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뉴스
"
인체
"(으)로 총 2,734건 검색되었습니다.
77% 확률로 치매 예측…알츠하이머치매 바이오마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7.23
‘혁신형 만성뇌혈관질환 바이오뱅킹 컨소시엄’을 통해 확보한
인체
자료를 활용해 454명의 뇌 MRI와 아밀로이드 PET 데이터를 바탕으로 백질 패턴을 살폈다. 3차원 공간의 격자 단위 값인 ‘복셀’로 백질을 시각화해 심층 분석도 수행했다. 백질 패턴과 개인 간 변동성에 초점을 맞춰 뇌의 전체 ... ...
국가마다 다른 규제… 대마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24.07.20
수십 년 동안 연구가 깊이 있게 진행되며 THC와 CBD의 화학적 성질, 각각이 동물과
인체
에 미치는 영향 등이 구체적으로 밝혀졌지만 한국에서 대마는 여전히 부정적인 이미지다. ㅇ 미국의 통제물질법에 따른 약물 분류법- 2024년 5월 16일 미국 행정부는 마리화나의 규제 등급을 스케줄 1에서 ... ...
박테리아에서 유전자 훔치는 동물…생존·번식 목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대량의 유전자를 도둑질하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로티퍼의 특징이
인체
감염을 치료하는 약물 개발의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보았다. 항생물질은 현대 의료에서 필수적이지만 병원균들이 항생제에 내성이 생기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항생제 개발법이 필요한 ... ...
염증성 단백질 없애자 쥐 수명 늘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신체 변화의 진행을 막을 수 있었다. 대사기능의 저하를 억제하고 다양한 질병에 대한
인체
의 방어기능이 개선됐다. 특히 수컷과 암컷 쥐 모두 수명이 24.9% 연장됐다. 바이러스나 세균을 비활성화시키는 당단백질인 항체를 사용해 인터루킨11의 생성을 억제했을 때도 대사와 근육 기능이 향상됐다. ... ...
사람에 적용가능한 '자기입자영상' 개발…맞춤형 뇌질환 치료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4.07.17
MPI 기술을 초전도체 기술과 융합해 사람에게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며 “나노입자의
인체
내 표적화를 통해 안전하게 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향후 난치성 뇌질환에 대한 환자 맞춤형 치료법의 획기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 ...
머스크의 '뉴럴링크' 부작용 해결할 생체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재사용까지 할 수 있었다. 고승환 교수는 "뉴럴링크의 안정성 문제를 해결하고 나아가
인체
삽입형 생체 전극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것"이라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928-024-01161-9 ... ...
생명연, OECD와 ‘간 닮은 장기유사체 독성시험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7.15
식품의약국(FDA)은 의약품 임상시험 승인 시 오가노이드 등을 활용해 수행한 비동물‧
인체
생물학 기반 비임상시험 자료를 제출하도록 허용했다. 이를 계기로 생명연은 간 오가노이드 기반의 간독성, 약효평가 서비스를 8월부터 개시할 예정이다. 손 책임연구원은 “오가노이드가 임상 전 단계인 ... ...
물리학은 돈 안된다?…CERN 연구자들 "첨단테크의 시발점"
동아사이언스
l
2024.07.12
보유한 기술은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사선치료 장비와 같은 의료 분야, 우주 방사선이
인체
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방사선 검출기처럼 우주 분야 등에서도 활용 가능하다“며 "인공위성에 반도체 검출기를 실어 지진을 예견하거나 번개 관련 연구를 할 수도 있어 응용 범위가 무궁무진하다 ... ...
과학자가 나서니…생리혈을 젤로 바꾸는 '생리대'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4.07.11
유래한 성분이고 미국식품의약국(FDA)에서 과거에 사용 승인을 이미 받았기 때문에
인체
에 안전하다"고 전했다. https://doi.org/10.1016/j.matt.2024.06.02 ... ...
바이러스는 죽어서 면역에 흉터를 남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9
항바이러스제 약물치료 이후에도 조절 T세포에 염증성 흔적이 남는다는 연구 결과.
인체
에 감염된 바이러스는 사멸된 후에도 면역세포에 흔적을 남긴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신의철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 면역연구센터 센터장 연구팀이 서울시 보라매병원,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