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법"(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어디에나 붙는 게코파워!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제시합니다. 스카이훅은 수천km 길이의 케이블에 로켓을 매달아 쏘아 올리는 방법이에요. 로켓이 케이블의 길이만큼 케이블을 타고 올라가기 때문에 그만큼 연료를 아낄 수 있어요. 스카이훅의 원리를 영상에서 확인해 보세요 ... ...
- [통합과학 교과서 ] 구해줘! 잭의 콩나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해요. 균사가 식물 뿌리의 세포벽을 뚫고 들어간 내생균근도 있지요. 다양한 방법으로 뿌리에 침입한 곰팡이는 사방으로 균사를 뻗어냅니다. 균사는 땅속 멀리까지 아주 길게 자랄 수 있어 다른 식물의 뿌리에서 나온 균사와도 엉키게 돼요. 그렇게 식물들은 곰팡이를 통해 서로 연결됩니다. 균사로 ... ...
- [출동! 슈퍼M] 시력 1.0 이 이라는건 무슨 뜻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0.5와 같아요. 즉, 2.5m 거리에서 1.5mm 간격을 구분할 수 있는 시력이 0.5인 것이지요. 같은 방법으로, 5m 거리의 2배인 10m 거리에서도 1.5mm 간격을 구분할 수 있다면 그때의 시력은 2.0이에요. 거리를 다르게 하지 않고, 란돌트 고리의 크기를 다르게 하면서 시력을 확인할 수도 있어요. 5m 거리에서 1.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미디어 속에서 소확행하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행복은 개인마다 달라요. 누구도 나의 행복을 정해줄 수 없어요. 오늘 추천한 세 가지 방법도 모두에게 행복한 일이 될 수는 없을 거예요. 그래서 나의 행복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 필요하답니다. 문득 떠오르지 않다면 지금부터 나의 행복을 찾아보세요 ... ...
- 곱셈의 또다른 방법, 가로셈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계라니가 말했어요.“그런데 세로로 곱하는 셈 말고 더 재미있는 방법도 있어요. 이 방법은 앞으로 라면을 끓일 때 아주 유용할 걸요?”보구리가 아주 솔깃한 표정으로 물었 ... 많은 면발을 보자니, 계라니는 갑자기 궁금해졌어요. ‘997이나 999처럼 큰 수를 더 쉽게 곱할 방법은 없을까 ... ...
-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새로운 학문 분야를 연 사람이기도 하지요. 수리물리학이 물리학에 필요한 수학적 방법론에 초점을 둔다면, 물리수학은 이에 대조되는 개념으로 물리 이론으로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이에요. 위튼 교수의 제자이자 세계적인 물리학자인 캄란 바파 미국 하버드대학교 교수는 “위튼 교수는 ... ...
- [매스미디어] 수학 국가대표, KAIST 퍼즐 동아리가 말하는 필승 전략! 데블스 플랜 게임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안 해본 시도나 조합을 과감하게 해보는 것이 중요해요. IMO 기하 문제를 풀 때도 기존 방법과 전혀 다른 시각에서 시도해보는 것이 도움될 때가 있거든요. 7라운드를 보면 출연자들이 ‘서로 닮음인 삼각형 2개’를 가지고 자꾸 익숙한 모양을 떠올리며 대칭으로 만들려고 해서 퍼즐이 풀리지 않아요 ... ...
- [수학 상위 1% 비밀무기] 준비기간 단 1달, 과학고 합격 비결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다양한 방정식의 해를 구하는 방법에 관한 질문을 받았어요. 그중 ax = b의 해를 구하는 방법을 설명해보라는 질문이 기억에 남아요. 단순히 보면 x는 a 분의 b라고 답할 수 있지만, 함정이 숨어있어요. a가 0인지 아닌지에 따라 다르게 풀어야 하지요. 2단계. 중학교 1, 2학년 내용도 다시 보자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중력과 나침반을 활용해 자세를 파악하지만, 우주선이나 위성은 그렇게 할 수 없어 다른 방법을 쓴다. 바로 ‘별 추적기(star tracker)’다. 별의 위치를 감지하는 카메라와 같은 장치인데, 알려진 별들의 위치를 통해 우주선의 자세를 알 수 있다. 기기가 더 정밀해지고 소형화되다 보면 때때로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빛을 검사하거나 염기가 화학 반응을 일으킬 때 나오는 미세한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 등이 있다. 네 번째, 이렇게 밝혀낸 DNA 조각의 염기서열을 모아 서로 겹치는 부분을 이어 조합한다. 이런 ‘유전체 조립’ 과정을 거치면 전체 DNA 서열을 알아낼 수 있다. 간단하게 들리지만, HGP 시절에는 각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