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물학
생명
d라이브러리
"
생명체
"(으)로 총 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상인터뷰] 화성 ‘두더지’, 땅속으로 들어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따서 마스 인사이트(InSight)라 지어졌어. 이전에 화성에 온 선배 탐사선들은 주로 화성에
생명체
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목적이었어. 하지만 난 화성의 땅속을 탐험하고자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보낸 최초의 탐사선이지. 지금은 화성의 적도 부근에 있는 엘리시움 평원에 도착해 지질을 분석하고 ... ...
[기획] 과학자들, 자연의 소리를 엿듣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3호
사냥을 금지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낼 수 있답니다. Q 어린이들에게 한 말씀 부탁드려요.
생명체
가 내는 소리에는 중요한 메시지가 가득해요. 하지만 인간들은 자신들의 소음으로 지구를 덮어 자연의 소리를 지워버리고 있지요. 자연은 지금도 소리를 통해 우리에게 환경 파괴의 심각성을 끊임없이 ... ...
‘생체 시계’ 텔로미어 자라게 하는 비밀?알트(ALT)에 주목하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텔로미어가 가진 새로운 길이 연장 기전인 알트는 암세포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의
생명체
에서도 발견되고 있다. 효모는 단순 반복 서열에 기반한 알트를 가지기도 하고, 텔로미어 반복서열 안쪽에 존재하는 서브-텔로미어라는 곳의 서열을 이용해 텔로미어의 길이를 유지하기도 한다. 초파리는 ... ...
[한페이지 뉴스]
생명체
존재 가능성? 외계행성 대기도 고려해야
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중심별이 극자외선을 많이 방출하는 경우 원시 대기의 대부분을 상실했다.
생명체
의 존재 가능성을 판단할 때 중심별에 의한 대기 손실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뜻이다. 아트리 연구원은 “외계행성이 중심별의 활동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 중심별의 ... ...
코로나19로 예상치 못한 좌충우돌 남극 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아라온호가 있어 감사했습니다. 남극의 연구 활동 목적이 우리가 사는 지구의 환경과
생명체
를 보호하기 위한 활동이기에 구조는 당연하게 여겨졌고, 자랑스러웠습니다 ... ...
[과학뉴스] 백악기 대멸종의 원인은 소행성 충돌 ‘각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2호
멕시코 유카탄반도 인근 칙술루브에 떨어졌어요. 이 충격으로 공룡을 비롯한 지구의
생명체
75%가 멸종됐지요. 과학자들은 이 소행성이 대멸종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연구해왔어요. 5월 28일,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 지구과학공학과 캐러스 콜린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소행성이 45~60°로 ... ...
[통합과학 교과서] 장미가 잘 자라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11호
열매를 맺는 거예요. 한편, 광합성으로 만들어진 산소는 잎의 기공으로 빠져나가 다른
생명체
들이 호흡하는 데 쓰인답니다.그렇다면 빛이 강하고, 이산화탄소가 많을수록 광합성이 활발히 일어날까요?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강한 빛을 받을수록 광합성량이 증가하지만, 일정 지점에 도달하면 더는 ... ...
[화보] 유기젤 레시피...무생물에 숨을 불어넣다
과학동아
l
2020년 11호
넘치는
생명체
로 되살아난다. 오랫동안 과학계에 몸담아 온 작가는 유기 젤(organic gel)로
생명체
의 모습을 구현했다. 작품 내부에서 발산되는 신비로운 빛을 포착하기 위해 각도에 따라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편광필터로 사진을 촬영했다. 그렇게 세상 어디에도 없는 작품이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않으면 공격하지 않을 만큼 온순하다. 그냥 두면 자기들끼리 알아서 잘 살 궁리를 하는
생명체
인 셈이다. 가을이 되면 꿀벌은 벌집 가득 꿀을 저장하며 바쁘게 월동준비를 시작한다. 벌집은 꿀을 가장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3차원 구조다. 최근 벌집 구조에 대한 비밀이 한 꺼풀 더 벗겨졌다 ... ...
세계 최강 울트라블랙
생명체
는?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나노튜브로 반타블랙을 구현하기가 어려운 이유를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
생명체
가 가진 특징을 모방하면 더 안정적인 소재를 찾을 수 있다”며 “최근 심해어에서 확인한 멜라노솜의 특성을 응용해 새로운 울트라블랙 소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