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개화유전자 FT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1930년대 러시아의 식물학자 미하일 샤일라얀은 희한한 실험을 했다. 꽃이 핀 식물의 잎을 잘라 아직 꽃피지 않은 식물에 접목하자 이 식물도 꽃이 피었던 것. 이런 현 ... 많다. 야심 찬 후속세대의 과학에 대한 열정만이 이 의문을 풀 것이다. 글 안지훈 고려대
생명
과학부 교수 jahn@korea.ac ... ...
감각이 일어나는 경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반사행동이 일어난 것을 자신도 모를 수 있다. 연수반사의 종류는 특히 체내 항상성과
생명
유지에 관계된 것이 많다. 척수반사와 연수반사는 모두 무조건반사에 해당하며 경험과 관계없이 선천적으로 태어나면서부터 갖고 있는 반사행동이다.3. 인간의 반사행동 중에는 맛있게 먹었던 음식을 보면 ... ...
줄기세포 원정치료 논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수 있다.스웨덴 룬트줄기세포센터 올레 린드발 박사와 미국 케이스웨스턴리저브대
생명
윤리과 현인수 교수 는 지난해 ‘사이언스’ 6월 26일자에 발표한 논문에서 혁신적인 치료를 받기 위해 외국을 나가는 경우와 문제가 많은 ‘줄기세포 투어(stem cell tourism)’를 구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서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지하수층으로 물을 보내면서 오염 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이렇듯 습지는 다양한
생명
체를 키우는 하나의 생태계로 생물의 종 다양성을 보존하는 데 무척 중요하다. 국제적으로도 람사르 협약을 통해 133개국이 1308개의 습지를 지정하여 보존하고 있다. ▲ 유네스코의 MAB(인간과 생물권 계획 ... ...
밸런타인데이 초콜릿 파동 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그해 카카오 빈의 거래 가격은 전년도보다 무려 70%나 올랐다.심지어는 카카오 나무의
생명
을 위협하는 새로운 생물도 발견됐다. ‘CSSV(Cacao Swollen- Shoot Virus)’라는 바이러스는 최근 아프리카의 카카오 나무를 호시탐탐 노리는 악명 높은 천적으로 떠올랐다. 전문가들은 이 바이러스로 인해 ... ...
유해균까지 감싸 안는 장의 고차원 전략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발생한다고 생각했습니다.”생체공생시스템 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이화여대 분자
생명
과학부 이원재 교수의 설명이다. 그는 “연구단이 하고 있는 일을 ‘쉽고 재밌게’ 얘기해 달라”는 기자의 부탁에 인간이 균을 발견했던 역사부터 차근차근 얘기를 풀어가기 시작했다. 자연발생설에서는 고기가 ... ...
IT, BT, NT 넘나드는 세계적인 연구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암과 같은 난치성 질환을 치료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즉 정보통신(IT) 소재에서
생명
공학(BT) 소재로 전환했다. 그것이 가능한 이유는 석박사 과정에서 소재산업에 대해 폭넓은 경험을 하고, 지식과 안목을 쌓아온 토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필자뿐 아니라 우리 연구실을 거쳐 간 수많은 ... ...
심장박동 패턴 해석하려면 IT도 알아야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교수, 포스텍
생명
과학과 서판길 교수, 그린코리아21포럼 김명자 이사장, 이화여대
생명
과학과 최재천 교수, (주)엔씨소프트 윤송이 부사장은 대부분 각자 주어진 20분을 넘겨가며 융합과학을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전개해 나갔다.“지금도 여전히 고등학교에 문과·이과 구분이 있다니 이해할 수 ... ...
줄기세포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뛰어난 성분을 분석한 뒤 이를 유전공학 기술로 재조합해 다시 만든 것이다.지난해 국내
생명
공학 벤처기업 B사가 출시한 제품은 이와는 또 다르다. 지방에서 얻은 줄기세포에서 피부 재생 기능이 있는 성분을 추출해 만들었다. 줄기세포 배양액에서 얻은 성분을 그대로 화장품 원료로 사용했다는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약하다. 크레인 교수의 주장이 얼마나 타당한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외계의 고등
생명
체가 정말로 이 별, 저 별을 돌아다닐 정도의 우주선을 개발했을지도 모른다. 물론 그것은 블랙홀에 의해서 작동되는 게 아닐 수도 있다. 우리에게 장거리 우주여행이 머나먼 미래의 일이 아니라 가까운 ... ...
이전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2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