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부인"(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어떻게 내가 너의 우산이 돼줄까”과학동아 l201607
- 지난 화에서 우리는, 자연 선택이 각 개체의 포괄 적합도를 최대화한다는 사실을 알았다. 즉, 사회적 행동을 하는 개체는 자신의 자식 수(직접 적합도)뿐만 아니라, ‘그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를 공유할 확률이 있는 수용자의 자식 수에 끼친 영향의 일부분(간접 적합도)’도 신경을 쓰게끔 행동한다 ... ...
- [Tech & Fun] 익스팬스, 깨어난 괴물의 습격과학동아 l201607
- 이번 화는 SF 추리 소설을 소개해볼까 합니다. 7월에 출간될 ‘깨어난 괴물(익스팬스시리즈1)’은 이미 미국 Syfy 채널에서 드라마로 제작돼 큰 인기를 얻은 소설입니다. 지구와 화성, 벨터의 갈등으로 괴생명체, ‘포에베 버그’가 태어나게 되고, 줄리는 여기에 감염되고 말죠. 그런데 말입니다. 화 ... ...
- [Career] ‘빅데이터 재료’ 다듬어 일류 연구 이끈다과학동아 l201607
- 과학자들의 연구를 ‘요리’에 비유한다면, 과학기술 빅데이터는 ‘재료’라고 할 수 있다. 일부 과학 분야는 엄청난 양의 재료를 손질해야 한다. 재료를 씻고 다듬고 정리하는 데 시간이 워낙 많이 걸려 정작 요리를 할 시간이 부족할 정도다. 나중에 요리를 할 때 필요한 재료를 골라서 빨리 가져 ... ...
- [Interview] “우주엔 다섯 번째 힘이 존재할지도 모르죠”과학동아 l201607
- 암흑물질과 공룡 멸종. 전혀 관련이 없어 보이는 두 소재를 연결시킨 그의 신간은 SF 소설을 연상시킨다. 앞서 열린 대중강연에서도 일부 기자와 청중들은 오해 섞인 질문을 했다. ‘과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리사 랜들 미국 하버드대 교수는 “단순히 공룡과 암흑물질을 연결하려 했던 것이 아니 ... ...
- [게임카페] 리듬 맞춰 폴짝폴짝 달려라, 웃기는 박스!수학동아 l201607
- 수 있답니다.‘앵그리버드 스페이스’처럼 땅이 울퉁불퉁한, 그러니까 장애물이 땅의 일부인 게임에서는 장애물에서도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해요. 게임을 만들 때 중력을 고려하도록 설정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새가 새총에서 튕겨져 날아갈 때 주변에 있는 행성이 공처럼 둥글지 않다면 그 ... ...
-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07
- 1908년 최초로 방출선이 관측된 활동성 나선은하 NGC 1068.작은 원 안의 그림은 밝게 빛나는 은하핵을 상상해서 그린 그림이다.1908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워드 패드와 베스토 슬라이퍼는 특이한 나선은하를 발견했다. 지구에서 약 4700만 광년 떨어진 고래자리 A 은하(NGC 1068)였는데, 다른 은하에서는 ... ...
- Part 3 스마트폰 해킹, 막아낼 방패는 있을까과학동아 l201606
- GIB지난해 국정원의 원격조정시스템(RCS) 구입으로 대한민국이 시끌시끌했다(1파트 참조). RCS를 판매한 해킹팀의 고객은 37개 국가, 67개 기관이며 가장 활발히 거래한 국가는 멕시코(11개 기관)로, 해킹팀에 지불한 금액이 무려 580만8875유로(약 72억8200만 원)다. 이렇게 엄청난 돈이 오고 가는 해커들의 ... ...
- Intro. 인체 플랫폼과학동아 l201606
- 로봇을 만들기 훨씬 더 전에 사람들에겐 다른 꿈이 있었다. 인간 신체의 일부를 그러모아 새로운 인간을 만들고자 하는 욕망. 소설 ‘프랑켄슈타인’으로 대표되는 이 같은 희망은, 20세기 초 빠르게 발달하기 시작한 기계·전자 기술에 힘입어 인간과 닮은 기계를 개발하는 땔감이 됐다. 하지만 여 ... ...
- Part 2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넘어야 할 장벽 5과학동아 l201606
- 로봇공학과 IT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인체 플랫폼화 기술이 구체화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 넘어야 할 장벽이 높다. 과연 무엇이 문제일까.흔히 사이보그라고 부르는 인체 플랫폼화 기술은 로봇과 근본적으로 다른 점이 많다. 인체와의 결합, 생체신호 인지, 인체 친화적인 재료 등 로봇을 만들 때와는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06
- 언어를 번역할 때 한 단어를 다른 언어의 단어로 직역할 수 있는 경우는 굉장히 드물다. 단어가 표현하는 의미는 여럿이고 언어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언어를 통해 그 사람들의 ‘세상을 보는 눈’을 알 수 있다고 하는 이유다. 그렇다면 각 나라의 언어는 어떻게, 얼마나 다를까. 이런 차이는 어떻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