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확인"(으)로 총 8,4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계라니가 알려주는 쉬운 나눗셈 방법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곱셈과 나눗셈이 유용하다는 걸 알게 됐어. 게다가 손님들이 라면을 맛있게 먹는 것도 확인했지. 이만하면 자신있게 라면 가게를 열어도 되겠어. 내 특제 라면의 이름은 ‘곱하고 나누면’이라고 지어야지 ... ...
- [출동, 슈퍼M] 바코드는 정말 중요해!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나타내는 바코드 숫자의 비밀을 알게 되었나요? 주변에 있는 물건의 바코드를 직접 확인해 보세요! 탐구1. 체크 숫자를 맞혀 봐~! 어떤 물건의 바코드 맨 마지막 숫자가 지워져 있어요. 체크 숫자 계산 방법을 이용해 맨 마지막 (노란 네모)에 들어갈 숫자가 어떤 숫자인지 맞혀 보세요! 탐구 2. ... ...
- 심해는 생물들의 집! 채굴해도 괜찮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단괴가 없을 때 결과를 살펴봤어요. 그 결과, 모든 동물 분류 군의 18%가 사라진다는 것을 확인했지요. 연구팀은 망간 단괴 표면에 붙어 사는 육방해면류가 심해 생태계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어요. 해면은 스폰지처럼 몸통 전체에 구멍이 뚫려 있는 무척추동물이에요. 해면은 독특한 ... ...
- [빅잼] 외계인은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미확인 비행 현상(UAP) 독립 연구팀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미확인 비행 물체(UFO)를 발견했다고 주장했던 다양한 사건들을 분석한 거죠. NASA는 보고서를 통해 UAP 사례 중 대부분이 비행기, 드론, 풍선 등을 오인했거나 기상현상을 착각한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외계인이 ... ...
- [만화뉴스] 다리가 늘어날수록 빨라진다? ‘지네 로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그 결과, 다리의 수가 늘어날수록 센서 없이 거친 지형을 더 민첩하게 이동할 수 있는 걸 확인했지요. 보통 로봇을 움직이기 위해서는 환경을 감지하는 센서가 필요해요. 하지만 울퉁불퉁한 길에서는 센서조차 환경의 변화를 잘 알아채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죠. 다니엘 골드만 연구원은 “지네 ... ...
- 생명체의 가능성을 품은 뉴 골디락스 존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갈라진 얼음 틈 사이로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필요한 유기 분자가 분출되는 것을 확인했죠. 최근에는 NASA에서 보이저 탐사선의 데이터를 재분석해 천왕성 위성인 우라노스의 내부에도 바다가 있을 거라는 연구를 발표했답니다. 용어 설명*열수구 : 심해저에서 뜨거운 물이 분출되는 구멍 ... ...
- (광고) 상상한 대로 만드는 나만의 트랙! 그래비트랙스 앱 콘테스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트랙을 보여준 5개의 수상작을 소개합니다. 그래비트랙스 앱으로 만든 가상의 트랙들을 확인해 볼까요? 그래비트랙스 앱에서 자유롭게 트랙을 뚝딱! ‘GraviTrax’는 가상 세계에서 그래비트랙스 부품을 활용해 나만의 트랙을 만드는 앱입니다. 몇 번의 터치만으로 부품과 확장을 내가 원하는 만큼 ... ...
- [Reportage] 영재학교판 두뇌 서바이벌 게임, 제2회 과학예술영재학교 수학교류전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프로그램을 구체화했지요. 방학이 끝난 다음에는 자습 시간에 모여서 게임 준비물을 확인하고 예행 연습도 했어요. Q. 수학교류전을 준비하면서 배우거나 느낀 점이 있나요? 전민성 : 위원장을 맡아 준비위원회를 통솔하고 각자의 역할을 분배하는 역할을 해야 했어요. 1학년이 12명으로 워낙 많다 ... ...
- [최신 이슈] 세상 가장 무거운 동물? ‘페루세투스’가 말해주는 것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거대한 바위처럼 보였기 때문이다. 발굴 작업은 얇은 화석 절편을 채취해 실제 뼈 구조를 확인한 후에야 진행됐다. “지층이 단단해서 화석 발굴에 말그대로 10년이 걸렸습니다.” 인고의 과정을 거쳤지만 여기저기 조각난 13개의 척추뼈, 4개의 갈비뼈, 골반 일부만 발견됐다. 그러나 그것만으로도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임팩트 팩터(IF)가 높은 학술지보다, IF가 15 이하인 학술지에 더 많이 게재됐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IF는 학술지의 영향력을 나타내는 척도다. 최근 2년간 해당 학술지에 실린 논문이 다른 논문에 인용된 횟수를 같은 기간 동안 그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의 수로 나누어 계산한다. IF가 높을수록 학술지의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