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정밀"(으)로 총 573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변속 단백질 AI로 분석해 전립선암 잡아낸다동아사이언스 l2020.12.24
- 전립선암을 신속히 진단할 수 있는 스마트 바이오센서"라며 "소변을 활용한 다른 암의 정밀 진단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이달 9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ACS) 나노’에 발표했다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유전물질의 정체가 드러나다2020.12.24
- 일하고 있었다. 에이버리가 한 일은 한 마디로 그리피스의 폐렴구균 실험을 좀 더 정밀하게 시행한 것이었다. 우선 에이버리는 그리피스의 실험을 확인했다. 즉 독성이 없는 R균과 독성이 있으나 죽은 S균의 잔해를 섞어 쥐에 투입한 결과 R균이 S균으로 바뀌는 형질전환을 확인했다. 에이버리는 ... ...
- 레벨4 자율주행차 유상운송 서비스, 내년 서울 상암에서 선보인다동아사이언스 l2020.12.21
- 레벨4 자율주행차 플랫폼은 그동안 자율주행차의 필수 장치로 꼽히던 ‘라이다’와 ‘고정밀 지도’를 사용하지 않는 다는 점이 특징이다. 자체 개발한 경량화 지도를 이용해 데이터 수집과 정보처리를 빠르게 했고, 주변에 레이저를 쏴 물체를 인식하는 라이다 대신 카메라와 레이더를 이용해 ... ...
- 목성과 토성 대근접…397년만에 가장 가깝게 보여 2020.12.17
- 관측이 가능하다가, 오후 6시 30분에 가장 가까워지고 7시 이후로 사라질 예정이다. 정밀한 관측을 위해서는 맨눈보다는 별도의 장비가 추천된다. 육안으로는 두 행성이 마치 하나의 별처럼 겹쳐 보여서 분간이 어렵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쌍안경으로도 목성과 토성을 구별할 수 있고, ... ...
- [산업미래전략 2030]기계공학, 친환경·디지털 환경 변화 신기술 선점해야동아사이언스 l2020.12.16
- 확보함으로써 산업을 고도화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위성 분야에서는 소형 군집위성과 정밀항법위성 등 다양한 위성군을 확보하고, 우주발사체는 중소형 저궤도 위성 발사체와 달탐사용 대형발사체를 자력으로 확보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항공 분야에서는 최근 주목받는 드론, UAM, 전기수직이착륙기 ... ...
- 2050년 ‘탄소중립’ 구현할 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현주소는동아사이언스 l2020.12.14
- 고체 탄산염으로 전환하는 기술을 발표했다. 고체 탄산염은 건설 토목 소재나 제지 산업, 정밀 화학 분야에서 활용된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연구팀은 지난 11월 이산화탄소를 각종 화학제품의 소재로 사용돼 '산업의 쌀'로 불리는 에틸렌으로 바꾸는 기술을 개발했다 ... ...
- [랩큐멘터리] 개인 맞춤형 의학의 시대를 실현하는 첨단기술동아사이언스 l2020.12.10
- 의료기술을 개발해 최근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에 발표하기도 했다. 정밀치료는 생명과학뿐 아니라 의료, 컴퓨터, AI 등이 협업해야 이룰 수 있는 기술이다. 생물정보학연구실의 구성원은 이를 따라 생명과학을 전공한 학생부터 화학 전공, 컴퓨터 전공, AI 전공까지 다양하다. ... ...
- [과학게시판] 과기정통부, 66회 전국과학전람회 시상식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0.12.10
- 이달 9일과 10일 온라인으로 2020 생명연 연례 컨퍼런스를 연다. 컨퍼런스는 정밀의료 및 대사공학분야 학술행사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특별세션을 구성하고 지난 1년간의 우수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컨퍼런스는 유튜브(https://www.youtube.com/user/kribbadmin)를 통해 볼 ... ...
- [랩큐멘터리] '세상의 모든 것'을 검출해 내는 탐정사무소동아사이언스 l2020.12.08
- 검출을 예로 들면 대다수 연구는 카페인만을 정확히 검출해내는 식별자를 찾고 이를 정밀화한다. 문제는 실생활에서 이 연구가 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커피에는 식별자를 방해할 수많은 물질이 포함돼있기 때문이다. 장영태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반대로 접근한다. 엄청난 양의 ... ...
- 우주탐사선 기록 제조기 하야부사2동아사이언스 l2020.12.08
- 먼저 착륙시킨 뒤 이 위치를 기준으로 목표 지점까지의 방향과 거리를 계산하면 정밀하게 착륙할 수 있다. 첫 번째 착륙 장소에서 크레이터 생성 시험을 마친 하야부사2는 2019년 7월 11일 다른 장소에 착륙했다. 이때 목표한 지점과의 오차는 60cm 정도였다. 하야부사2는 이곳에서 크레이터를 만들어 ... ...
이전232425262728293031 다음