해야 하는 것이다.영어를 잘하는 방법은 어쩌면 ... ...
이상희 과학기술처 장관 "10만 양병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율곡선생의 10만 양병설이 받아들여졌다면 임진왜란은 아예 없었을지 모릅니다. 적어도 전국토가 초토화되는 피해는 없었을 것입니다. 전세계적으로 펼쳐지고 있는 포성이 없 ... 그러나 이는 임시방편일 뿐입니다. 몸에 탈이 나면 기초체력이 약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
해야 합니다. ... ...
생물의 갖가지 형태가 갖는 의미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나뭇가지를 스칠 때 그 몸에 찰싹 달라붙는다.그런데 눈이 없는 진드기가 어떻게 상황을
판단
할 수 있을까? 잠복할 나무로 올라가는 길목을 찾는데는 온 살갗에 퍼져 있는 빛감각점을 활용한다. 사냥감을 찾는데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즉 모든 짐승의 살갗샘에서 흘러나오는 낙산(lactic acid)의 냄새가 ... ...
나의「로미오」-수학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않는다. 아무래도 내가 계획표를 고집하게 되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이 시간의 냉정한
판단
이 두렵기 때문이다.●- '또 모르지'를 배우면서계획표 예찬론을 좀 더 늘어놓자면 이렇다. 계획표는 후에 내 생활을 평가하는 기준을 제공해준다. 낭비된 시간 뿐만 아니라 꼭 해야 할 일들을 생각하게 ... ...
50만원 PC, 언제 출현할까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못 할 것도 없다'고 진단한다. 다만 기업들이 막대한 설비투자에 대해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
하는 순간까지 주판알을 튕길 것이라는 얘기다.PC가격이 갈수록 떨어질 것이라는 예측과는 대조적으로 현재 대부분 무료나 아주 싼값으로 살 수 있는 소프트웨어의 비용은 점차 늘어날 전망이다.PC를 살 때 ... ...
PARTⅡ 우리의 선택은?-고속전철인가,자기부상 열차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5호
프랑스의 TGV나 일본의 신깐센 등은 잘 알려진 고속전철이다. 여기에 자기부상열차가 등장하면서 우리의 선택의 폭은 매우 넓어졌다.'테제베(TGV)인 ... 있는 방식이 가장 안전하다"고 주장한다.독자적인 연구개발 경험없이 남의 나라 것만 보고 어려운
판단
을 해야 하는 것이 안타까울뿐이다 ... ...
식품포장재 랩 논쟁4년 PVC는 랩의 원료로 타당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랩이 국민건강과 직결된 식품포장재이기 때문에 더이상 보고있을 수 없다고
판단
, 식품영양학자의 자문을 받고 간담회 등을 개최하면서 PVC랩의 유해가능성을 여론화시켰다. PVC랩 생산업체들도 한국소비자연맹과 함께 방어작전에 나섰다.한국부인회측은 "처음 PVC랩 유해성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정치인의 생각이 크게 다를 수 있음을 느꼈다. 그러나 지금도 어느 것이 옳은 것인지
판단
하지 못하고 있다. 학자에게는 조국이 있으나 학문에는 국경이 없기 때문이다 ... ...
과학에세이 인공지능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이것이 적당한 물질적인 기반(컴퓨터나 두뇌 속)에서 힘을 발휘하면 글자 그대로 추리나
판단
인나 생각이 되는 것이다.그러나 여기에도 문제는 있다. 즉 인간의 사고의 폭은 깊고 다양해서 그 사고과정 속에는 논리적이고 수학적인 식으로 표현될 수 없는 부분이 적지 않을 것이다. 예를들어 계산을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