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연세대 한국판 미디어랩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취지의 'IT명품인재양성사업'을 발표했다. 이공계 상위권 대학들이 접전을 펼친
끝
에 연세대가 구축기지로 선정됐다. 연구 위주의 통섭 교육, 1명당 1억 원의 파격적인 연구비를 지원할 한국판 미디어랩이 과연 스티브 잡스와 같은 IT산업 리더를 키워낼 수 있을까.지식경제부는 지난 8월 26일 연세대를 ... ...
[지식의 길을 묻다] IT의 미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우리 사회를 얼마나 더 바꿀까?▶니컬라스 네크로폰테 MIT 교수는 “IT의 발전은 그
끝
을 알 수 없고, 실제로 과거 산업 전체를 흔들고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예로 종이책과 종이신문이 전자책과 전자신문의 공격을 받고 있는 사례를 들었다. MIT 미디어랩을 창설하며 ‘디지털 전도사’라는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스캐닝을 해 온 사진자료를 합쳐 현판 글씨를 복원해 냈다”고 설명했다.공사 대부분이
끝
났지만 아직 숙제는 남아 있다. 경복궁과 연결되는 망루인 동십자각 주변의 궁장(성벽 등)을 설치하고 복원된 경복궁 지역의 하수도 시설을 정비하는 공사는 연말까지 계속 진행할 예정이다.복원된 광화문이 ... ...
아라온호, 첫 북극 탐험서 미세조류 관찰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최대 4m 깊이의 얼음을 긴 원통 모양으로 채취했다.연구팀은 바다와 맞닿은 얼음
끝
에 잔뜩 붙어 있는 녹색 미세조류를 기대했지만 예상보다 깨끗했다. 김 연구원은 “얼음과 맞닿아 있어도 환경에 따라 미세조류의 양과 종류에 큰 차이가 있는 것 같다”며 “처음으로 북극해의 해빙 위에 직접 ... ...
“내 손으로 풍력발전기 만들었어요”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햄스터 로봇’을 움직여본다. 처음엔 앞뒤로 움직이는 것조차 어려워했던 학생들은
끝
날 때쯤에는 종이 위에 그린 커다란 직사각형을 따라 로봇이 계속 돌게 하는데 성공했다. 이호준(대전 들꽃중 2) 군은 “로봇을 움직여본 것은 처음”이라고 웃었다. 살아있는 매미를 해부해본 조소영(경기 ... ...
빛이 갇힌 세계에서 만든 나노광학현미경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사라졌다. 분해능도 정 연구원의 표현처럼 ‘주먹으로 물건을 만지던 수준에서 손가락
끝
으로 만지는 수준’으로 높아졌다.나노광학연구실은 나노광학현미경 외에도 공초점 현미경이나, 전계발광 현미경 같이 좀 더 알려진 현미경도 제작하고 있다. 이렇게 만든 현미경은 나노구조의 특성을 ... ...
극한이의 위기탈출 넘버3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위에는 숫자와 기호가 써 있는 여러 개의 밸브가 달린 수도관이 복잡하게 얽혀 있고, 그
끝
에 수도꼭지가있었어. 그런데 수도꼭지에는 이런 경고문이 적혀있었지.‘이 물은 식스로만 마실 수 있습니다.’ 식수라는 글자를 잘못 쓴 걸까? 아니면 어떤 비밀이 있는 걸까? 앗! 혹시 수도관을 따라 써있는 ... ...
세상에서 가장 성스러운 강 2510km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이는 화장되지 못한다. 그러니 나는 강물 위에서 수많은 죽은 이들과 만나야만 했다. 코
끝
을 찌르는 썩는 냄새에 고개를 돌리면 어김없이 망자의 초점 잃은 시선이 내 어깨를 스쳐간다. 배고픈 개들은 죽은 노인의 몸에 달라붙어 살점을 뜯느라 정신이 없다. 옆에선 죽음이 무엇인지 아직은 모를 어린 ... ...
호주 밤하늘엔 숨어 있던 은하수가 뜬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어울려 아른거렸다. 구름과의 한판 승부는 200km를 달린 지점에서 원정대의 승리로
끝
났다. 하늘은 하얀 솜이불을 걷어내고 온통 파란색으로 물들었다. 어제와 비슷한 노상 관측지를 물색했지만 마땅한 곳이 보이지 않는다. 마일스(Miles) 마을로 들어가 식료품점 앞에 차를 세웠다. 원정대장이 ... ...
달리기 시합의 우승자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발자국에 발톱자국이 남기도 하죠. 조각류는 두 발 또는 네 발로 걸으면서 발가락
끝
이 뭉뚝한 것이 특징! 두 육식공룡의 발자국에는 공통점이 있어요. 바로 가장 바깥쪽 발가락부터 발꿈치까지 이어져 찍힌다는 것이지요.한편, 네 발로 걷는 용각류는 초승달 모양의 앞발자국과 둥그런 뒷발자국만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