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쌍쌍
듀오
한 쌍
스페셜
"
둘
"(으)로 총 667건 검색되었습니다.
얼굴 가리개·호흡밸브 마스크는 침방울 차단 효과 거의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2
밸브가 달린 밸브형 마스크는 들숨은 막히나 날숨 때는 열리며 호흡을 편하게 해준다.
둘
다 호흡을 편하게 해 주지만 그만큼 호흡이 자유롭게 바깥으로 빠져나갈 수 있어 침방울을 막아야 하는 마스크 본래 역할과는 맞지 않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연구팀은 속이 빈 마네킹 머리 부분에 펌프가 ... ...
의협·복지부 첫 공개토론…"명문화 당연" vs "약속에 책임"
연합뉴스
l
2020.09.02
없어서 의사가 없다는 건 받아들이기 힘들고, 병원이 있어야 의사가 있는 게 아니라
둘
이 같이 가는 것"이라고 말했다. 안 소장은 "공공병원 확충은 한마음"이라면서도 "그러나 국내 병상 수가 세계 2위 인만큼 공공병원을 또 짓지 말고, 기존 병원을 통합하든 투자해서 키워주든 그런 정책도 해볼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세포에는 왜 액체방울이 존재할까?
2020.09.01
예를 들어 루게릭병은 TDR-43 단백질 섬유가 신경세포에 엉겨 붙으면서 세포가 하나
둘
죽으면서 근육이 점차 마비돼 발병한다. TDR-43은 핵 안에 존재하며 RNA와 상호작용을 하는 단백질이다. 그런데 루게릭병 환자의 신경세포를 보면 세포질로 빠져나와 섬유를 형성하고 있다. 루게릭병 환자들 ... ...
[백신 업데이트] 임상 3상 진입 백신 8종에 中·러 후보물질도 공식 포함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31
대상으로 2022년 초까지 이뤄지며 백신 후보물질의 효능과 독성을 파악한다. 이들은
둘
다 임상 3상 계획이 발표되기도 전인 6월 말과 8월 중순 각각 보건당국으로부터 신속사용승인을 받고 접종을 시작해 국제적 논란이 됐던 백신이다. 6월 말 중국 보건당국은 중국 군인을 대상으로 임상 ... ...
[사이언스N사피엔스]와인 나라의 와인 과학자(19세기 생물학1)
2020.08.20
만든 사람은 프랑스의 루이 파스퇴르(1822~1895)였다. 세균학의 아버지라 불리는 사람이
둘
있는데 그 첫 번째 아버지가 파스퇴르이다. 파스퇴르는 일생에 걸쳐 여러 가지 업적을 남겼다. 파리 고등사범학교(에콜 노르말)를 갓 졸업한 뒤에는 거울상 이성질체를 발견했다. 거울상 이성질체란 분자식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코로나 백신 접종을 거부하는 사람들
2020.08.18
팬데믹 종식은 머나먼 이야기처럼 들린다. 다행히도 백신 개발에 관한 희소식이 하나
둘
전해지면서 사람들에게 희망을 주는 한편 여전히 우려하는 목소리도 크다. 백신이 나오더라도 자신과 자기 가족들은 접종하지 않겠다고 하는 사람들의 수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예컨대 미국의 경우 셋 중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
2020.08.13
거의 비슷한 과학적 방법론을 사용하는 일이다.
둘
모두 정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수집하고 관리하고 공유할 것인가의 문제를 고민해야 하기 때문이다. https://iseitgs.wordpress.com/strand-2/strand-2-4-health/database-for-human-genome-project/ 15 이상원. (2002). 실험의 두 역할 ... ...
무증상 환자도 많은 양의 바이러스 옮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9
입소한 국내 코로나19 환자를 무증상자와 유증상자로 나눠 바이러스양을 확인한 결과
둘
사이에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는 연구결과를 이달 7일 국제학술지 ‘미국의사협회지(JAMA) 내과학’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올해 3월 6일부터 26일까지 천안지역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한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30 ... ...
[강석기의 과학카페]코로나 블루 원인은 어쩌면 전자기기의 파란빛?
2020.08.04
거쳐 내측전전두피질과 중격의지핵으로 가지를 뻗는다는 사실을 재확인했다. 그리고
둘
가운데 중격의지핵으로 가는 경로가 부적절한 타이밍의 파란빛에 반응해 우울증에 해당하는 행동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pHb의 신호를 받는 중격의지핵의 담당 뉴런은 생체리듬을 탄다. 낮에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C를 T로 바꾸지 못하게 유전자를 반으로 쪼개 각각 반쪽의 단백질을 만들게 했다. 이
둘
이 미토콘드리아의 DNA 가닥 주위에서 하나로 합쳐질 때만 효소로 작용해 C를 T로 바꿀 수 있다. 다음으로 2세대 기술에서는 게놈의 특정 염기서열을 인식해 달라붙기만 하는 TALE를 두 개 만들어 각각에 DddA ... ...
이전
23
24
25
26
27
28
29
30
3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