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래
앞날
내세
차후
뒷날
내일
싹수
d라이브러리
"
미래
"(으)로 총 4,792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디터노트] 서른 여덟 즈음에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제 이야기입니다. 여전히 많은 분들에게 사랑 받고 있지만, 확실히 예전만 못합니다.
미래
는 더 어둡고요. 앱과 영상의 시대에 월간 잡지라니. 이건 과학동아 이야기입니다. 함께 나이 들어가는 처지에 때론 안쓰러운 생각이 듭니다. 새로운 변화는 쉬운 길부터 차근차근 천천히, 그렇지만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기사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를 준비했다. 순간이동을 현실에 구현할
미래
는 아직 먼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상상에는 제약이 없다. 이번 특집 기사를 읽으며 순간이동이 가능해진 세상을 머릿속에 그려보게 된 독자라면 43p에 소개된 ‘당신의 순간이동을 SF에 담아주세요’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광음향 촬영을 함께 진행한다면 민감도와 특이도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고,
미래
에 의료비용을 절감하는 데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겁니다.광음향 영상기술은 생체조직이 만들어낸 소리를 직접 듣기 때문에 원칙적으론 조영제 같은 약물을 투여하지 않고도 생체조직을 명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 ...
[특집] 네옴시티가 그리는
미래
도시의 모습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네옴은 정말 가능할까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네옴시티가 그리는
미래
도시의 모습은?Part1. [특집] 500m 초고층빌딩 170km 이어서 지을 수 있을까?Part2. [특집] 900만명 먹을거리 어떻게 해결할까?Part3. [특집] 도시를 움직일 전기 어떻게 생산할까?Part4. [특집] 초거대 도시 어떻게 ... ...
[특집]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아직 더 알아낼 것들이 너무나 많다”고 했다. 하인리히 연구단장은 연구단의
미래
에 대한 포부를 밝히며 인터뷰를 마무리했다.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의 연구로 한국은 현재 표면에서의 양자나노과학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우리의 획기적인 연구들을 앞으로도 계속해 나가려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그려지기 쉽지요. 하지만 인구학자가 그리는 정해진
미래
는 항상 틀려왔습니다. 우리도
미래
가 바뀔 수 있도록 변화할 사회의 모습을 고민해야 합니다. 저는 늦지 않았다고 봅니다 ... ...
[특집] 초거대 도시 어떻게 이동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실현이 기술적으로 큰 어려움이 있을 것 같지 않다”라며, “네옴시티의 성공 여부보다
미래
스마트 시티의 청사진을 보여준 것”에 더 큰 의미를 부여했습니다 ... ...
[가상 인터뷰] 우주에서 태양광 발전을! 솔라리스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기술이 갖춰졌나요?지금 당장 솔라리스 프로젝트를 실현하기는 힘들겠지만, 가까운
미래
에는 가능할 거예요. 솔리라스 연구원들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해 전기를 전송하는 기술을 검증하기 위해 2022년 9월 독일에서 2kW(킬로와트)의 전기를 무선으로 30m 거리만큼 전송하는 데 성공했어요. 솔라리스의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분자요리를 연구하는 서정원 셰프의 이야기를 … (하략) 그린수소 Green Hydrogen 수소는
미래
친환경 에너지로 주목받고 있어요. 공기의 주성분 중 하나인 산소와 화학반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고 순수한 물을 남기거든요. 하지만 모든 수소가 친환경적이지는 않아요. 수소는 생산방식과 친환경 ... ...
[전지적 독자 시점] 독자가 만든 NEW 과학동아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 가 개봉해 시기도 딱 맞았네요. 이진영 위원이 보고 싶다고 한 ‘과거·현재·
미래
의 신소재’ 주제는 ‘초(超)재료’라는 기사로 만들어졌습니다. 백시우 위원의 ‘우리나라의 고대 또는 역사시대의 과학기술’ 주제는 ‘과학사 극장’ 으로 다듬어졌죠. 최연우 위원이 꼭 보고 싶다고 한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