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연
천연
우주
만물
산수
산림
생태계
뉴스
"
자연계
"(으)로 총 313건 검색되었습니다.
‘로체스터 투명망토’ 직접 체험해보니
2014.11.21
맺히는 지점에 물체를 놓으면 투명망토 효과가 바로 사라진다. 그간 투명망토 연구는
자연계
에는 없는 ‘음의 굴절률’을 가진 메타물질을 이용한 연구가 주를 이뤘다. 하지만 메타물질로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명망토 효과를 내려면 10nm(나노미터) 크기의 극도로 작은 나노 구조물로 된 메타물질을 ... ...
이-바퀴벌레-흰개미 중 가장 먼저 등장한 곤충은?
2014.11.09
사이언스에 발표된 ‘곤충 진화 연대표’에 따라 순서대로 늘어 놓은 것이다. 곤충은
자연계
에서 가장 종 다양성이 풍부한 동물군이지만 각각의 곤충이 언제 등장했는지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논란이 많았다. 베른하르트 미소프 독일 알렉산데르 쾨니히 동물학연구박물관 박사가 이끄는 국제 ... ...
2014년판 진화의 아이콘은?
2014.10.28
경쟁하며 생존에 유리하도록 발바닥 크기를 키우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
자연계
에서 보통 유사한 종끼리는 서로 다른 생태 지위를 선택하는 전략을 쓴다”며 “캘리포니아 도마뱀도 그동안 다른 생태 지위를 택했고 여기에 맞게 빨리 진화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 ...
전자기판 투성이 태양전지에 엽록소가 쏘옥~
2014.08.25
태양전지에 비해 효율이 200% 향상됐다. 연구진은 “이번 성과는 엽록소를 비롯해
자연계
에 풍부한 알칸닌, 베타레인 등의 다양한 광흡수체를 태양전지의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환경문제와 에너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 ...
노벨상 수상자들의 ‘반전’ 매력에 풍덩
과학동아
l
2014.07.04
박사는 “그림 그리기 싫다”면서 얼굴에 잔뜩 힘을 준 채 백지를 들고 사진을 찍었다.
자연계
의 기본 힘 4가지 중 약력의 근원이 되는 W와 Z입자를 밝혀낸 카를로 루비아 박사는 사진 촬영 약속을 3번 ‘펑크’낸 뒤 4번째 약속에 자신의 캐리커처를 들고 나와 카메라 앞에 섰다. 유럽입자물리연구소 ... ...
스페인 독감 직접 만들어봤더니…헉!
과학동아
l
2014.06.15
일으킨 바이러스와 아미노산(단백질의 재료)이 불과 3%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자연계
대부분의 AI 바이러스보다 실험용 쥐와 족제비들 사이에서 감염이 잘 일어나고 더 치명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 AI는 포유류인 쥐와 족제비들 사이에서 감염이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치명적인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무척 짧은, 실재할 수 있다는 걸 보여주는데 의의가 있는, ‘덧없는 존재’들이다.
자연계
(지구)에 있는 원소는 모두 92종. 원자번호 1인 수소에서 92인 우라늄까지다. 그렇다면 이 92가지 원소 가운데 우리 몸을 이루는데 필요한 건 몇 가지나 될까. 물론 보통 사람들 몸을 ‘분석’하면 대략 60여 ... ...
건망증 대명사 까마귀 '환골탈태기'
과학동아
l
2014.04.01
연구에 참여했던 사라 젤버트 오클랜드대 심리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동물이
자연계
인과관계를 이해하는 것은 인간 인지능력을 이해하는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며 “물의 수위의 오르내림을 이해하는 것은 5~7세 어린이와 맞먹는 수준이다”라고 제 능력을 평가했습니다 ... ...
우주의 역사, 어디까지 밝혀졌나
과학동아
l
2014.03.21
일반인에게도 익숙한 용어인 ‘불확정성’의 지배를 받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우주는
자연계
에 존재하는 4가지 힘인 전자기력과 중력, 약한 상호작용과 강한 상호작용이 모두 하나로 통일된 이른바 ‘대통일의 시대’를 겪은 뒤 급팽창하기 시작했다. 이때 시공간은 빛보다도 빠른 속도로 ... ...
시각예술+과학기술… 요즘 미술계 대세도 ‘융복합’
동아일보
l
2014.03.18
수학자 레오나르도 피보나치가 처음 소개했는데 꽃잎의 수, 해바라기 씨앗의 개수 등
자연계
생물에도 똑같은 수학적 패턴이 숨어 있다. 미디어 아티스트 김영희 씨는 이 개념을 적용해 설치작품을 완성했다. 솔방울 비늘이 습도에 따라 열고 닫히듯 관객이 마이크 앞에서 입김을 불면 센서가 작동해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