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각
아이디어
의견
이념
착상
구상
d라이브러리
"
착안
"(으)로 총 512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여부를 알아내는 방식이다. 거짓말이나 범행이 뇌의 활동이 가져온 결과라는데서
착안
된 기계다. 폴리그래프가 정서 반응에 초점을 맞췄다면 뇌지문 검사는 인지 반응에 주목한다. 이번에 검찰이 도입한 장비도 익숙한 자극에 반응하는 p300파를 측정한다.p300은 자신에게 친숙한 자극에 대응하는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혈관성장인자가 많을수록 암조직이 더 잘 자라는 것도 관찰했다.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착안
한 페라라 박사는 혈관성장인자가 작용하지 못하도록 막는 항체를 만들면 암을 치료할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했다. 혈관을 만들지 못하게 한다면 암조직이 더이상 자라지 못할 거란 얘기다. 실제로 그가 ... ...
물위를 걷는 로봇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밀어내면 물이 다시 밀어내는 원리로 물위를 걷는다. 세티 박사 연구팀도 이에
착안
했다. 로봇의 구조와 원리는 간단하다. 가벼운 탄소섬유와 플라스틱으로 몸체를 만들고 전기가 통하면 모양이 변하는 ‘압전장치’ 로 다리근육을 대신했다. 로봇을 움직이기 위한 회로나 센서, 배터리는 없다. ... ...
6. 재미가 두뇌를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참가해 하나의 사회를 이루는 머드게임이나 롤플레잉 게임은 바로 그런 인간 심리에서
착안
했다.게이머 각자의 개인 취향도 재미를 유발하는 한 요소다. 대개 게임에 참가한 모든 사람들은 각자 취향에 따라 가상공간에서 새로운 관계를 맺는다. 게임이 소설이나 TV, 영화에서처럼 고정된 줄거리가 ... ...
물에어컨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일어나 온도도 빨리 낮아진다.물 증발하면서 열 뺏는 원리 이용 이와 같은 현상에
착안
한 연구팀은 지름 약 8cm인 유리병 바닥에 물을 약간 채우고 병 안을 진공으로 만들었다. 병 입구를 습기제거제가 든 용기로 막고 온도 변화를 측정했다. 그랬더니 처음에는 22℃였던 유리병 안의 온도가 놀랍게도 ... ...
차세대 방송의 꽃, 입체TV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수 있다. 그 이유는 한쪽 눈만으로는 연필까지의 거리감이 느껴지지 않기 때문이다.이에
착안
해 눈에 보이는 실제 영상과 동일한 영상을 두 눈에 입력할 수만 있다면 입체감은 쉽게 표현된다. 이를 위해 특성이 동일한 2대의 카메라를 양안 간격만큼 벌려 놓고 촬영한 후 왼쪽 카메라로 찍은 영상은 ... ...
고려청자 비취색의 비밀은 철 이온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많이 진행됐지만 광학적, 전기적 특성에 대한 물리적 연구는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에
착안
했다.김 교수는 도예가와 공동연구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고려청자 색의 비밀을 풀기 위해서는 과학적 지식과 경험에서 우러난 기술 모두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과학자와 도예가가 서로 우열을 ... ...
땅위를 달리는 우주선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그에 맞는 최적의 조건인 셈이다.프랑스 모험가 티에르 사빈(1986년 코스 답사 중 사망)이
착안
한 파리-다카르 랠리는 올해로 26회째를 맞았다. 한낮에 40℃를 훌쩍 넘어서는 불모의 땅 사막을, 그것도 무려 1만여km나 가로지르는 이 랠리는 그야말로 ‘최악의 경주’ 로 통한다. 평균 완주율 30-40%에 매년 ... ...
효소가 좌우하는 노년의 운명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시도했다. 대부분의 단백질 분해효소가 세포 안쪽의 세포질에 둥둥 떠다닌다는 점에
착안
해 과학자들은 세포질에 있는 단백질을 샅샅이 뒤졌다. 그러나 이상하게도 번번이 베타시크리타제를 찾는데 실패했다.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여긴 몇몇 과학자들은 세포질에 떠있지 않고 세포막을 ... ...
보물단지로 떠오른 민간요법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때문이다.또 쑥은 위장 계통에도 좋아 식욕부진이나 소화불량 때도 달여 먹었다. 이에
착안
한 서울대 천연물과학연구소 이윤방 교수는 쑥에서 위염에 효과가 우수한 성분인 유파틸린을 발견했다. 실제 쑥 추출물이 위염 동물 모델에서 좋은 효과를 나타냈고 최근 국내 제약회사에서 위염 치료제로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