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1
d라이브러리
"
한사람
"(으)로 총 36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하로프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선출되었는데 그는 이 아카데미 창립이래 정회원으로 선출된 가장 젊은 과학자의
한사람
이 되었다. 그에게는 스탈린상, 사회주의 노동영웅, 그리고 레닌상 등 소련에서 누릴 수 있는 최고의 영예들이 줄이어 안겨졌다.그러나 그는 계속되는 핵무기실험에서 나오는 방사성 낙진문제에 대해 심각한 ... ...
환경파괴, 전지구적 규모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상당한 확신이 생겨도 '그러나' '만약'등의 제한적 용어를 자주 쓰게 된다. 한편 과학자도
한사람
의 인간으로 세상이 보다 좋아지기를 바라며 잠재적이고 의심쩍어 보이는 위험에 대해 경고하고 싶어지는 것이다. 그런 과정에서 충분한 근거없이 단정하거나 사실을 단순화시키는 잘못을 범한다. 다시 ... ...
40여마리밖에 없는 토종개 삽사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투지가 강하다. 특히 쉽게 새로운 주인에게 적응하는 타견종들과는 달리 어릴 때 정을 준
한사람
의 주인을 오래 기억한다. 뿐만 아니라 참으로 충직한 성품을 지닌 것으로 알려져오고 있다. "한번 정을 준 옛 주인을 못잊어 해질녁이면 둥구밖까지 나가서 주인을 기다리는 삽사리"에 대한 구전은 ... ...
PARTⅡ 센서 SENSOR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있는 분석기기를 개발하여 보급하면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의사
한사람
혹은 몇사람이 일정지역 주민을 담당하는 가정의 제도도 정착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필요한 임상분석을 자체적으로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당뇨 증세를 진단하기 위해 대개는 혈당을 ... ...
남북과학교류 추진하는 원병오교수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3권.6. 25가 나자 고령이었던 그는 북한에 남고 아들만 남쪽으로 내려왔다. 그중
한사람
이 원병오박사(경희대 생물학과 교수·63). 아버지의 영향으로 자연스레 새와 친해졌던 그는 어려서부터 일생을 새와 더불어 살기로 결샘했다. 그래서 원산농업대학에 진학하였고, 월남 후에도 계속해서 새연구에 ... ...
문제 투성이의 학습자료와 학습방법 흥미있는 지구과학이 지루한 과목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말로든 문서로든 다시는 결코 주장하지 않으며, 만약 이단자 또는 이단의 혐의를 받는
한사람
이라도 알게 되면 그사람을 이 종교재판소 또는 내가 사는 곳의 종교재판관이나 사교에게 알릴 것을 서약합니다. 더욱 나는 이 종교재판소에서 내게 과하거나 앞으로 과할 모든 회개를 실행하고 완전히 ... ...
공간을 넘어 우주로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시간이 재어질 때 움직이는 물체는 시간이 느려진다고 한다. 예로써 이 이론은, 쌍동이중
한사람
이 빛에 가까운 속도로 멀리 떨어진 별까지 갔다가 되돌아오면 그는 돌아와서 그의 시계가 천천히 갔던 것을 알게 되고 또 집에 있던 그의 형제가 훨씬 나이를 더 먹은 것을 보게 될거라고 예언하고 ... ...
한방약의 고향 중국의 안국시 약재시장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한(漢)나라 때부터 발달해 온 중국 의약의 본고장이 지금 개방정책에 힘입어 보다 번창하고 있다. 한약의 본고장 안국(安國)은 북경에서 남 ... 그 데이터를 음양 허실 한열 표리의 팔강(八綱)에 맞춰 분석한다.그렇게하여 환자
한사람
한사람
에게 맞는 약을 처방하는 것이 중국전통 의학이다 ... ...
아메리카 들소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옳다. 따라서 정확히 말하자면 ‘바이슨 빌’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버팔로 빌은 어떤
한사람
을 지칭하는 말이 아니다. 그 당시엔 수많은 유명무명의 총잡이들이 저마다 버팔로 빌이라고 뽐내고 다녔는데 그들은 모두가 명사수들이었다. 그들은 들소들이 총소리에 놀라 도망가지 않고 또 사수인 ... ...
소행성의 근접신호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큰 웅덩이가 있는데 이것은 이런 충돌로 아마 5만여년전에 생긴 것 같다.이때의 충돌은
한사람
도 죽이지 않았을 것인데 그 이유는 당시에는 아직 미대륙에 사람들이 살지 않았기 때문이다. 1908년에는 중앙 시베리아에서 훨씬 작은 충돌이 있었는데 이 충돌로 근처 20마일 지점까지의 모든 나무들이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