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뉴스
"
땅
"(으)로 총 1,628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조작 나무가 탄소 더 흡수할까...미국서 첫 실험
동아사이언스
l
2023.02.17
연구 결과를 지난 2019년 공개했다. 1조 그루를 심기 위해서는
땅
이나 종자가 필요하지만
땅
은 물론 극한 가뭄과 산불로 종자도 부족하다. 이같은 상황에서 미국 생명공학 스타트업인 '리빙카본(Living Carbon)'은 1조 그루의 절반만 심어도 같은 탄소 감축 효과를 낼 수 있는 유전자 조작 나무를 개발하고 ... ...
[주말N수학] 소행성 충돌을 막는 수학자
수학동아
l
2023.01.28
2013년 2월 실제로 지름 17m 소행성이 러시아 첼랴빈스크주 하늘에서 폭발해 운석우들이
땅
에 떨어지고 그로부터 16시간 뒤 지름 45m의 소행성이 지구를 아슬아슬하게 비껴갔습니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에 따르면 2022년 11월 기준 지구에 근접하거나 충돌할 확률이 높은 잠재적 위험 소행성은 230 ... ...
[버섯요정의 기묘한 모험] 나무와 버섯의 은밀한 공조 '공생균'
어린이과학동아
l
2023.01.28
특징이 있다. 박상영 제공 ● 공생균과 나무는 한집살이 중 능이버섯과 같은 공생균은
땅
속에서 버섯 몸체를 이루는 실 모양 세포인 ‘균사’를 멀리 뻗어가며 공생할 나무를 찾습니다. 공생하기 좋은 적당한 나무를 만나면 균사가 나무 뿌리를 휘감습니다. 균사는 뿌리를 휘감으며 서서히 나무 ... ...
2억2000만년 전 살았던 가장 '펑키한' 양서류 화석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26
될 것으로 보인다. 클리그먼 연구원은 "현대에 살아있는 개체와 달리 당시 케실리언은
땅
속에서 살아가기 위한 적응이 덜 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트라이아스기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케실리언, 펀커스버미스 길모레이(Funcusvermis gilmorei)의 상상도. Andrey Atuchin 제공 연구팀은 케실리언 ... ...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
과학동아
l
2023.01.21
NASA)이 선정한 달 착륙 후보지 13곳. 이 중 하나가 인류 53년만에 다시 밟을
땅
이 된다. 과학동아 DB ● 착륙 후보지를 선정할 자료, 다누리가 모은다 13개의 후보지는 모두 달의 ‘영구음영지역’을 포함하는 곳이다. 영구음영지역이란 크레이터의 벽이 햇빛을 가려 항상 어두운 상태인 크레이터 내 ... ...
원전 확대 필수조건 '사용후핵연료' 처분...기술은 '성숙' 실증은 '아직'
동아사이언스
l
2023.01.16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사용후핵연료 처분시설의 환경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 시설.
땅
속 500m 깊이에 시추공을 묻어 지질 환경과 지하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원자력연 제공 ● 기술은 충분…실증 연구 시설·처분장 부지 확보가 관건 사용후핵연료를 복층 형태로 묻어 공간을 확보하려는 ... ...
겨울축제 중단케 한 '이상기온' 원인은 결국 '인간'
동아사이언스
l
2023.01.15
영구동토층이 녹는 현상은 기후변화 학자들이 가장 우려하는 사태 중 하나다.
땅
속 얼음에 갇혀 있던 이산화탄소와 메탄이 방출돼 기후변화를 가속화할 수 있어서다. 최근 영구동토층 기온은 올라가고 있고 녹아 늪처럼 변한 지형이 자주 발견되고 있다. 사진은 시베리아 야말 지역에 형성된 ... ...
인천 강화 규모 3.7 해역지진 발생…"발생깊이 19km 이례적"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지진의 깊이는 8~15km 범위다. 깊은 곳일수록 지진 발생이 적다.
땅
의 내부로 들어가면서 온도가 높아지며 지각이 ‘엿가락’처럼 늘어나기 때문이다. 조 센터장은 “한반도에서 발생하는 지진 10개 중 8개 정도가 8~15km 범위에서 일어난다”며 “깊이 23km 이상에선 지진이 잘 ... ...
"지구인이 외계인 될 날 머지 않아...10년 뒤 우주자원 활용 현실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단계는 시제품 제작, 9단계는 기술 실현 단계다. 예를 들어 ISRU를 실현하려면 얼어붙은
땅
을 녹이는 기술이 필요하다. ‘동토 가열기술’이라 불리는데 아직 뚜렷한 기술 발전이 없다. 해외 연구팀은 레이저나 열선을 활용하는 등 여러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김 센터장은 “지질자원연 연구팀은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육 개혁'
2023.01.04
상식도 설 자리가 없어져 버렸다. ‘우리는 민족중흥의 역사적 사명을 띠고 이
땅
에 태어났다’는 국민교육헌장이 떠오른다는 지적도 그런 이유 때문이었다. 신년사에서 밝힌 교육 개혁의 현실적인 방법론도 단순하고 명쾌하다. 복지를 위한 중등교육은 교육과정을 다양화해서 공정한 기회를 누릴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