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활용"(으)로 총 7,06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인공지능은 떡잎만 봐도 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번에 개발한 프로그램은 어떤 식물인지 알지 못했던 식물화석의 종류를 파악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며 “잘 알려지지 않은 식물의 유연관계를 파악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 Part2. ‘알파크래프트’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석권한 일본 리쓰메이칸대 ‘아이스봇(Ice_bot)’은 유체의 흐름을 설명하는 수학공식을 활용해 대규모 병력을 자연스레 움직였다. 프랑스 낭트대 ‘아이어(Aiur)’는 대회 초반에는 승률이 60%에 머물렀지만, 동일한 상대와 90번 대결을 펼친 뒤에는 상대에게 맞는 전략을 선택하여 73%로 승률을 끌어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빌 게이츠가 1000만 달러를 기부했다. 이 돈은 망원경을 이용하고 유지, 보수하는 데도 활용할 계획이다.Q. 망원경 프로젝트에 구글이 참여하는 점이 놀랍다.구글은 프로젝트 초창기부터 기관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구글이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LSST에서 만들어진 ... ...
- Part 4. 눈 폭풍 비밀 풀면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런 지그재그 형태의 플라스마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해 고성능 플라스마 운전모드를 달성하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미래 핵융합 장치인 이터(ITER)가 완공될 때를 대비해 우리나라의 KSTAR를 비롯한 다양한 핵융합 장치에서 플라스마 난류를 ... ...
- [Knowledge] 사람은 이름을 남기고, 명견은 명견을 남긴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크다현재 복제견은 마약탐지 등에 많이 투입되고 있다. 복제견을 탐지 부문에서 활용하겠다는 발상이 처음 나온 건 2007년이다. 이병천 교수는 “당시 관세청 마약탐지견센터가 ‘체이서’라는 아주 뛰어난 마약탐지견의 복제견을 만들자는 제안을 해서 연구를 시작하게 됐다”고 말했다.일란성 ... ...
- [과학뉴스] 식중독 원인균, 여섯 시간 안에 진단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매년 여름 발병하는 집단 식중독 원인균을 빠르게 진단할 수 있는 키트가 개발됐다. 질병관리본부는 학교나 군부대 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집단 식중독의 원인균을 수 시간 내로 ... 될 것으로 기대된다. 키트는 특허로 등록돼 지역 보건환경연구원이나 대학 등에서 활용할 수 있다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다른 사진에도 펭귄이라는 이름을 붙이는 방법이다. 이미 학습된 지도학습 신경망을 활용할 수도 있다. 믿을 만한 컴퓨터 비전 신경망이 엄마 역할을 하며 이미지에 정답을 붙이고, 새로운 신경망은 아이처럼 인공지능 엄마의 지도로 학습을 하는 방식이다.기초 설계과정에서도 사람의 손을 거친다. ... ...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이를 위해 자기주도형 과학동아리를 선발, 지원하고, 학교 과학실을 사물인터넷 등 ICT 활용이 가능한 곳으로 개선할 계획도 하고 있다. “학교를 메이커활동의 거점으로 만드는 것 같다”는 말에 그는 “그렇다”고 답했다.“미래 세대를 위해서는 많은 걸 바꿔야 합니다. 미래 세대에 필요한 ... ...
- 새로운 우주여행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데 성공했답니다. 이제 발사체를 여러 번 사용할 수 있게 된 거예요. 사람들은 재활용 발사체 기술로 우주여행 비용이 10분의 1로 줄어들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답니다. 스페이스X의 ‘팰컨9’뉴 셰퍼드의 발사체가 무사히 지상에 착륙하고 한 달 뒤인 2015년 12월, 스페이스X의 우주선 ‘팰컨9’의 ... ...
- 인공지능, 인간을 뛰어넘은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이용해 표본을 뽑아 탐색하며 바둑을 둔다. 표본이 전체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활용한 것이다. 표본 집단의 크기가 커질수록 정확도가 높아진다. 무작위 표본 추출은 알파고가 다양한 상황에서 가장 좋은 수를 고르도록 한다.[무작위 표본 추출★몬테카를로 트리 탐색이라고도 한다.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