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명! 우리나라 인어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싶어요~! 흑흑. 안 된다고요? 그럼 부산아쿠아리움으로 가 보세요. 4만 마리나 되는 바다 생물들이 살고 있거든요.발견! 한국 인어 상괭이고래가 알려 준대로 우리는 재빨리 부산아쿠아리움으로 향했어. 혹시 수족관에서 물고기들을 돌보는 ‘아쿠아리스트’ 형, 누나들을 인어라고 하는 걸까? 앗! ... ...
- 성적도 오르는 즐거운 동아리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박주희 선생님이 있었음은 물론이다. Y-cuss 활동을 시작으로 용인고에는 YPF(물리), Y-Bio(생물), Y-Zodiac(천체관측), YSN(과학신문) 등 과학 학습 동아리가 만들어져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다른 이를 돕는 간호학을 공부하고 싶은 김무열 학생은 바로 YPF 소속이다). “공부를 시험 기간에만 하나요?” ... ...
- [시사] 수학으로 배우는 서커스 마다가스카 3수학동아 l2012년 07호
- 인기 많은 사자 알렉스, 수다쟁이 얼룩말 마티, 듬직한 하마 글로리아, 조심스러운 기린 멜만 등 미국 뉴욕의 동물원을 떠나 마다가스카 섬과 ... 잡아먹기 위해 고양이과 동물의 생김새를 갖추게 된 것이다. 이렇듯 마다가스카의 생물은 오랜 기간 다른 대륙과 떨어져 독특하게 진화했다 ...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식물의 색 자체가 달라져 있다. 낸시 키앵 NASA 고다드우주연구소 연구원이 2007년 ‘우주생물학’지에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지구에 도달할 때 태양빛에는 파장이 560~590nm인 노란 광자가 가장 많다. 하지만 오존과 수증기 등이 일부 파장을 흡수해 실제로 지상에서는 빨간색인 685nm 파장이 가장 많이 ... ...
- Intro. 베껴야 사는 과학! 생체모방의 세계과학동아 l2012년 07호
- 새 날개 모양과 닮은 날개가 달린 비행체를 만들었다.인간이 할 수 없는 일을 해내는 생물을 따라하면 똑같이 할 수 있으리란 생각은 어찌 보면 무모해 보인다. 그러나 이들의 실험정신은 이제 생체모방공학으로 꽃피고 있다. 시간이 지날수록 업그레이드되고 있는 생체모방공학의 명품들을 만나 ...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비행 메커니즘은 지난 2010년 밝혀졌다. 최해천 서울대 교수팀이 영국 과학학술지 ‘실험생물학저널’에 날치의 비밀을 밝힌 것. 날치는 폭이 15cm인 양 지느러미(가슴지느러미과 배지느러미)를 활짝 편 뒤 수면에서 수 cm 떠 행글라이더처럼 미끄러지듯 난다. 비밀은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의 ... ...
- 오징어는 하늘을 나는 게 더 쉽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물이 아닌 공기 중에서 날기도 한다는 사실이 확인됐어요.캐나다 달후시대학교 해양생물학자인 로날드 오도르 박사는 미국 지구물리협회의에서 오징어가 물 밖에서도 이동할 수 있으며 오히려 헤엄치는 것보다 빠르다고 발표했어요. 그는 키우던 오징어가 아침마다 2~3마리씩 수조 바깥에 죽어 있는 ... ...
- 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포식자 내부에서 새로운 역할을 맡으며 공생하는 과정에서 새로운 유전정보를 갖게 되는 생물체로 진화했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와편모류는 실제로 사용하는 유전정보가 0.01%밖에 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엄청난 유전적 기능을 언제, 어떤 형태로 발현시키는지는 여전히 수수께끼"라고 ... ...
- 6000만 년 전 악어 잡아먹는 거대 거북과학동아 l2012년 06호
- Carbonemys cofrinii)’의 뼈 화석을 복원하고, 생활사를 연구해 그 결과를 ‘시스템고생물학저널’에 발표했다. 카보네미스는 ‘석탄 거북’이라는 뜻으로, 발견 당시 석탄층에서 나왔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이 종은 두개골의 크기가 24cm로 축구공만했고, 몸통을 덮은 껍질은 어른 키와 비슷한 17 ... ...
- 생물다양성 줄어들면 언어도 없어져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언어학자들은 금세기 말이 되면 세계 언어의 50~90%가 사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생물학자들과 생태학자들이 최근 사람을 생태계의 일부로 보고 접근하는 연구가 언어와 문화를 보전할 단서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
이전2742752762772782792802812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